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원향교 연혁 南原鄕敎 沿革 ◎
전라북도 문화재 제8호 1407년에 조선태종 7년때 전국에 향교 설치령 에 의하여--- 1410년 남원도호부 때 ---대복사지 부근에 향교를 세워다합니다 1428년 남원관광단지 위치인 덕음산으로 옮기어으나------ 향교를 가려면은 장마 기엔 요천을 건너기가 어려움이많어 1443년에 다시 현재의 위치로 향교자리를 옮기어 건립하여세웠다 합니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향교 건물이 모두소실되어 1599년 대성전 재건 남원부호 진사 유인옥 유림께서 사재를 털어서 대성전을 재건하였다합니다 1609년에 교육강당인 명륜당을 재건 박대옥유림 과 유인옥 유림께서 재건하였다 합니다 1748년 진사 한동섭유림께서 동재와 서재를 중수하였다합니다 1829년에 사마재를 재건하였다합니다 1876년 명륜당 화재로 전소되어 ---다시재건립 하였담니다 남원부사 오달선유림과 뜻있는 유림들께서 협조하여 재건립하였다합니다
1892년 대성전을 중수하고---중수비건립 1925년 진강루를 명륜당 앞으로 옮기어 이건하고 진강루라호칭하였담니다 1948년 대성전 및 모든재당 대수리하였담니다 1949년 농지개혁으로 향교소유농지14만2000여평을 보상증권으로 바꾸고 전북향교재단설립과 명륜대학[현전북대학교] 성균관대학설립기금으로 전부제공하였담니다 1953년 향교유림분들께서 위성조합을 설립하고 재정을확보 농지 60여 두락을 취득하여 향교 운영의 기반을 구축하였답니다 동무-서무에 봉안된 우리나라18현의 위패를 대성전으로 승봉하였담니다 1961년 정문인 외삼문3간을 신축 하였담니다
1969년 최초로 향교지 발간 1971년 대성전 지방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담니다 1981년 대성전을 해체 복원하고 -외삼문 옮기어 건립하였담니다 1987년 사마제 개축-대성전및 동서무 보수 1991년 향교 양사제 위성조합에서 6억원을 출자하여 시내중심지에 충효관건립 1993년 강륜회를 조직-효열 표창때 강륜장 수여를 제도화하였담니다 1994년 향교지 2차발간 1998년 강학당 건립-동서무-동서재-진강루-내삼문 보수 제2차향교지중간 2006년 수인당 건립 2018년에 향교지 2차~3차 발간하여 전국에 배포하여 남원향교 역사를 알리였습니다
남원 향교 교육 南原 鄕校 敎育 조선시대 남원도호부 로서 매년70명을 선발하여 인륜의 도덕과 충효사상의 교육을가르치는 교육기관 남원향교는 --- 서기 1407년 전국의 향교설치령에 의하여 1410년 남원부의 서쪽 교룡산 아래 대곡에 창건하였다. 그 18년 후에 요천을 건너 덕음봉 아래에 이건하였다가 다시 15년 후인 1443년 현 위치인 향교동 512번지 왕봉산 남쪽 기슭으로 이건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으니 1599년 관내 유림들의 참여로 대성전이 재건되고 1609년 명륜당을 재건하였으며 이어서 동무, 서무, 동재, 서재, 외삼문, 내삼문, 사마재, 전사청이 신축되었으며 1935년 남원도호부 동헌의 근민당 문루인 환월루를 명륜당 앞에 이건하여 진강루라 편액하였다. 근래에는 시내 중심지에 지상5층 규모의 충효관을 건립하고 향교 경내에 강학당을 신축하여 향교로서 걸 맞은 전각과 재당을 완비하였다. 1949년 농지개혁으로 향교재산이 몰수되어 전무하게 되자 본 고장의 유림들이 위성조합을 설립하고 재정을 확보하여 향교운영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남원향교는 전라도 4장관 향교이면서 중설위 향교로서 공부자와 4선사를 중앙정위에에 송조 4현과 우리나라 18현을 동서로 종향위에 배향하고 춘추로 2월과 8월의 상정일에 석전대제를 봉행하고 매월 삭망에 분향례를 봉행하고 있다. 이에 우리의 생할지표인 전통유교를 계승발전하여 급변하는 외세와 새로운 서구풍조 속에서도 유림의 총본산으로서의 조직과 체제를 재정비하여 유림과 지역사회 교화를 책임짓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8호>이다
三綱五倫---삼강오륜 ★삼강이란 ? 儒敎의 道德에서 基本이 되는 세 가지 綱領을 말함
1---君爲臣綱---임금은 신하의 근본이 되고 2---父爲子綱---아버지는 자식의 근본이 되며 3---夫爲婦綱---남편은 아내의 근본이 된다
★ 오륜이란 ? 사람으로서 지커야할 다섯 가지 道理를 말함
1---父子有親---아버지와 아들사이는 친함이 있어야한다 2---君臣有義---임금과 신하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한다 3---夫婦有別---남편과 아내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한다 4---長幼有序---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한다 5---朋友有信---친구와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한다
남 원 향 교 전 경
전북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 572 ]
진桭 강綱 루樓
南原 鄕敎 표지석 과 홍살문
하마비---모두 말에서 내리라는 표석비 1413년 태종13년에 성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을 지날때는 누구든지 말에서 내리라는 뜻으로 세운 비문 입니다
향교 전각 배 치도
外三門-- 향교 출입정문---
대성전 비문
대 성 전 건 립 비문
------ 대 大 성 成 전 殿
---------대 성 전 내 부 도
----- 공자를 비롯한- 안자-증자-자사-맹자 5성과 송조4현과 우리나라 18현 ----- 합 22현의 위패를 봉안한 대성전
----- 대성전안에 봉안된 성현위패---위치도
- -------- 大成至聖 文宣王-공자 ------ 宗聖公-증자-------復聖公-안자 ------ 亞聖公-맹자-------述聖公-자사 우리나라 18인 성현 서 종향에 봉안된성현 위패-----------동 종향에 봉안된 성현 위패 ------ 文昌公-최치원---------------- -----------弘儒候-설 총 --- ---豫國公-정 호-----------------------------道國公-주돈이 ------徽國公-주 희 ----------------------------洛國公-정 이 ------文忠公-정몽주----------------------------文成公-안 유 ------文獻公-정여창----------------------------文敬公-김굉필 ------文元公-이언적---------------------- ------文正公-조광조 --- --文正公-김린후------------------------ ----文純公-이 황 ------文簡公-성 혼 --------------------- ------文成公-이 이 ------文烈公-조 헌----------------------- -----文元公-김장생 ------文正公-송시열---------------------- ------文敬公-김 집 ------文純公-박세채---------------------- -----文正公-송준길 송조 4현-- 道國公-주돈이 1017년~1073년 豫國公-정호1032년~1085년 洛國公-程이 1033년~1107년 徽휘國公-주희1130년~1200년 봄---가을-석전대제 봉행을하고---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있다
권율-김상용-이순신-임경엽-이덕형 대원군이 서원철폐령으로 많은 서원이 철폐되었음
大成至聖 文宣公 [공 자] -- -문 선 왕 위패
復聖公 [안자]- -- 위패
宗聖公 [증자 ]--- 위패
述聖公[자 사 ]- 위패 아성공 [맹자] --- 위패 맹모 삼천지교------- 처음 주거지= 공동묘지부근에서 생활- 두번채 주거지= 시장 상가부근 세번채 주거지= 학교부근으로이사하여 배우는모습을 익히도록함 맹모 단기지교------짜든 배를 가위로 잘라 중도에서 그만두면 쓸더가 없음 을 일러주는 가르침
참석하신 유림님들 모습
2014년 3월7일 춘기 석전대제 봉향식 장면
흥 학 비
사 司 마 馬 재 齋 조선시대에 儒學을 講學하고---정치를 의논하던 장소 生員 과 進士 가 70명이상나온 都護府 에설치 성균관대 입학시험준비 교육을 하여든 교육장소
유 생 들 의 기 숙 사
전통 예절을 외우고 배우는 강학당
합 동 사 무 실 남원향교의 교육자료인 사서삼경 등을 포함한 소중한 문집이 600여권의 장서가 보존되어 남원향교의 역사자료와 유림인의 교육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남원향교 창립 600주년 기념 비문 단기 4343년 10월에 --- 서기2010년에 10월에 건립
격례사를 하는 초헌관 강동원 국회의원과 행사를 진행하는 이동열 사무국장 모습
충 忠 열烈 사祠
1597년 정유재란때 남원성전투에서 전사한 전라병사 이복남- 집방사 정기원 남원부사 임현 -조방장 김경노- 4충신과 별장 신호 -통판 이덕희 구례현감-이원춘 7충신을 제사드릴목적으로 1612년에 설립되었다 그후많은 변화를 격의면서 1979년에 현재의 위치에 터를 잡고 26열사의 위패를 봉안하고 매년 음력2월중 두번째 丁일을 택하여 제향 봉향을 올림니다
남원의 충렬사 묘정비
충열사 제향 분향관 이환주 남원시장
역대전교님 사진입니다
김태곤 31대전교---2015년9월18일 추기석전대제 격례인사중
중식을 맞있게 드시는 유림님들 모습 김태곤 전교님 인사말씀 30대 한능수 전교님 31대 김태곤 전교님 32대 유학수 전교 님
조수익 교수가 한학과--유교 교육을 강의를하는 모습
서예교육을 설명하는 이문환 선생
서예 실습을 하는 유생들 모습
서예---이문환 선생의 서예필체 선조님의 고마움을 정성을모아 보답하려면--- 제사모실 축문과 지방쓰는방법은 우선 배우두어야 합니다
제사모실--- 지방문과 축문쓰기 실습을 하는모습
제사축문서식 유(維) 세(歲)차(次) 임(任)진(辰) 오(五)월(月) 병(丙)진(辰)삭(朔) 초(初)일(日)일(一) 갑(甲)진(辰) 효(孝)자(子) 0 0 감(敢)소(昭)고(告)우(于) 현(顯)고(考)학(學)생(生)부(附)군(君) 현(顯)비(妃)유(孺)인(人) 창(昌)원(原)정(丁)씨(氏) 세(歲)서(序)천(遷)역(易) 휘(諱)일(日)부復)임(臨) 추(追)원(遠)감(感)시(時) 호(昊)천(天)망(罔)극(極) 근(謹)이(以)청(淸)작(酌) 서(庶)수(羞)공(恭)신(伸)전(奠) 헌(獻) 상(尙)향(饗)
열심히 서예 필체를 실습하는 여성유림
2013년4월2일 신묘장의 수료식 기념사진
남원향교유래를 찾아보신 여러분들께 다소나마 도움이되셨으면 합니다
2 0 1 4년 3월 8일
신묘장의 소암 ---조 재 훈 편 집 感謝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아름다운꽃은--웃음꽃이라합니다 내자신을 망치는것은---자만 이라합니다 세상 사는 돌고돌아--- 공존하는거람니다 ★ 2019년2월20일-향교 정기총회 과정사진입니다★ 유학수 전교님 인사말씀 유학수 전교님 모습입니다 최경열 위성조합장 보고말씀 김영태 전 전교님 모습 전 한능수 전교님 모습 조남훈 총무 사회진행 임원진의 인사
향교뒷산 토지사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