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우선 감염병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적 측면에서 잘 얘기해준 것 같다. 모둠원들과 다양한 입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는 모습이 좋아보인다. 모둠원들이 같은 입장에서 말하는게 아니라 서로 다른 생각들을 주고받아 생각이 더 다양해보인다. 특히 질문이 사회 구성원이라면 한번쯤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들이라 읽는 내내 나 역시도 깊게 고찰해볼수 있었다. 제목과 소제목이 적절하게 지어졌고, 글의 양식 역시 잘 지켜졌다.
코로나 19 예방법이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으로 의견이 나뉘었는데 저도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요소가 둘 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희 모둠은 반대 의견이 많이 나오지 않았는데 태인이의 모둠은 반대 의견도 나오고 다양한 의견이 나와서 좋은 것 같아요. 친구들이 다들 말을 논리적으로 주고 받는 것 같아요. 코로나와 관련된 이야기라서 종교적인 이야기가 나올줄 몰랐는데 재난에 대처하는 종교인의 자세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어서 흥미로웠어요. 회복 탄력성이라는 것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는데 보고서를 읽고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게 되어서 유익했어요.
첫댓글 우선 감염병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적 측면에서 잘 얘기해준 것 같다. 모둠원들과 다양한 입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는 모습이 좋아보인다. 모둠원들이 같은 입장에서 말하는게 아니라 서로 다른 생각들을 주고받아 생각이 더 다양해보인다. 특히 질문이 사회 구성원이라면 한번쯤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들이라 읽는 내내 나 역시도 깊게 고찰해볼수 있었다. 제목과 소제목이 적절하게 지어졌고, 글의 양식 역시 잘 지켜졌다.
코로나 19 예방법이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으로 의견이 나뉘었는데 저도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요소가 둘 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희 모둠은 반대 의견이 많이 나오지 않았는데 태인이의 모둠은 반대 의견도 나오고 다양한 의견이 나와서 좋은 것 같아요. 친구들이 다들 말을 논리적으로 주고 받는 것 같아요. 코로나와 관련된 이야기라서 종교적인 이야기가 나올줄 몰랐는데 재난에 대처하는 종교인의 자세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어서 흥미로웠어요. 회복 탄력성이라는 것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는데 보고서를 읽고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게 되어서 유익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