•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시사평론 - 정론직필을 찾아서
 
 
 
카페 게시글
[훈민정음-한자]-(보조) 스크랩 제가 <무슨 말>을 할려고 그려냐면요~~<뽕나무 열매>이야기입니다.
知天命 추천 5 조회 1,567 13.06.05 12:25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06.05 12:47

    첫댓글 며칠전부터 뽕이라는 어원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는 중에 오디에 관한 내용이 올라와 있네요.
    제가 알아낸 것중에 뽕관련하여 누에치기는 아주 오래된 것이며 이것이 고대의 경제중심이었다는 것까지
    알아냈씁니다. 나아가 悔라는 글자가 "뉘우치다"라는 뜻인데 "뉘우"라는 말이 무엇일까? 궁금해서
    그것이 후회하다. 즉 어떤일이나 상황에 대하여 후회하다라는 뜻인데 그 후회라는 말도 悔라는 글자가 있어 가능한
    말인데요. 그럼 "뉘우"는 무슨의미인가? 이렇게 궁구하다가 결론은 이건 우리말글이라는 결론
    "뉘우"는 "누에"를 말하며 누에실을 되돌려 뽑는 것인데
    이처럼 어떤일을 되짚어 그것을 돌아보고 잘잘못을 살핀다는 뜻.

  • 13.06.05 12:52

    "뉘우치다"는 "누에치다"에서 누에치듯 실을 되돌려 뽑듯 "잘잘못을 되짚어 살핀다"는 뜻인가 합니다.

  • 13.06.05 13:04

    뉘우치다는 그냥 뉘우치다죠. 누에랑은 상관없습니다. '뉘우치다’는 잘못이 주로 도덕적·윤리적인 것에만 한정됩니다. 다시는 안 그러겠다는 도덕적 결심이 담겨 있어요. 예를들면 ‘도둑은 잘못을 뉘우쳤다.’ 정도가 될수 있고요. ‘후회하다’는 한자어가 쓰이면서 용례도 더 넓게 쓰입니다. 과거의 어떤 행동을 반성하는 데 쓰입니다. ‘그 옷을 괜히 샀다고 후회했다.’

  • 13.06.05 13:05

    누에에 빠져서 세상을 보면 모든게 누에와 관련되어 보이고, 음모론에 빠져서 세상을 보면 모든게 다 음모처럼 보이지요. 객관적으로 어디에 너무 편향되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 13.06.05 13:36

    편향적이 되지 않도록 하겠씁니다. 한글과 한자를 틈틈히 연구하다보면 우리말에서 한자의 뜻이 새겨지는 것이 너무많이 있습니다.
    음모론까지야 되겠씁니까~?
    우리말의 어원을 찾다보면 뉘우가 누에처럼 보일때도 있다는 겁니다.
    왜 "뉘우"라는 말이 생겼을까? 그걸 찾는과정입니다. 그러니 여기서 그걸 개진하다보면 보다 낳은 결과가
    오겠죠. 悔라는 글자를 검토하다 보면 어떤여성을 말하며 그것과 관련된 감정(윤리.도덕)과 관련이 있는 겁니다. 그 여성의 어떻한 마음상태이기에 "뉘우치다"라는 말로 쓰일까? 그리고 우리말 뉘우는 뭘까?
    그래서 그걸 연구하는 겁니다.

  • 13.06.05 14:07

    잠실(누에치는 집)과 생식기 절단의 형벌인 궁형이 관계가 있네여~
    누에치기가 궁형을 은유했다는 내용이 있네여~ 사마천 관련하여~
    생식기 절단되어 잠실로 보내졌다는 것이 그 단초가 됩니다.
    실뽑는 것으로 본것은 저의 불찰이고 궁형을 당한자를 잠실(누에치는 곳)에 보내졌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뉘우치다는 누에치기와 관계가 있어 보입니다.
    즉 뉘우침은 누에치기(궁형)처럼 되지 않기 위한 잘못을 바로잡음이라고 봅니다.

  • 13.06.05 15:06

    몸을 "뉘이다"라는 말에서 "뉘우치다"도 파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몸(마음)을 뉘이고 스스로를 다그치는 행위
    이것이 "뉘이치다"로 보는 것이 합당하겠습니다.
    존슨님의 덧글 감사합니다.

  • 13.06.05 12:51

    많이 배웁니다.
    고맙습니다.

  • 13.06.05 12:55

    외국어를 한문으로 번역한-------이건 그래도 한문을 아렴 이해 하기 쉽습니다 우리말의 많은 부분이 한문으로 되었기 때문잊
    예를 들면 動 자의 경우 움직임을 표현하는 관계되는 모든 말은 거의 이 동자를 사용합니다 허나 우리말로 그냥 동자라면 아무러
    의마가 없죠 그래서 진정 자주성을 지키고 회복할려변 외국어로 들어온 말을 전부 한문이 아닌 우리말로 바꾸어야 만
    합니다 이걸 촌스럽다고 하면서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자 야 말로 노예성의 극치 입니다

  • 13.06.05 13:04

    한문으로 된말을 한글로만 적고 한문을 모른다면, 이상스런 말이 됩니다
    비行가-는 =뱅기, 기 되고
    科학, 수학 은 꽉 솩이 됩니다, 한문도 아니고 우리말도 아니고 국적불명의 말이 되면서 그 개념을 일일이 한문한자 영어
    단어 외듯이 외어야 하게 됩니다,

  • 작성자 13.06.06 08:30




    <아무리힘들어도>님 위 댓글은 교육자료로 사용해도 되겠죠?
    <허락> 부탁합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13.06.05 17:24


    3탄까지 나왔던가요? ㅎ ㅎ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