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명 | 주식회사 유틸렉스 |
업 종 | 신약연구 빛 개발 |
기업 현황 | ◦COVID-19 치료용 유전자변형 동종 T 세포치료제(Allo-eTCR T cell) 개발, 임상시험 추진 ◦면역세포 배양 및 증식 GMP시설 보유(‘17), 세포치료제 생산까지 가능 ◦’18년 코스닥 상장 (시가총액 약 4,800억)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개발목표) ACE2 단백질 변이체 기반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후보물질 발굴 ◦(개발내용) ACE2 변이체를 주형으로 하는 무작위 돌연변이 라이브러리 유전자 제작 및 변이체 서열 확보, 효능평가 후보물질의 시료 생산 및 정제 ◦(기대성과)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후보물질의 라이선스 계약이 발생할 경우 약 1,300억원의 매출 발생 기대 |
기업명 | MD헬스케어 |
업 종 | 기술 시험, 검사 및 분석업 |
기업 현황 | ◦유용미생물기반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개발(CJ제일제당 공동, `15)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기반 한 신약개발 플랫폼과 디지털 체외진단 플랫폼개발 업체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과제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호흡기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 ◦(개발내용) 호흡기 염증질환 치료 후보물질 MDH-101 연구개발을 통한 바이러스성 폐렴 등 호흡기질환 치료물질 개발 ◦(기대효과) 미생물 유래 세포외소포를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등과 같은 호흡기질환 치료 물질 임상시험 진입 |
기업명 | (주)인포마크 |
업 종 | 소프트웨어개발, 정보통신하드웨어제조 등 |
기업 현황 | ◦초박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인공지능(AI) 디바이스 설계·상용화 기술 보유 기업 (국내 최초 웨어러블 키즈폰, JOON) ◦코스닥 상장기업 ◦웨어러블 디바이스 핵심 칩셋 제조사와의 협업 네트워크 보유(퀄컴글로벌 전략적 파트너사)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과제명) 노년층의 원격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스마트밴드 ◦(개발내용) 노인 친화 감성의 Elderly Band 디바이스 기획 및 디자인, Elderly Band 디바이스 HW/SW개발, 건강·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App 개발 ◦(기대효과) 스마트폰 없이 상시 연결성을 보장하여, 노년층과 그 가족들이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도 스스로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제품 개발 |
기업명 | 스프링클라우드 |
업 종 | 자동차내장용 전기전자 정밀기기 |
기업 현황 | ◦자율주행셔틀 운행 서비스와 데이터 가공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처기업 ◦국내 최초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시작 / 자율주행 자동차 L4 기술 보유 스타트업 ◦국내 최초 규제특구 사업자로 선정(세종시) / 민간기업 최초 임시운행 허가 획득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과제명) 구간 자율주행(L4)을 위한 사고 위험상황 시나리오 자동생성기술 개발 ◦(개발내용) 자율주행 시장 선점 및 상용화에 필요한 자율주행(L4) 기능 평가를 위한 국내 최초의 자동 시나리오 생성 기술 개발 ◦(기대효과) 국내 실도로 기반의 자율주행 시나리오 생성 및 평가로 국내에 최적화된 검증 환경 제공 |
기업명 | ㈜한산에이엠에스텍크 |
업 종 | 원격검침시스템, 전력량계, 배전및자동제어반 통신기기 등 |
기업 현황 | ◦전력량계 및 원격검침 솔루션 전문 기업 ◦전력량계 분야 업계 최초로 500만불 수출탑 수상(`13)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과제명) 전기차 충전기 통합 현장 점검장비 및 시스템 개발 ◦(개발내용) 전기차 충전기 점검장비 본체, 차량 탑재형 부하기, 관리(운영) 프로그램개발 및 제품화 ◦(기대효과) 국내 보급된 모든 전기차 충전기 점검이 가능하고, 계량오차 관리 지원 가능한 제품을 개발을 통한 장비 국산화 및 가격 경쟁력 확보 |
기업명 | (주)케이에이씨 |
업 종 | 자동차용 신품 부품 제조업 |
기업 현황 | ◦강원도 뿌리기업 1호 ◦국내 자동차 조향장치 1/3을 생산 ◦자동차 전장부품 하우징을 선도하는 수출기업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과제명) 초소형 차량용 조향 시스템 개발 ◦(개발내용) 초소형 차량에 적합한 수동식 및 전동식 조향 시스템 개발 ◦(기대효과) 조향 시스템 국산화 |
기업명 | 지앨에스(주) |
업 종 | 초고속 무선통신 반도체 칩셋 개발 |
기업 현황 |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인 IEEE 802.15.3e를 만족하는 통신용 반도체 기술 검증(’17년) ◦전세계 유일하게 IEEE 802.15.3e 호환되는 양산가능한 통신용 반도체 칩셋을 기술 보유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과제명) USB 3.0 무선화를 위한 5Gbps급 초고속 무선 송수신기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 ◦(개발내용) 60 GHz 대역 반도체 칩과 이를 운용할 수 있는 디비아스 드라이버를 개발하여 별도의 USB IP없이 구동할 수 있는 USB 3.0 유선통신을 무선통신화 ◦(기대효과) 개발단계부터 삼성 등 대기업과 전략적으로 협력하여 개발 하고 고객 실증 평가를 추진하여 개발완료시 시장 진출 |
기업명 | (주)딥엑스 |
업 종 | 인공지능시스템 연구 및 개발 |
기업 현황 | ◦1차 NPU 개발 성공 및 관련 특허 국내외 출원 12건(PCT 출원 포함) ◦TIPS R&D, 사업화, 마케팅 과제 선정(‘18) ◦‘19년 대한민국 기업 혁신 대상(중기부 후원) 등 4회 수상 실적 보유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과제명) AI 반도체의 구동 성능 및 전력 소모 개선을 위한 실시간 AI 데이터 압축/해제 기술 ◦(개발내용) AI 반도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N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 시 구동 성능을 향상시키는 Hardware IP를 개발 ◦(기대효과) 자율주행, 드론, 가전 등 분야의 국내외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실질적인 이익증대 |
기업명 | 주식회사 모빌린트 |
업 종 | 지능형 반도체 개발 |
기업 현황 | ㅇSeed 투자 유치 및 TIPS 프로그램 선정(‘19) ㅇ인공지능 인력 양성 교육 지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홈 시스템 지원 계획 추진 |
기술개발 계획 | ◦(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과제명) 이미지처리 전용 Edge 지능형 반도체 개발 ◦(개발내용) 다양한 스킴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딥러닝 네트워크를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Edge 디바이스용 저전략형 NPU 칩을 개발. ◦(기대효과) NPU 칩의 범용성에 초점을 맞춘 양산 가격 절감 및 NPU 칩의 초저전력에 초점을 맞춘 기능 차별화를 통해 배터리를 사용하는 웨어러블, 모바일 국내외 시장 진출 |
미래자동차분야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서틀 서비스를 시작한 스프링클라우드사 등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지능형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등 친환경 및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제들을 선정했고,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고가의 설계·검증도구, 반도체 설계자산(IP)확보 등이 필요한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을 중심으로 반도체 저전력 설계, 후공정 기술개발 등 다양한 영역의 기술개발 과제가 선정됐습니다.
이중 3개 기업*은 암(Arm)과 협업해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설계자산(IP) 무료이용 및 기술지원을 받고 있어 기술개발 결과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주)딥엑스, 주식회사 모빌린트, 지앨애스(주)
중기부는 3대 신산업(BIG3)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한국판뉴딜, 4차 산업혁명분야 등 중점 전략 지원분야와 함께 3대 신산업(BIG3)분야*의 지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기업당 3년간 최대 12억원 기술개발(R&D) 지원, ‘21년 1,949억원
보증, 인증, 인력지원 등 사업화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투자설명회(IR) 등을 개최해 민간투자 유치기회를 제공하는 등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도 신속하게 제공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