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솝 우화에 여우와 두루미가 서로 초대 하여 여우는 접시를, 두루미는 호리병을 내 놓아 서로 먹기가 어렵다. 사람들의 대화를 보면 서로 비난을 하는 교차교류로 갈등을 만들기도 하고, 본 뜻은 감춘 채 암묵적 교류로 더 심각한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대화는 서로가 진실을 만나고 사랑으로 하나가 될 수 있는 수평적인 대화법이 가장 좋다.
우리는 대화를 통해 자아상을 그려 낼 수 있다. 자아는 크게 어버이자아, 어른자아, 아이자아가 있고 어버이 자아는 양육적이냐 비판적이냐로 나뉘며, 어린이 자아는 자유적이냐, 적응적이냐, 부모를 조종하는 교수(꾀돌이)적이냐로 나뉜다. 적응적인 것은 다시 반항적으로 적응하냐, 순응적으로 적응하냐로 나뉜다.
인생패턴에서도 1. I am OK, You are not OK.(비난형) 2. I am not OK. You are not OK,(회뮤형) 3. I am not OK, You are not OK.(산만형) 4. I am OK,. You are OK.(일치형) 이렇게 4가지의 인생패턴으로 나뉜다. 지면관계로 자세히 설명은 못하지만 어린 자녀가 실수로 꿀단지를 깼을 때 엄마의 양육적인 어버이 자아가 기능하는 말은 "어디 다치지 않았냐?"이며 꿀단지보다 아이가 소중하다는 메시지를 준다.(I am Ok) 비판적인 어버이 자아를 가지고 있다면 아이 이마에 꿀밤을 주며 "이게 얼마짜린데 깼어?"라며 잘잘못을 따질 때 아이는 자신보다 꿀단지가 더 소중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러기에 대상과의 관계에서 아이는 I am not OK의 인생패턴이 형성된다.
인생패턴에서도 건강한 인격으로 사랑을 많이 받고 사랑 할 줄 아는 인생패턴은 4번 일치형이다. 나도 중요하고 상대방도 중요한 존재로 안다. 이들은 대부분 서로 사랑하는 부모를 두었으며 부모가 서로 사랑하는 것 처럼 일치형의 인생패턴을 갖게 된다. 서로 싸우는 부모를 밑에서 상처를 받는 자녀는 거짓자아로 형성되는 모범생이나 반항아로 적응하기 쉽다.
그러므로 역기능 가족체계에서는 부모나 자녀들이 1,2,3번의 인생패턴을 갖되 상처가 많은 경우 3번이 될 가능성이 많다. 우리가 소통 함에 있어서 4가지 인생패턴과 거짓자아가 뒤섞여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의 상처의 자리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기가 무슨 대화를 왜,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고 말을 쏟아냄으로 상처를 주고 받는다. 더구나 개인의 무의식의 깊이로 들어가면 감정, 가치관, 열망, 사랑, 영까지 이르는데 이것이 일치형의 사람이라면 자신의 가장 깊숙한 영에 해당 되는 것을 사랑, 열망, 가치관을 거쳐 건강한 감정으로 의사를 표현한다. 반면 1,2,3번 유형의 사람들에게는 무의식과 내면의 세계가 역기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면의 깊이를 모르며, 안다고 한들 적절한 내면이 기능을 못하기에 참자기를 표현하지 못하여 순기능의 내면, 특히 영적 세계와는 소통하기가 어렵다. 이는 마치 육신의 생각대로 잘 먹고 건강하게 오래살고, 죽을 때 편안히 죽는 것이 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십자가를 앞에 놓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여 주시옵소서라고 기도하는 사람과의 차이와도 같다. 물론 어린아이의 믿음과 성숙한 사람의 믿음의 차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아버지요, 목사의 위치에서 어린아이와 같은 육신의 일을 도모한다면 이처럼 난감한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린아이의 자기가 성인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어린아이의 자기가 지배하는 것이 거짓자기(상처입은 내면아이, 죄)임을 깨달아(직면) 십자가에서 죽고 십자가에서 다시 태어난 참자기로서의 선언이 중요하다. 고통스럽겠지만 삶에서 자기십자가를 지는 일이 주님을 따르는 일이다. 이 사람은 자녀와 성도들에게 기복신앙 대신 참 신앙을 물려주며, 자기가 가진 것 전부를 주를 위해 사용하고 가족이나 성도를 주님께 의탁하는 자이다. 나 자신 스스로 많이 부족하기에 주기철 목사님을 그 예로 든다.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주기철 목사의 산정현교회 목회 방침
1. 신사참배는 하나님의 계명 중 제1계명과 제2계명을 범하기에 철저히 배척해야 한다.
2. 신사참배에 응하는 성도는 지위 신분을 막론하고 공개 제명과 교회에서 추방하기로 한다.
3. 신사참배 거부에 의한 모든 책임은 당회장인 내가 지기로 한다.
#나의 5중 기도(1939년2월)
1. 죽음의 권세에서 승리하게 하소서.
2. 장기간 고난을 견딜 수 있게 하소서.
3. 노모와 처자 그리고 교우를 주님께 맡깁니다.
4. 의에 살고 의에 죽게 하옵소서.
5. 내 영혼을 주께 맡깁니다.
이것을 두려워 말자.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족히 비교 할 수 없기 때문이다.(롬8:18)
부모가 시험성적으로 자녀를 평가하였던 고등학교 전교1등인 자녀가 수재만 모인다는 명문 대학교에 들어가 1등을 할 수 없게 되자 자살을 했다. 자녀는 부모의 시각으로 자신을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부모의 시각처럼 목사가 주님을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하다. 목사가 주님을 바라보는 것 보다 다른 것을 사랑한다면 성도들도 그 시각으로 자신들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목사는 정직한 영으로 세상이 아닌 주님 우선의 믿음을 가져야 한다. 성도는 목사란 거울로 자신을 보기 때문이다.
어그러진 자아상에 대하여 치유의 방법을 예수님이 가르쳐 주셨다. 중심 단어는 사랑이다. 정확하게는 십자가 사랑이며 말씀을 깨닫고 믿을 때 알게 된다.(롬10:10) 예수님은 인생들이 못 알아 들어도 사랑하신다.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신다.(요13:1) 또한 자기 자신의 상처(죄)를 알 때까지 인내하시고 기다려주시고 가르쳐 주신다.(마14:30, 마14:72) 이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롬5:8)은 우리를 치유하고 순기능으로 돌아오게 하는 생명의 힘이 있다.(눅10:27) 주님의 사랑은 목사가 먼저 주님의 사랑을 받고(믿음과 더불어 부모나 신앙의 선배를 통하여), 먼저 주님을 사랑하는 시각을 통하여 성도들을 생명으로 사랑하면, 그 거울로 성도들은 자신들을 볼 수 있다.(요 21:15-17) 아버지나 목사가 스스로 권세나 권위가 있는 존재가 아니라 모든 사람과 똑같은 피조물이며 본이 되게 하기 위해서임을 알아야 한다.(딤전1:16)
겸손하게 내가 받은 그리스도의 사랑을 자녀와 성도에게 주어야 하는데 젖먹이인 아들과 성도들에게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주심같이 자기도 자신을 내어 줌으로 내 안에 있는 것이 하나님의 사랑임을 확증하는 것이 참 믿음이요, 복음이다.
자녀가 어떠하든 죽기까지 사랑하는 아버지가 참 좋은 아버지다. 생명은 위로부터 나는데 자녀가 먼저가 아니고 아버지가 먼저이기에 아버지가 자녀를 사랑해야 하는 것이다. 절대로 자녀를 생명으로 사랑하기 전에 순종을 강요하지 말자. 그렇게 목사는 성도를 사랑해야 한다. 하나님이 먼저 자신의 사랑을 독생자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확증하셨기 때문이다.
-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대한 자신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롬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