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크아트의 정의 |
포트아트(Folk art) 또는 톨페인팅 (Tole Painting) 은 유럽과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일반화된 공예의 한 기법으로서, 유럽 시골의 서민 계층이 그들의 여가시간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면서 생겨난, 보통사람들의 예술 이라 할수 있겠다.
포크아트는 오랜 전통속에서 다음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승되었고, 이는 사용을 목적으로하나 장식적인 대단히 실리적인 예술이었던 것이다. 이 포크아트의 주요 취지는 가구나 일상적이 용품에 색깔과 장식을 첨가하여 아름다움을 창조한다는 것이었다.이러한 유럽의 포트아트는 지역에따라 각각 다른 기법과 스타일로 발전하였는데, 그 명칭도 다양하다. 네델란드에서는 힌데로펜 (Hindeloopin)으로 불리었으며, 러시아는 Zhostovo라는 지역의 어두운 바탕에 화려한 꽃무뉘가 유명하여 Zhostovo, 독일은Bauernmalere, 노르웨이는 Stroke work의 장미 그림에서 유래되어Rosemaling , 프랑스는 Tole (Tin, 주석)에 그린다하여, Tole painting이라 이름으로 발전하였다 . 대부분의 서구공예가 그렇듯이 포크아트도 유럽에서 발생, 성장해서 신대륙의 역사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왔고 초기의 개척시대를 지나면서 가구나 실내를 장식하는 기법으로 발전되어 최근에는 보다 장식적인 데코레이트 페인팅으로 표현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포크아트는 빨리 마르고 내구성이 뛰어난 아크릴 물감을 개발하여 그림을 그리는 소재를 목재뿐만 아니라 헝겊, 유리 금속으로 확대하여, 누구나 쉽게, 즐기며 배울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크아트의 일반화에 획기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
 |
▒ 세계각지의 포크아트 |
1. 네델란드의 힌델루펜(Hindeloopen)
|
힌데로펜 ( Hindeloopen)은 네델란드의 북서쪽에 위치한 항구 Hindeloopen에서 유래하였다. 이곳은 중요한 해상무역지로서, 발트해, 암스테르담, 노르웨이오가며 무역을 하는 많은 선원들이 살고 있었고, 이들은 배를 타지 않는 겨울동안은 장식 painting과 같은 기공업(Craftwork) 에 종사하고 있었다.초기의 Folkart는 소나무, 참나무로 가구를 만들어 장미, 꽃 봉오리, 새 같은 것을 조각하여 여기에 채색을 하는 형태였으나, 18~19세기에 이르러서는, 가구뿐만 아니라 부유층의 집안, 즉 방, 문, 천장 벽등을 장식하는 보다 넓은 영역의 장식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Hindeloopen의 특징은 어두운 바탕에 화려하고 뚜렷한 대조적인 색상대비와 Stroke기법이 주를 이루었고 오늘날 볼 수 있는 색상의 혼합이라거나 Floating기법은 찾아 볼수 없다.
주로 사용되는 색상은 Rosemaling와 같이 파랑, 흰색, 초록색 , 빨강 ( Norwegian Orange)이고 Design에서는 로코코 양식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넝쿨, 꽃, 과일, 물결선, 나선형과 같은 추상적 무늬등을 볼수있는데, 이러한 양식은 Hindeloopen과 근접한 Baurenmalerei folk art에서도 찾아볼수있는, 초기 folk art는 주요소재라 할수 있겠다.
또 다른 특징은 바탕을 Marbling처리한 것과 동.서양의 교역을 통해 중국, 인도등 대륙의 영향을 받아 중국 도자기와 같이 흰색 바탕에 푸른색을 채색하는 자기 기법( Porcelain pattern)도 찾아 볼 수 있다. |
2. 독일의 바우언말러아이(Bauernmalerre) |
Folkart는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일의 알프스지역에서 여러세기를 거치며, 발전했고, Bauenmalerei란 말은 "Bauem" 농부, "Malerei" Painting이란 말에서 유래하였다
.이 스타일은 매우 딱딱하고 정형화된 르네상스새대부터 바로코, 로코코시대를 거치며, 매우 화려한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
3. 노르웨이의 로즈말링(Rosemaling)
|
Rosemaling이란 말은 장미그림이란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18~19세기 노르웨이의 시골에서 나타난 folkart 스타일이다.바로코와 로코코양식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black, green, norway blue, norway red의 바탕위에 파랑, 적색, 녹색같은 기본색상을 사용하여 독특하고 선명한 그림을 그렸다. 또다른 특징은 노르웨이의 지형적 특성으로(피요르트 지형) 지방별로 다양한 기법과 스타일이 있었는데, 그중 몇가지 스타일을 살펴보면, 텔레마크 (Telemark) 는 노르웨이의 Rosemaling중 가장 특징적인 스타일이라 할수 있겠는데, 우선 비대칭적인 디자인과 C stroke 와 S stroke를 사용하여 우아한 도안과 꽃장식을 하였으며, 선명하면서 투명한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다.또다른 특징적인점은 장식과 꽃의 윤관을 선으로 처리하였다는 것이다.
Rogelant스타일은 오늘날 미국에서 매우 인기있는 스타일인데, 이는 대칭적이고 정확한 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어두운 바탕에 아주 정교한 Shading기법으로 3가지 명암을 볼수있다.또한, 해상길의 발달로 네델란드와 독일의 영향을 받아 많은 작품에서 튜립을 볼수 있다.또 다른 스타일은 Halingdal스타일인데 이는 그림 소재로서 크고 대담한 꽃문양을 사용하였으며, 색상은 적색 바탕에 강하고 힘있는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다.디자인은 비대칭적이며, Shading기법으로 명암을 주는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 이었다.
Rosemaling은 지역에 따라 독특한 기법과 스타일이 있었으나, 모든 Rosemaling 은 Blue, green red, black, white 와 같은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고, 또한 기법에 있어서는 Tear drop 기법(역 Comma stroke)이 있었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
4. 러시아의 조스토보(Zhostovo) |
러시아의 Folkart Zhostovo는 모스코바 근처의 작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18~19세기경 이 도시에 검은색 바탕위에 가는 금색선과 우아하고 밝은 색상으로 화려하게 장식을 한 enamel 쟁반을 만들어 파는 곳이 있었는데, 19세기 도시가 커지고 호텔, 레스토랑들이 들어서면서 이 쟁반사업도 성장하여 주변 다른 지역에도 유명해졌으며, Zhostovo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Zhostovo는 검은 바탕에oil painting으로 채색을 하고 정교한 금색선으로 장식한후, 마지막에는 강한 윤을 내기위해 라커칠을 하는 스타일로 정착하게 되었다. |
 |
▒ 세계각지의 포크아트 |
 |
물감
포크아트 전용 물감인 수성 아크릴 물감을 사용합니다.
|
 |
붓
- 스텐실붓 : 가볍게 두드려서 명암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 둥근붓2,4호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붓. - 라이너 : 가느다란 선이나 잎맥을 그릴 때 사용 - 평붓 : 좁은 면을 칠하거나 넓은 면의 사이드로딩 할 때 사용된다 - 페인팅붓 : 넓은 면을 칠하거나 마감제를 바를 때 사용된다 |
 |
마스킹 테이프
트레이싱페이퍼나 먹지를 고정시킬 때 ,라인을 그릴 때 (일종의 종이테이프) 사용한다.
|
 |
팔레트
물감을 덜어 놓을 때 사용한다.
|
 |
먹지
재료와 트레이싱지 사이에 놓고 패턴을 옮길 때 사용하며 주로 흰색과 검정색이 사용합니다.
|
 |
해면 스폰지
붓의 물기 조절시나 먼지 제거시에 사용합니다.
|
 |
도트
도안을 옮기거나 점을 찍을 때 사용합니다.
|
 |
마감제
수성아크릴 물감으로 그림을 완성한 후 바르는 마감제로 무광택 니스를 바르기도 합니다.
|
 |
▒ 포크아트 테크닉 |
 |
스트로그 기법
스트로그 기법은 "포크아트의 한 종류"라고 말할 정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스트로그 기법은 붓에 물감을 충분히 묻혀서 직각으로 힘을 주어서 누른 다음 천천히 붓을 들어 올리면서 꼬리가 뾰족하게 나오도록 한다. 꽃, 장식 테두리등 널리 사용된다 |
 |
도트(점)기법
둥근 붓이나 도트를 이용해서 동그란 점을 그리는 기법(점을 그릴 때마다 물감을 다시 찍는다) 둥근 붓이나 도트에 물감을 듬뿍 묻혀서 직각으로 찍는다
|
 |
브랜딩 기법
포크아트에서 입체감을 넣어 주는 기법 중의 하나로사이드로딩을 이용한 FLOATING 기법이 수채화 적인 느낌이 난다면 BLENDING기법은 유화적인 느낌이 나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딩 기법은 밑색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밝음 이나 어두움을 표현하기 위한 색상을 덧바름으로써 자연스러운 물감의 혼합을 통해 입체감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그리기; 붓에 듬뿍 물감(밑색)을 묻힌 후 붓 끝에만 살짝 흰색이나 갈색을 묻혀서 그리면 붓에서 물감이 자연스럽게 혼합이되어서 나타난다 |
 |
싸이드로딩 기법
싸이드로딩 기법은 앵글붓(1번그림) 또는 평붓(2번그림)을 이용해서 입체감을 주는 기법인데요...앵글붓이 사용하기에 편하더라구요 1) 우선 붓에물을 조금 찍은 후 ... 빠렛트에 풀어놓은 물감(물감에도 물을 1,2망울 넣어 섞어두세요)을 붓의 1/3정도에만 묻힌다) 2) 빈 빠레트에서 2-3회농도를 조절해서(그림을 그리듯이 그려보세요)그린다 3) 물감이 물과 섞여서 자연스럽게 나타나지요 |
 |
스텐실기법
1) 붓끝에 물을 살짝찍어서 풀어놓은 물감을 붓의 끝에 찍어서 한다.
2,연습종이에서 붓이 종이와 직각이되게찍어보세요 (이때 물감이 뭉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
뿌리기
1) 물감을 묽게하여 붓에듬뿍 묻히고... 그림과같이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 손가락으로 톡톡치세요... 주의 !,물감의농도가 다른기법보다 더 묽어야합니다(그렇지 않으면물감이 잘 튀지 않아요) 2) 물감이 사방으로 튀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부분은 종이로 가리고 뿌려야 겟지요 3) 연습종이에 연습하는 것은 잊지마세요.. |
 |
한 가지 색의 스펀징
스펀징은 스펀지를 이용해서 특수 효과를 내는 방법으로 전용 스펀지나 문방구에서 파는 일반 스펀지의 모서리를 둥글 게 잘라 사용한다. 물감을 빠렛트에 풀은 후 물을 몇방울 넣어 섞은 뒤 스펀지에 물감을 뭍혀서 찍어서 표혀한다. |

|
두 가지 색의 스펀징
두 가시 색으로 스펀징을 할 때는 우선 바탕색을 바른 후 원하는 색상의 물감을 스펀지에 뭍힙니다.
그런 후 스펀지를 손가락 중간에 넣어서 접은 후 물감을 찍어 표현하고 타올에 두드려서 물감을 정리합니다. 다른 색상은 다른 스펀지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여 표현하도록 합니다.
|
 |
글자패턴
|
 |
랩핑 기법
우선 원하는 물감을 선택하여 바탕색을 칠한다. 그리고 랩핑을 하고자 하는색의 물감을 덜어낸 후 7내지 8배 정도의 물을 섞는다. 그리고 원하는 부분에 물감을 바른 뒤 마르기 전에 유니랩을 바르고 살짝 두드리면 된다. |
 |
wood stain 테크닉
wood stain은 나무의 자연 무늬를 살려서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보조제로 물과 함께 섞어서 사용합니다. 진한 색상을 원할 때는 2내지 3회 정도 덧발라 주면 되고 wood stain을 바른 후에 그 위에 그리는 그림은 수정시 얼록이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
▒ 포크아트 테크닉 |
 |
1) Side-loading 기법 ( 또는 Floating 기법) 평붓을 물에 적신후, paper towel에 붓을 두번정도 가볍게 찍어 수분을 조절하고 그림과 같이 평붓 한쪽만 물감 을 뭇혀 파렛트위에서 농도를 조절한후, 작업한다. 처음부터 너무 진하지 않도록 하여, 여러 번 되풀이하여 명암을 주도록 한다. 작품에 명암을 주기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서 기본색보다 어두운 색상으로 Side-loading하여 그림자를 표시할때는 shading이라하고, 기본색보다 밝은색으로 Side-loading 밝은 부분을 표시할때는 Highlighting이라한다. |
 |
2) Double Loading(더블 로딩) 평붓을 물에 담갔다 종이타월로 물기를 닦아낸다, 너무 건조하시도 너무 물기가 많지도 않게 하여야 한다. 그림과 같이 평붓의 한쪽과 또다른 쪽에 다른 색의 물감을 묻힌후 물감이 자연스럽게 섞이도록 팔레트위에서 여러 번 loading하여 색상을 조절한다.
|
3) Stroke 기법 Stroke기법에서 중요한것은 물감을 듬뿍묻혀 한번에 그리는것이다. 이때, 지연제나 유동제와 같은 보조제를 사용하면, 작업효과가 증대된다. |
 |
a. Comma Stroke
환붓에 물감을 뭇힌후 농도를 조절한후 그림과 같이 붓끝부터 힘을 가해 꾹 눌른후 힘을 빼면서 comma를 찍듯이 살짝 붓을 빼낸다.
|
 |
b. Leaf Stroke
말그대로 나뭇잎이나 꽃잎을 그릴 때 자주 사용되는 기법이다. 하는 방법은 Comma Stoke과 비슷하나 그림과 같이 comma모양이 아니라 잎모양처럼 붓을 쭉 뽑아주는 기법이다. |
 |
c. liner stroke
필붓을 사용하여 가는 선을 그릴 때 사용되는 기법이다. 떨림없이 곱게 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손의 무게중심을 새끼 손가락에 두고 새끼 손가락으로 단단히 받쳐 그리도록 한다. |
 |
d. S-stroke
표면에 환붓의 끝으로 살짝 터취하듯이 된다. 붓에 힘을 주어 S자 모양이 되도록 하다, 방향을 바꾸어 점차적으로 힘을 빼면서 S자 모양이 되도록 한다.
|
 |
4) Tipping (점찍기)
그림과같이 볼펜끝이나 필붓끝에 물감을 묻혀 점을 찍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