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MyLoveChina 원문보기 글쓴이: 익명회원 입니다
중국에서의 기독교선교의 반성과 도전
Lin Zhi Ping 과 Cha Shi Jie 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1)
1.1. 문화적 갈등 -
의심의 여지도 없이 유교학자들은 중화국가의 고대중국문명에 대하여 대단한 자부를 가지고있었다. 유교적 정신은 중국의 문화와 전통과 유산속에 여러 세기동안 너무 깊게 박혀있기 때문에 중국의 민족적 정체성은 결코 유교와는 떨어져서 생각할 수가 없다. 이들의 세계관과 사고방식 가치체계는 서구선교사들과는 너무나도 차이가 많이 있었다. 비록 중국이 그동안 다른 소수민족의 문화와 외국 몽골과 만주정부로부터 동화를 경험하기는 했지만 중국의 한족문화는 여전히 주류를 이루면서 계속 남아 있었고 또한 다양한 문화적 변화에 직면하면서도 여전히 살아남아 있었다
인류학적인 견해에서 볼 때, 전통적인 문화는 종종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인 장벽을 맞추치면서 변화하게된다. 문화는 결코 정지되어 있지 않으며 전통문화는 아주 천천히 오랫시간을 걸쳐서 변화를 경험한다. 그들의 인종적 우월성과 전통적 우월성으로인해 중국인들은 외국인들과 외부인들을 야만인으로 여겼다. 중국인들은 외국선교사들이 서구의 문화를 중국과 그들의 사회속으로 강제적으로 강요를 하고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중국인은 중국인의 정체성과 문화적 유산과 정통 이데올로기와 윤리적 가르침에 대한 이와 같은 심각한 위협을 결코 무시할 수만은 없었다. 그들은 매우 놀라서 적의감과 저항감으로 대응하였던 것이고 외국인들이 함께 가지고 올 외국적 사상으로 인한 어떤 변화도 거부한 것이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중국문화의 이해가 부족하여 결국 문화적인 갈등을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서구선교사들은 중국 문화안에 있는 긍정적인 것 보다는 오직 “이방인”인 중국을 구속하고있는 미신적인것과 후진적인 요소들만 보았다. 그들은 중국을 이러한 것으로부터 “해방”해야한다고 느꼈고 또한 그리스도안에서 기독교적 문화를 따름으로 얻는 자유함을 중국인에게 찾아주어야한다고 느꼈다. 더욱이 그들은 서구문명이 모든면에서 중국문명보다 우월한 것이며 중국이 서구와 같은 현대화의 길로 나가야 한다고 믿었다. 어떤 선교사들은 현대화를 통해서 중국을 “문명화”해야한다고 느꼈다.2)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문화적 충돌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1.2. 문화적 지배 -
난징조약이후 개신교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왔을 때 그들은 서구열강의 무장선박과 서구권력의 체외영역권리 등과 선교사들이 가까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것들은 중국의 관리들의 눈에는 중국국가의 존엄성과 명예에 수치심을 주는 심각하게 불평등한 것이었다. 기독교는 문화적 지배와 제국주의의 수단으로 여겼는데 특별히 중국인이 기독교로 회심하는것은 중국의 정체성과 문화를 버리고 서구의 방법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생각을 했다. 간단히 말해서 중국인들이 기독교인이 되면 그것은 문화적인 탈구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본것이다. 그리고 선교사들이 중국인기독교인들마저도 체외국인의 권리를 중국법정 앞에서 주장하자, 그것이 옳든지 그르든지 간에, 이것을 문화적 지배와 중국법에 대한 도전의 징표로 보게되어 중국관리들을 더욱 화나게 만들었다.
기독교는 점차로 반유교적인 것으로 인정되고 중국인들의 명예감과 성구별을 통한 윤리적인 예절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으로 인정하였다. 중국의 기독교남녀들이 교회에 모여서 함께 예배드리는 것을 유교학자들은 교회가 사람들을 성적으로 부정하게 만들고 간음적 행위의 죄를 저지르도록 한다고 생각했다. 가족단위는 중국에서 매우 중요한데, 기독교개종자가 부모의 권위보다 교회의 권위에 더욱 복종하는 것을 볼 때, 교회야말로 부모의 권위를 침해하는 것으로 보았다.3) 또한 선교사들이 개인전도를 위해서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것이 Jane Hunter 는 주장하기를 “제국주의적 선교” 혹은 “친밀한 전도를 통한 습격”4)으로 마음이 약한 중국인들을 위압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에게 리더십을 매우 늦게 양도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교회와 기관과 대학에서도 비슷했다. 교회가 자립하고 자치하고 자전하는 교회가 아니라 선교사들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도록 길들여졌다. 1920년대 초기에 민족주의가 크게 일어날 때 반외국인주의(anti-foreignism)와 반제국주의(anti-imperrialism)가 그 최고조를 이루었는데, 이때 중국인들의 눈에는 중국교회의지도력과 권위가 여전히 서구선교사들의 지배아래 있는 것을 보면서 교회를 애국심이 부족한 단체로 인식하였다.
1.3. 중국문화와 공동체의 결속에 대한 거부 :
중국인은 매우 집단중심적인 사람들이기에 가족과 공동체의 결속에 대하여 매우 강조하였다. 공동체안에서의 구성원들은 경제적으로 공동체의 축제에 경제적으로 참여하고 공헌하고 공동체의 다양한 기능에 참여하도록 되어있었는데 예를 들어 어떤 종교적 축제기간에 그들의 신들을 환영하는 달리기에 참여하는 것과 같은 것이었다. 중국인 회심자들은 이러한 행사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였는데 이것을 기독교가 중국의 전통과 사회관습을 거부하는 것으로 여겼고 결국 공동체안에서의 관계의 결속을 해치는 것으로 보았다.
기독교신앙을 재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어떤 중국인들은 기독교인들이 비인간적인 행위에 참여한다고 하는 의심의 소문이 나돌기도 했다. 예를들어 죽은사람들의 눈을 파낸다는 소문과 신생아를 잡아 먹는다는 말들과 혹은 기독교종교에 들어오게 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강제적으로 약을 먹인다는 등의 말, 설교가가 여성들을 이용하여 약을 먹여서 간음을 하게 한다는 식이었다. 이러한 것들은 부분적으로는 교회안에서 기독교인들이 사용하는 교회적 용어의 오해때문이기도 했는데 예를들어 성찬에 사용되는 용어들이 기독교신앙에 대한 오해를 불러 일으키게 하기도했다. 혹은 선교사들이 버려진 아이들에 대한 동정심으로 인해 이들을 양자로 들이거나 혹은 이들을 위해 고아원을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행동은 중국인으로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일이었기에 엉뚱하게 결론을 내린것이었다.
1.4. 과학의 진보와 실용주의와 물질주의에로의 장애: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진 서구의 현대교육은 새로운 지식인들을 많이 배출하였는데 이들은 과학이야말로 국가를 현대화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믿었다. 학교와 대학교육을 통해서 그들의 생각의 지평이 넓어지면서 새로운 지식인들은 더욱 지식을 추구하였는데 이것이 결국 Bertrand Russell이나 Taggio 혹은 Charles Darwin 이나 John Dewey 와 같은 무신론자들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흥미로운것은 선교사들은 비록 과학과 고등교육을 소개하기는 하였으나 기독교신앙에 갈등을 일으킬 만한 요인이 될 지식들은 가르치지 않았다. 특히 러셀과 같은 사람은 공개적으로 왜 자신이 기독교인이 아닌지에 대하여 말하였는데 그와 같은 무신론자들의 능변적 영향력이 Chen Tu-Siu 와 같은 중국지식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이와같은 무신론 중국 지식인들은 기독교야말로 중국이 과학과 실용주의와 물질주의를 통한 진보를 이루는데 장애가 된다고 보았다.
Ⅱ. 중국에서의 기독교선교의 영향
이러한 문제들에 직면하면서도 기독교선교는 중국과 그 백성들에게 많은 긍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중국은 20세기에 현대세계로 전환을 할수 있게 되었다. 다음은 중국문화와 중국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준 공헌점 들이다.:
2.1 현대교육의 도입:
선교사들은 교육에 있어서 촉매제역할을 하였는데 그것은 중국 정부로 하여금 소년소녀들을 위한 현대식 일반교육을 하게 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또한 성인남녀도 유치원수준에서 초등교육수준으로 또한 중등교육수준으로 높아지면서 그리고 정상적인 학교와 대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서구의 현대적 교육은 과학과 전문훈련, 즉, 교사대학과 의과대학 간호학교 등등을 소개하였고 이것은 중국에 새로운 직업을 소개하는 길이 되기도 하였다. 선교사들의 외국에서의 계속교육의 기회를 부여하여 중국을 세계에 소개하고 반대로 세계를 중국인들에게 소개하기도 하였다. 오늘날까지도 중국은 여전히 고등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해외에서의 계속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동시에 현대교육은 사역을 위하여 교회일꾼들을 교육하게 하기도 했고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영적 성숙을 위해서 성경과 기독교서적들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쳤다. 음성학을 발전시킴으로 선교사들은 교육받지 못한 나이 많은 문맹자 여성들에게도 성경을 스스로 읽도록 가르쳤다. 그들은 James Yen 과 함께 무지의 속박을 깨고 넓게 퍼져있는 문맹률을 줄이기 위해서 대중들의 언어(pai hua)를 사용하는 평민교육을 위해 노력하였다. 교육은 더 이상 상류층 계급의 독점물이 아니었다. 직업학교와 산업학교 또한 중국인을 사회의 유용한 직업인이 되도록 교육하였다.
2.2 여성교육:
Mary Aldersey 가 남포에서 여성교육을 시작하였을 때, 그것은 너무나도 혁신적이어서 중국인들은 처음에는 자신들의 딸들을 교육할 가치에 대하여 거부하였다. 그러나 결국 정부와 사회는 학교에서의 여성교육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것은 가족과 사회안에서의 여성의 지위를 높이게 하였다. 동시에 이것은 중국의 격언인 “덕스러운 여성은 재주를 찾지안고 그들의 덕이나 도덕적 기준을 잃지 않기 위해서 교육을 적게 받는다”고 하는 생각을 반박했다. 대신에 교육받은 중국여성들은 그들이 가족과 사회안에서 전문인으로 혹은 유용한 직업으로 혹은 새로운 지식인으로 공헌할수 있음을 증명해주었다.
여성과 남성을 교육함과 함께 여성의 전족관습(footbinding)도 제거하려고 노력하였고, 조혼관습을 철폐하도록 노력하였고 조혼대신에 자신들과 가족들의 더좋은 미래를 위해 노력하도록 하였다. 여성교육을 한지 100년도 채 안되어서 학교의 소녀들의 입학은 1849년에 50명이 안되던 것이 1916년에 50,173명이 되었다. 여성들은 지적으로 육체적으로 영적으로 또한 사회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배웠다.
처음에는 남녀학교가 따로 있었으나 선교사는 결국 학교와 대학에서 남녀공학을 받아들이도록 만들었다. 바로 남녀공학으로인해 중국의 남녀들은 건강한 환경에서 사회화하는 법을 배우게되었다.5) 그리고 선교사들의 모습을 보면서 독신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견해를 남녀들이 가지게 되었고 또한 독신도 가능한 선택이라는 것도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결혼관도 바꾸어서 결혼을 인생에 있어서의 동역과 동료로서의 관계로 인식하도록 배우기도 했다.
여성교육은 이런 의미에서 실제적인 조직없이 여성해방운동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것이야말로 명나라와 청나라 때에 최초의 여성해방적 사상을 가진 중국학자들이 해낼수없었던 일을 바로 이때 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또한 이상적이 여성상에 대한 유교의 성차별적 이데올로기를 현대적 여성의 새로운 개념으로 변화하게 하였고 성구별(sex segregation)의 베일을 걷어내게 하였던 것이다.
2.3 사회의식의 상승:
영국이 중국에 자신들의 아편무역을 강요하여 아편을 피우도록 하기 전에는 중국은 아편을 피우는 것을 금지하였다. 그리고 담배를 피우는 것도 많은 평민중에는 중독상태에 있는자들이 많았다. 선교사들은 기독교인들에게 이러한 아편과 담배 피우는 것이 악한 행위라고 일깨웠다. 중국 기독교 여성과 함께 그들은 여성절제회(Women’s Christian Temperance Union: WTCU)를 만들어 금연과 금주와 반아편운동(anti-opium movement)을 펼쳤고 이러한 중독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많은 도움을 제공하였다. WTCU 단체는 또한 도박행위와 여자유아살해, 여자아이 노예제도, 일부다처제, 축첩제도와 매춘행위등과 같은 사회적 악에 대항하는 켐페인을 열고 궁핍한 여성과 어린이들을 위한 피난처를 제공하는등의 일을 하면서 사회적인 의식을 일깨웠다.6)
중국은 자주 홍수나 가뭄과 같은 자연적 재해를 많이 경험했다. 선교사들은 이러한 것의 희생자들을 구제하는 일을 적극적으로 감당하여 믿음안에서의 사랑의 행위를 하였다. 비록 중국사회가 시각장애자, 청각장애자, 극빈자, 고아, 창녀와 같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삶을 살지 않는 사람들을 소외하기 때문에 선교사들은 시각, 청각장애자들과 극빈자들을 위한 집과 고아원을 시작하였고 중국인들에게 사회적 관심과 구제의 일의 중요성을 모델을 보여줌으로써 영향을 주었고 또 이러한 소외된 사람들이 사회의 유용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재활하는 일도 하였다.
2.4 산업화와 도시화:
선교사들은 YMCA 와 YWCA를 먼저는 미션스쿨안에서 조직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가난한 어린이들을 위한 수업을 하도록 만들었다. 후에 도시안에서 글을 가르치고 성경을 가르치고 건강과 위생과 체육과 가정경제에 대한 수업을 하였고 또한 도시의 노동자들과 상류층여성들의 개인적 사회적인 발달을 위한 다양한 수업이 진행되었다. 그들은 두 계층사이의 간격에 다리를 놓기도 했다. 이러한 기관들이 보다 진보적인 신학적 입장으로 돌아설 때 그들은 사회적인 봉사뿐 아니라 공장과 제조원에서의 노동자들의 노동문제와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같은 다양한 기관의 존재는 전반적으로 중국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2.5 기독교사역에 있어서의 여성과 남성의 등장:
교회가 발전됨에 따라 선교사들은 중국인 회심자들을 처음에는 복음전파자들로 혹은 설교가로 혹은 전도부인으로 훈련하여 자신들의 사역을 돕도록 하였다. 그런데 교육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그들은 신학대학교와 신학대학원들을 만들어서 교회와 사회의 변화된 필요에 대응하였다. 여성들도 사역과 선교를 위해서 훈련받게되자 과거 가정안에서의 아내로서의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비교할 때 여성들의 지위도 너무나도 큰 발전이 있었다. 여성 선교사들은 중국기독교여성들에게, 기혼이든지 독신이든지간에, 계속적으로 사역을 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 되어주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 중국기독교인들은 중국에 있었던 서구선교사들의 모델을 따라서 의료사업과 교육사업을 복음전파사역과 교회개척사역과 함께 기독교사역의 한 부분으로 포함하였다.
선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중국기독교인들이 스스로 선교적 비젼을 가질 필요를 느끼지는 못했는데 그것은 바로 자신들이 선교사였기 때문이었다. 그들의 경향은 중국기독교인들을 자신들과 동일한 영적 단계로는 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선교사들은 선교 보조회(mission auxiliaries)들을 만들어서 거대한 중국안에서 선교에 참여하게하였고, 선교적 비전을 나누기도 했다. 이러한 선교사들은 예를들어 Eddy Sherwood, John R. Mott 와 Jonathan Goforth같은 경우에는 중국인 남녀들에게 감동을 주어 훌륭한 전도자들을 많이 배출하였는데 예를들어 John Sung, Watchman Nee, Wang Ming-Dao, Andrew Gih, Leland Wang, Dora Yu 와 Tsai Su-Chuan 등이 있다. 이뿐 아니라 복음 전도단들이 만들어 지기도 했고 중국과 해외에 있는 중국인들을 복음화하기 위해서 Chinese Home Missionary Society같은 것이 만들어 지기도 했다.
Ⅲ. 오늘날의 중국선교의 도전들
중국은 약 13억의 인구가 있는 거대한나라이다.7) 공식적으로 56개의 다른소수 민족들이 있고 이중에서 한족(Han Chinese)은 94%(1,149,538,850)로서 주류를 이룬다.8)
비록 지난 30-40년간 대단한 기독교회심운동이 일어나고 있지만 로마카톨릭과 개신교는 여전히 공식교회와 비공식교회로 나누어져있다. 이러한 엄청난 성장은 공식적인 교회보다는 주로 비공식적인 교회의 현상이다. 중국이 자유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의 사역은 제한되고 정부의 종교국의 감시아래 있다. 삼자교회에 속한 공식교회와 비공식교회와는 많은 이유로 인해 서로 신뢰를 하지 않기 때문에 불편한 관계속에 있다.
오늘날 전세계교회는 계속적으로 중국과 중국의 교회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아직 자유국가가 아니며 선교는 외부인이 내국인의 일에 침입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선교는 공식적으로는 허락이 되지 않는다. 비록 중국이 더 이상 세계와 고립되어있지않고 현대세계에로 움직이고있으며 2001년에는 World Trade Organization 에 들어왔으나 정부는 아직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근거해서 여전히 국가안에서의 종교적 활동을 매우 강하게 제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안에서 일하고자 하는 기독교회와 기관들은 특별히 조심스럽게 행해야한다.
중국선교가 계속되어야할까? 어떻게 기독교인들이 중국에 영향을 주고 중국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할수 있겠는가? 중국의 선교의 역사를 돌아볼 때 우리는 어떤 일을 중국에서 행하든지 매우 지혜로와야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기독교증거에 큰 상처를 입힐수도있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외국에서 일하거나 공부하다가 언젠가 중국으로 돌아갈 중국인중에서도 큰 상처를 입힐수도 있다. 이와같이 접근에 한계가 있으므로 중국선교는 중국과 그 사람들의 존엄성과 명예에 상처를 주지말고 보다 창조적인 방법으로 접근해야할 것이다. 비록 이제 중국이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청나라 시대를 나와서 21세기의 공화국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중국인은 여전히 자신들의 인종적인 정체성과 문화적 유산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지역의 공식교회와 신학교와 함께 협력하는 것이야말로 지금 그들에게 가장 필요한 신학교육의 고급화와 제자화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별히 이러한 것은 복음주의신학에 근거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엄청난 숫자로 성장하는 비공식적인 교회는 적절한 훈련을 받아 교회를 건강하게 성장시킬수있는 일꾼이 많이 부족하다. 이들이야말로 당장 훈련이 필요한데 이들이 영적으로 성숙하도록 도와서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사이비와 이단의 영향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하는데 이러한 사이비와 이단은 연약한 가정교회들을 먹이로 잡아 먹고 있다. 중국어로 된 기독교서적의 부족함도 중국교회의 성장에 저해요소가 된다. 또한 그들은 중국의 한족뿐 아니라 중국의 아직도 많은 미전도 종족으로 남아있는 소수민족들에게도 나아가야한다. 기독교방송은 외부인들이 접근하기 힘든 이러한 지역에 너무나도 귀중하다. 오늘날 방송을 통한 신학교육을 제공하는 방송프로그램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
아직도 많은 인구의 부분이 특별히 시골지역을 중심으로해서 여전히 교육의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학교를 설립하고 문맹률을 없애고 기본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창조적인 방법들이 개발되어야한다. 또한 의료시설의 부족을 극복하고 간호기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으로 기독교인들이 사람들의 삶의 자리에서 그들에게 다가갈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위생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 가난은 여전히 중국의 많은 지역에 가득하기 때문에 직업훈련을 제공하고 자영업을 제공하여 절대적 빈곤에서 벗어나서 경제적인 독립을 할수있도록 도아야하며 노동의 존엄성과 가족부양을 위한 노동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 주어야한다.
고등교육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진리에 대하여 또 종교적 신앙에 대하여 대화하는데 비교적 열려있다. 이러한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복음을 전하는 것은 이들을 결국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할 수 있는 길을 열 수 있다. 중국이 이미 WTO의 멤버이기 때문에 이들을 세계시장과 국제 거래의 장으로 나갈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영역에서 공헌할 수 있고 이외에도 여전히 말과 행동으로 살아있는 증거를 함으로써 다양한 중국인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특별한 훈련을 위해 외국에 나가는 중국인은 중국인 기독교인이든지 아니면 외국인 기독교인이든지 간에 기독교인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잡게된다. 만약 이들이 기독교인들이 되어 그리스도 신앙안에서 성장한다면 그들은 중국의 교회에 큰영향을 줄수있을 것이다.
중국선교는 여전히 오늘날의 자유세계의 교회에 엄청난 도전을 준다. 이러한 사역을 창조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지혜가 필요하고 서로서로의 파트너쉽이 필요하다. 중국은 자신들의 사회를 증진시키고 강력한 국가를 만들려고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자들을 환영한다. 자유세계의 작지 않는 교회들이 중국선교의 시류에 편승하고있지만 오히려 중국인에게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중국에서의 선교의 사명이 계속될수 있기 위해서는 과거뿐 아니라 현재를 통해서 우리는 배워야할 것이다. 또한 아직도 미전도종족으로 남아있는 소수민족들과 중국안에서 고등교육을 추구하는 다른 민족들에게 복음을 전하기위해서 중국기독교인들은 훈련이 필요하다. 만약 중국기독교인들이 이러한 비전을 가지고 잘 훈련받는다면 언젠가 많은 이들이 우리들과 손을 잡고 타문화권선교에 참여하는 날이 오게될 것이다.
Bibliography
Chung, Mary K. M. “Factors Influencing the Role of Women in Christian Ministries in the Chinese Church.” Ph. D.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Ann Arbor, IM: UMI, 1998.
Hartman, D. L. “History of Missions in China.” http://www.imarc.cc/history5.html,(6 Oct. 2002).
Hattaway, Paul. Operation China. Pasadena, CA: William Carey Library, 2000.
Hunter, Jane. The Gospel of Gentility: American Women Missionaries in turn of Century China.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84.
Latourette, Kenneth Scott, A History of Christianity. Vols 1 and 2. NY: Harper and Row, 1975.
Lin, Zhi Ping and Cha Shi Jie. Christianity and History of China(Ji-du jiao yu zhongguo li-sh tu-pian wen-ji). Taipei, Taiwan: Cosmic Light, 1979.
Moffet, Samuel Hugh.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Beginning to 1500. Vol 1. Maryknoll, NY: Orbis, 1998.
T. Russell, “Can the Story Be Told Without Them? The Role of Women in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Missiology 17(2) (1989).
Wei, Wai Yang, The Missionary Enterprise and Modern China (Xuan-jido shi-ye yu jin-dai zhongguo). Taipei, Taiwan: Cosmic Lights, 1978.
Website
http://www.cpirc.org.cn/eindex.htm(15 October, 2002)
출처: inbor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