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갑산(515.9m) 전남 영광과 함평의 경계를 이룬 불갑산(515.9m)은 백제 불교 도래지로 이름난 불갑사를 품고 있는 산이다. 모악산(母岳山)이라 불리다 불갑사가 들어선 이후 불갑사쪽 산을 따로 떼어 불갑산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이야기만 보다라도 불갑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백제 불교가 처음 자리잡은 전남 영광의 불갑산(516m) 은 서해안고속도로 영광나들목에서 30분이면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인기가 한층 높아지고 경인 지역뿐만 아니라 멀리 강원도 일원의 등산인들까지도 찾아들고 있다.
노령산맥의 서남쪽 끝자락에 솟아 있는 영광 불갑산은 산림이 울창하고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이 산자락에 들어앉은 불갑사는 백제 침류왕 원년(384)에 인도승 마라난타가 중국 진나라를 거쳐 백제로 들어올 때 이곳 영광에 상륙하여 창건했던 고증을 통해 전해 온다.
불갑사 경내에 들어서면 먼저 일주문 주위의 난대 상록수림이 눈에 띄는데,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한 천연림을 형성하고 있다. 불갑사의 여러 문화재 중 가장 돋보이는 것은 불갑사 대웅전(보물 제 830호)으로 단청을 칠하지 않아서 더욱 고풍스러워 보인다.
특히 대웅전 처마조각과 연꽃문양을 세련되게 조각해 끼워 맞춘 대웅전의 문살 등은 옛 선인들의 정성어린 손길을 엿보게 한다. 그밖에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166호로 지정된 만세루 등이 있으며, 절 밖의 오솔길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천연기념물 제112호로 지정된 참식나무 자생지가 있어 좋은 경관을 이루고 있다. 불갑산은 단풍도 화려하다. 불갑사 앞의 오솔길을 따라 조금 올라간 곳에 자리한 불갑사저수지 앞에서 골짜기와 산비탈을 오색으로 물들인 단풍을 바라보는 것은 가을철 불갑사 여행의 하이라이트이다. 저수지 위쪽의 평탄한 오솔길을 따라 이어지는 동백골의 단풍도 감상할 만하다. 정읍 내장산이나 담양 추월산의 단풍만큼 화려하진 않지만 수수하고 운치있는 길로 사색을 겸한 산책코스로 제격이다.
○ 불갑사 불갑산과 모악산(347.8m) 사이의 동백골 들머리에 자리잡은 불갑사는 백제 침류왕 원년(384년) 인도 승려 마라난타가 동진을 거쳐 서해를 건너 법성포로 들어와 모악산 자락에 창건한 사찰로 전해진다. 사찰 이름을 '佛甲' 이라 지은 것은 백제 땅에 처음으로 마라난타에 의해 세워진 사찰이란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곳으로, 여느 사찰과 달리 절집이 서쪽을 향해 배치되는 것은, 서방정토를 그리는 아미타불사상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도 있지만, 마라난타가 서해를 건너 백제에 당도했기에 이를 기리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불갑산은 사찰과 더불어 꽃무릇 자생지로도 이름나 있다. 추석 무렵의 개화기에는 넓은 숲바닥이 한창 피어난 꽃무릇으로 인해 온통 붉게 물든다. 늦여름에서 초가을까지 온 산을 붉게 물들이는 꽃무릇은 꽃이 지고 나면 잎이 돋고, 잎이 지고 나면 꽃이 피는 등, 꽃과 잎이 함께 볼 수 없다 하여 '화엽불상견(花葉不相見)', '상사화(相思花)'라 불리는 풀이다.
상사화는 말 그대로 잎과 꽃이 평생 한 번도 만나지 못한다고 해서 붙여진 꽃 이름이다. 9월 하순과 10월 초순 사이에 꽃이 지고 나면 그 자리에 잎이 돋아나 눈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그리고 이듬해 5 - 6월이 되면 잎은 완전히 시들고 9월경에 가느다란 줄기가 올라와 9월 하순 무렵에 완전히 만 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도 지역의 몇몇 사찰 주변에 상사화 집단 군락지 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곳이 고창 선운사와 영광 불갑사 주변이다.
동백골에는 참식나무(천연기념물 제112호)와 비자나무 등 희귀수종과 단풍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가을철이면 화려하게 빛나곤 한다.
○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112호. 참식나무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신라 법흥왕 때 경운스님과 인도공주 진희수와의 애절한 사랑을 전설로 담고 있기도 하다. 불갑사가 북방 한계선이며 목질이 단단하여 가구재로 쓰이고 타원형의 열매는 염주로 쓰인다.
○ 용천사 꽃무릇 용천사를 찾아들어가는 길목에서부터 이파리없이 꽃대만 쑥 올라와있는 꽃무릇과 인사를 나누게 된다. 야트막한 산자락에 뿌려져있다시피 자란 자생 꽃무릇이 가을하늘아래 유난히 붉다.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에 있는 용천사 꽃무릇 자생 군락지. 9월중이 꽃무릇 축제기간이며, 9월말까지는 꽃무릇을 볼 수 있다. 용천사 주변으로 20만평이 형성돼있다하니 우선 용천사를 통해 올라가기 쉬우나 입구에 나있는 산책로로 먼저 올라보라. 야트막한 산책로를 죽 따라서 꽃무릇을 감상하고 용천사쪽으로 내려오는데 아무리 헤찰부려도 30분정도 걸린다.
항아리들을 탑처럼 쌓아 산책로 입구에 세워뒀다. 초입 여기저기에 만들어둔 초가정자와 대나무 평상이 놓여있다. 한숨 푹 자고 있는 아저씨의 모습이나 한가하게 앉아 이야기 나누고 있는 사람들의 풍경이 편안하다. 나무들 사이로 나있는 고즈넉한 산길, 불어오는 가을바람이 시원스럽다. 밉지 않게 만들어진 인공폭포도 보고 흔들흔들 구름다리를 건너면 이마에 땀나지 않아도 쉬어가고 싶게 놓여있는 예쁜 나무의자, 적당히 눈대고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자라고 있는 나무들 그리고 무리를 이룬 꽃무릇. 오래도록 걷고 싶은 숲길이다.
흔히 꽃무릇과 상사화(相思花)를 자주 혼용한다. 꽃무릇과 상사화는 둘다 수선화科 상사화屬에 해당하는 야생구근식물. 꽃은 피우지만 열매는 맺지 못하며 풀잎이 말라 죽은 뒤 꽃대가 나와서 꽃이 피므로 풀잎은 꽃을 보지 못하고 꽃은 풀잎을 보지 못한다. 상사화는 꽃무릇보다 더 이른 7 - 8월에 피고 색깔도 분홍색에 가깝다.
9월에 만개한 꽃무릇은 50 - 60cm 꽃대에 어린아이 손 바닥만한 붉은 꽃이 핀다. 꽃이 피었다가 지면 그 밑에서 마늘잎과 비슷한 진한 녹색의 두꺼운 잎이 나와 겨울동안 숲 속에서 푸른 상태로 지낸다. 볕든 들판이 아닌 참식나무 단풍나무 그늘에 숨어 100~200평씩 무리지어 핀다하여 꽃무릇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석산(石蒜)이라고도 부르는데 '돌틈에서 나오는 마늘모양의 뿌리'라는 뜻이다.
불갑산 앞뒤로 기대있는 용천사와 영광 불갑사, 고창 선운사 주변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듯 절 주변에 꽃무릇이 많이 핀 이유는 뿌리에 있는 독성(알칼로이드 성분)이 방부효과가 있어 탱화를 그릴 때 사용하면 좀이 슬지 않아 스님들이 직접 키웠던 꽃이기 때문이다.
숲길 끝에서 만나는 용천사는 서해안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현재의 사찰은 6.25전쟁때 불에 타 중창된 것이다. 그러나 남은 유물로는 석등과 괘불석주가 있다. 대웅전 오른쪽에 있는 석등은 17세기 것으로 강희 24년에 세웠다는 글씨가 석등에 새겨져 있다. 옥개석이 특이하게 팔작지붕형태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둥에 조각된 거북형상이 귀엽다.
|
첫댓글 우리고향 콜~~~~~~~
미~투! ㅎ
I'm too~~!
하는거요
언능 갑니다......
함께 가시게요 메조1.2
가부러~~ㅎ
ㅋㅋㅋ 술깨셨나보내요ㅎ 코탁지에서 같음 못뵐줄알았는디^^
당근 그러셔야죠잉
나도콜~~~~~
저두콜~~~~^^
오승민 님 신청이오~!!
용천사에서 올라가지...신청
최현웅 신청합니다.(시청)
신청합니다(2명) 비
신청합니다ㅎ44번(염주 )
2명신청~~`29,30자석부탁합니다
오늘부터 비엔날레 행사기간입니다.
오는 11월 3일까지 주차장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되,
부득이 차량을 가져 오신 회원님은 본문에 게시한 것 처럼 안쪽 도로에 요령껏 주차하시고,
버스 승차는 구. 전남 교육청 입구에서 하시면 되겠습니다...
본문 내용을 참고하세요...~~~
준자외1명 참석합니다(시)
신청합니다.
참석 합니다.(비)
참석합니다.외 3명
하남 국민연금관리공단 앞 대로변에서 승차 되나요?
가는 방향이니 잠시 멈추겠습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이씨네,누리님 신청합니다
참석합니다.^^
참석 합니다(염)
39 40번 2좌석 예약합니다
비엔입니다
정종기님외2명신청합니다
늦었지만좌석2자리있을까요?(비)
새삼스럽게...언능 오셔요
죄송 합니다..이번주도 함께하지 못함에..
추석전 마무리 현장이 있어 부득이 하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