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有基無壞(유기무괴) : 기본이 서 있으면 무너지지 않는다
<춘추좌씨전/양공/24년/기원전 549년> 二十四年春(이십사년춘) : 양공 24년 봄에 穆叔如晉(목숙여진) : 목숙이 진나라로 가니 范宣子逆之(범선자역지) : 범선사가 그를 맞이하면서 問焉曰(문언왈) : 묻기를 古人有言曰(고인유언왈) : "'옛사람의 말에 死而不朽(사이불후) : '죽어도 썩지 않는다는 것'은 何謂也(하위야) : 무엇을 말함인가요."라고 했으나 穆叔未對(목숙미대) : 숙곤표가 대답하지 않으므로 宣子曰(선자왈) : 범선자가 다시 말하기를 昔匃之祖(석개지조) : "옛날 우리 조상은 自虞以上爲陶唐氏(자우이상위도당씨) : 순임금 이전에는 도당씨라고 하고 하나라 在夏爲御龍氏(재하위어룡씨) : 때는 어룡시라고 했으며 在商爲豕韋氏(재상위시위씨) : 상나라 때에는 시위씨라고 하고 在周爲唐杜氏(재주위당두씨) : 주나라 때에는 당두씨라고 하였으며 晉主夏盟爲范氏(진주하맹위범씨) : 진나라가 중하의 맹주가 된 현재에는 범씨라고 하니 其是之謂乎(기시지위호) : 이런 것을 두고 말하는 것입니까."라고 하자 穆叔曰(목숙왈) : 목숙은 이렇게 대답했다. 以豹所聞(이표소문) : " 내가 듣건대 此之謂世祿(차지위세록) : 그런 것들을 세록이라고 하며 非不朽也(비불후야) : 썩지 않는 것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魯有先大夫曰臧文仲(노유선대부왈장문중) : 노나라의 옛날 대부 장무중이라는 이가 있어 旣沒(기몰) : 그가 이미 죽었으나 其言立(기언립) : 그의 말은 세상에 아직도 남아 있으니 其是之謂乎(기시지위호) : 이것을 일러 죽어도 썩지 않는다는 것이오 豹聞之(표문지) : 내가 듣건대 大上有立德(대상유립덕) : 최상은 덕을 세우는 것이고 其次有立功(기차유립공) : 그 다음은 공을 세우는 것이며 其次有立言(기차유립언) : 그 다음은 말을 남겨 놓은 것인데 雖久不廢(수구불폐) :이 세 등급의 사람은 죽은지가 오래 되어도 없어지지 아니하는 것이니 此之謂不朽(차지위불후) : 이것을 썩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오 若夫保姓受氏(약부보성수씨) : 대저 성을 보유하고 씨를 계승하여 以守宗祊(이수종팽) : 종묘를 지키면서 世不絶祀(세불절사) : 대대로 끊이지 않는 자는 無國無之(무국무지) : 어느 나라에도 있는 것으로 祿之大者(록지대자) : 이것은 복이 큰 것이지 不可謂不朽(불가위불후) : 썩지 않는 것이라고는 말할 수가 없소." 范宣子爲政(범선자위정) : 범선사가 진나라의 정권을 잡자 諸侯之幣重(제후지폐중) : 제후들이 바치는 공물을 늘이고자 하므로 鄭人病之(정인병지) : 정나라 사람들이 이를 걱정했다 二月(이월) : 2월에 鄭伯如晉(정백여진) : 정나라 임금이 진나라로 갈 때에 子産寓書於子西(자산우서어자서) : 정자산이 편지를 서서 자서로 하여금 가지고 가서 以告宣子曰(이고선자왈) : 범선자에게 알리게 했다 子爲晉國(자위진국) : "귀하가 진나라의 정권을 잡자 四鄰諸侯不聞令德(사린제후불문령덕) : 사방 이웃의 제후들이 귀하의 성덕을 듣지 못하고 而聞重幣(이문중폐) : 공물이 증가하는 소식을 들으니 僑也惑之(교야혹지) : 소생도 매우 당혹했습니다 僑聞君子長國家者(교문군자장국가자) : 소생이 묻건대 非無賄之患(비무회지환) : 군자가 국가의 장이 되어서는 而無令名之難(이무령명지난) : 재물을 얻지 못하는 것을 걱정하지 아니하고 좋은 평판이 없는 것을 걱정한다고 했습니다 夫諸侯之賄聚於公室(부제후지회취어공실) : 만약 제후들의 제물이 진나라 임금의 왕실로 모인다면 則諸侯貳(즉제후이) : 제후들은 배반할 것입니다 若吾子賴之(약오자뢰지) : 만약 귀하가 사리사욕을 채운다면 則晉國貳(즉진국이) : 진나라 사람들은 귀하를 배반할 것입니다 諸侯貳(제후이) : 제후들이 배반하면 則晉國壞(즉진국괴) : 진나라는 망할 것이고 晉國貳(진국이) : 진나라 사람들이 배반하면 則子之家壞(즉자지가괴) : 귀하의 집이 망할 것이니 何沒沒也(하몰몰야) : 어째서 이익을 탐하여 깨닫지 못하십니까 將焉用賄(장언용회) : 장차 어디에다가 재물을 쓰고자 하십니까 夫令名(부령명) : 대저 명예는 德之輿也(덕지여야) : 덕의 수레이고 德國家之基也(덕국가지기야) : 덕은 국가의 기초입니다 有基無壞(유기무괴) : 기초가 있으면 무너지지 않으니 無亦是務乎(무역시무호) : 힘쓰지 않을 수가 있겠습니까 有德則樂(유덕칙락) : 덕이 있으면 즐겁고 즐거우면 樂則能久(락즉능구) : 오래 영구할 수가 있습니다 詩云(시운) : 그래서 <시경>에서 말하기를 樂只君子락지군자) : 즐거운 군자는 邦家之基(방가지기) : '나라의 기초로다.'라고 했으니 有令德也夫(유령덕야부) : 이것이야말로 훌륭한 덕을 말하는 것입이자 ' 上帝臨女(상제림녀) : 하늘이 그대 위에 있으니 無貳爾心(무이이심) : 두 마음을 갖지 말라.'고 한 것은 有令名也夫(유령명야부) : 훌륭한 명예를 두고 한 말입니다 恕思以明德(서사이명덕) : 용서하는 생각으로 덕을 밝히면 則令名載而行之(즉령명재이행지) : 훌륭한 명예가 수레에 실리어 가는 것 같아 是以遠至邇安(시이원지이안) : 먼 곳의 사람들이 모두 따라오고 가까운 곳의 사람들이 모두 편안하여집니다 毋寧使人謂子(무녕사인위자) : 차라리 사람들로 하여금 귀하를 비평하되 子實生我(자실생아) : 귀하가 실지로 우리 백성들을 살렸다고 말하게 할 것이고 而謂子浚我以生乎(이위자준아이생호) : 어찌 귀하가 우리의 재물을 빼앗아 스스로 살고 있다고 평가하게 하지 마십시오 象有齒以焚其身(상유치이분기신) : 코기리가 이빨 때문에 죽음을 당하니 賄也(회야) : 상아가 보배롭기 때문입니다 宣子說(선자설) : ."이러한 편지를 범선자가 받다보고 기뻐하며 乃輕幣是行也(내경폐시행야) : 곧 공물을 가볍게 하여 주었다 鄭伯朝晉(정백조진) : 이번에 정나라 임금이 진나라에 조회하러 간 것은 爲重幣故(위중폐고) : 많은 공물을 줄이고 且請伐陳也(차청벌진야) : 또한 진나라를 정벌할 것을 요구하기 위해서였다 鄭伯稽首(정백계수) : 정나라 임금이 머리를 조아리니 宣子辭(선자사) : 범선자가 이를 사양하였다 子西相曰(자서상왈) : 자서가 옆에서 도우면서 말하기를 以陳國之介恃大國(이진국지개시대국) : "진나라가 초나라를 의지하고서 而陵虐於敝邑(이릉학어폐읍) : 우리 정나라를 능욕하므로 寡君是以請請罪焉(과군시이청청죄언) : 우리 임금님께서 그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요청하는 것이오. 敢不稽首(감불계수) : 감히 머리를 조아리지 않을 수가 있겠습니까."라고 했다 孟孝伯侵齊(맹효백침제) : 맹효백이 제나라를 침범한 것은 晉故也(진고야) : 진나라 때문이었다 夏楚子爲舟師以伐吳(하초자위주사이벌오) : 여름에 초나라 임금이 수군을 편성하여 오나라를 정벌했으나 不爲軍政(불위군정) : 상벌의 규칙을 만들지 않았으므로 無功而還(무공이환) : 실패하여 돌아갔다 齊侯旣伐晉而懼(제후기벌진이구) : 제나라 임금이 진나라를 정벌하고 또한 두려워하여 將欲見楚子(장욕견초자) : 초나라 임금을 만나고자 하니 楚子使薳啓彊如齊聘(초자사원계강여제빙) : 초나라 임금은 위제강으로 하여금 제나라로 가서 방문하고 且請期(차청기) : 만날 기인을 청해 오게 했다 齊社(제사) : 제나라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에 蒐軍實(수군실) : 각종의 무기를 진열해 놓고 使客觀之(사객관지) : 초나라에서 온 손님에게 보였다 陳文子曰(진문자왈) : 그때 짐눈자가 말하기를 齊將有寇(제장유구) : "제나라는 지금 적을 만날 것이다 吾聞之(오문지) : 내가 듣건대 兵不戢(병불집) : '무기를 거두지 않으면 必取其族(필취기족) : 반드시 자기 겨레를 다친다고 하였소.'라고 했다 秋齊侯聞將有晉師(추제후문장유진사) : 가을에 제나라 장공이 진나라가 이의에서 회합을 열고 제나라로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 使陳無宇從薳啓彊如楚(사진무우종원계강여초) : 진무수로 하여금 위계강을 따라 초나라로 가서 辭且乞師(사차걸사) : 초나라 왕과 만나지 못한 것을 사례하고 또 군대를 빌려 주기를 요청했다 崔杼帥師送之(최저수사송지) : 그래서 최저가 군대를 이끌고 그를 호송하고 遂伐莒(수벌거) : 그 길로 거나라를 정벌하여 侵介根(침개근) : 개근을 침범했다 會于夷儀(회우이의) : 이의에서 회합한 것은 將以伐齊(장이벌제) : 장차 제나라를 정벌하려고 한 것인데 水不克(수불극) : 홍수가 나서 쳐들어가지 못했다 冬楚子伐鄭以救齊(동초자벌정이구제) : 겨울에 초나라 임금이 정나라를 정벌하여 門于東門(문우동문) : 제나라를 구하고자 정나라 동쪽 문을 공격하여 次于棘澤(차우극택) : 극택이란 곳에 주둔했다 諸侯還救鄭(제후환구정) : 그래서 제후들은 돌아와 정나라를 구했다 晉侯使張骼輔躒致楚師(진후사장격보력치초사) : 진나라 임금은 장젹과 보력으로 하여금 초나라 군대에 가서 싸움을 돋우며 求御于鄭(구어우정) : 정나라로 가는 길을 몰라 정나라에게 마부를 요구했다 鄭人卜宛射犬吉(정인복완사견길) : 정나라 사람은 완역견에 대하여 점을 쳐보게 하니 길했다 子大叔戒之曰(자대숙계지왈) : 자대숙이 경계하며 말하기를 大國之人不可與也(대국지인불가여야) : "대국 사람들과는 함께 할 수가 없소."라고 했다 對曰(대왈) : 완역견이 대답하기를 無有衆寡(무유중과) : "많고 적고간에 웃사람은 其上一也(기상일야) : 한가지오."라고 했다 大叔曰(대숙왈) : 이에 자대숙이 말하기를 不然(불연) : "그렇지 않으니 部婁無松柏(부루무송백) : 작은 산에는 큰 소나무나 잣나무가 없는 법이오."라고 했다 二子在幄(이자재악) : 장격과 보력 두 사람은 천막 안에 있으면서 坐射犬於外(좌사견어외) : 완역견은 천막 밖에 있게 하고서 旣食而後食之(기식이후식지) : 그들이 먹은 뒤에야 먹이고 使御廣車而行(사어광차이행) : 병거를 몰고 가게 했는데 己皆乘乘車(기개승승차) : 자기들은 모두 편안한 수레 안에 앉아서 將及楚師(장급초사) : 바야흐로 초나라 군대가 주둔한 고셍 이르러서 而後從之乘(이후종지승) : 완역견을 함께 수레에 타게 했는데 皆踞轉而鼓琴(개거전이고금) : 그 두 사람등은 다리를 뻗고 편안히 앉아 거문고를 뜯고 있었다 近不告而馳之(근불고이치지) : 그래서 완역견은 마음속으로 그들의 무례함을 한탄하고 적이 가까워졌는데도 고의로 알리지 않고 차를 몰아 달렸다 皆取冑於櫜而冑(개취주어고이주) : 그 두 사람은 급한 중에 자루에서 투그를 꺼내어 머리에 쓰고 入壘皆下(입루개하) : 적진으로 뛰어들어 수레에서 내려 搏人以投(박인이투) : 맨주먹으로 초나라 사람을 때려 눕혀 그들의 수레 위로 던졌다 收禽挾囚(수금협수) : 또 사로잡은 자들을 수습하여 옆구리에 끼고 돌아오는데 弗待而出(불대이출) : 완역견이 두 사람을 기다리지 않고 차를 몰아 나오니 皆超乘(개초승) : 두 사람은 모두 훌쩍 뛰어 수레에 타고 抽弓而射(추궁이사) : 활을 잡아당겨 적들을 쏘아 旣免(기면) : 위기를 면하자 復踞轉而鼓琴曰(복거전이고금왈) : 또 다시 다리를 뻗고 편히 앉아 거문고를 뜯으면서 말하기를 公孫同乘(공손동승) : "공손아 수레를 같이 타면 兄弟也(형제야) : 형제이니라 胡再不謀(호재불모) : 그런데 어재서 두 번이나 이야기도 않고 수레를 돌아 달렸는가."하니 對曰(대왈) : 완역견이 대답하기를 曩者志入而已(낭자지입이이) : "지난 번에는 적진으로 들어가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今則怯也(금즉겁야) : 이번에는 겁이 나서 경황이 없었습니다."라고 하였다 皆笑曰(개소왈) : 두 사람은 모두 웃으면서 公孫之亟也(공손지극야) : "공손의 성질도 급하군."하였다 楚子自棘澤還(초자자극택환) : 초나라 임금이 극택으로부터 돌아온 뒤 使薳啓彊帥師送陳無宇(사원계강수사송진무우) : 위계강으로 하여금 군대를 거느리고 진무우를 초청하게 하였다 吳人爲楚舟師之役故(오인위초주사지역고) : 오나라 사람이 초나라 수군의 침략을 받았기 때문에 召舒鳩人(소서구인) : 오나라는 초나라의 속국인 서구 사람을 부르자 舒鳩人叛楚(서구인반초) : 서구 사람들은 초나라를 배반했다 楚子師于荒浦(초자사우황포) : 그래서 초나라 왕은 군대를 파견하여 使沈尹壽與師祁犁讓之(사침윤수여사기리양지) : 황포 지방에 주둔시키고 초나라 대부 심윤수와 사기리로 하여금 꾸짖게 했다 舒鳩子敬逆二子(서구자경역이자) : 그랬더니 서구의 임금은 이 두 사신을 공경스럽게 맞이하면서 而告無之(이고무지) : 그런 일이 없다고 하고 且請受盟(차청수맹) : 또한 동맹을 맺기를 요구했다 二子復命(이자복명) : 이 두 사람이 복명했는데 王欲伐之(왕욕벌지) : 초나라 왕은 기어이 서구를 정벌하려고 했다 薳子曰(원자왈) : 그래서 위자빙이 말하기를 不可(불가) : "안됩니다 彼告不叛(피고불반) : 그들이 배반하지 않았다고 말했고 且請受盟(차청수맹) : 또한 동맹을 맺자고 요청했습이다 而又伐之(이우벌지) : 그런데 또 다시 정벌하면 伐無罪也(벌무죄야) : 죄없는 사람을 정벌하는 것이 됩니다 姑歸息民(고귀식민) : 그러니 잠시 귀국하여 백성을 안심시키고 以待其卒(이대기졸) : 저쪽에서 어찌하는가를 보십시오 卒而不貳(졸이불이) : 그래서 끝에 볌심됨이 없으면 吾又何求(오우하구) : 또한 무엇을 요구하겠습니까 若猶叛我(약유반아) : 만약에 우리를 배반한 뒤에 정벌해도 無辭(무사) : 그들은 변명할 여기가 없고 有庸(유용) : 우리들은 공을 세울 것입니다."라고 하니 乃還(내환) : 곧 돌아갔다 陳人復討慶氏之黨(진인복토경씨지당) : 진나라 사람이 다시 경씨의 무리들을 토벌하자 鍼宜咎出奔楚(침의구출분초) : 침선구는 초나라로 달아났다 齊人城郟(제인성겹) : 제나라 사람이 주나라 천자를 위하여 겹에 성을 쌓았는데 穆叔如周聘(목숙여주빙) : 목숙이 주나라로 가서 방문하고 且賀城(차하성) : 성 쌓은 일을 하려 하니 王嘉其有禮也(왕가기유례야) : 천자는 그의 예모를 가상히 여겨 賜之大路(사지대로) : 대로라는 큰 수레를 하사했다 晉侯嬖程鄭(진후폐정정) : 진나라 평공이 정정을 사랑하여 使佐下軍(사좌하군) : 난영 대신 하군의 좌로 삼았다 鄭行人公孫揮如晉聘(정행인공손휘여진빙) : 정나라의 행인 공손휘가 진나라로 가서 방문하니 程鄭問焉曰(정정문언왈) : 정졍이 묻기를 敢問降階何由(감문강계하유) : "계단까지 내려온 이유를 묻습니다."라고 하였다 子羽不能對(자우불능대) : 자우는 대답할 수가 없었다 歸以語然明(귀이어연명) : 그래서 돌아와서 그것을 연명에게 말하니 然明曰(연명왈) : 연명이 말하기를 是將死矣(시장사의) : "그 사람은 장차 죽을 것이다 不然(불연) : 그렇지 않으면 將亡(장망) : 장차 도망갈 것이다 貴而知懼(귀이지구) : 귀해지면 두려워할 줄 알고 懼而思降(구이사강) : 두려우면 내려갈 것을 생각해서 乃得其階(내득기계) : 곧 도의 시초를 얻는 것이이오 下人而已(하인이이) : 남에게 굽힐 뿐 又何問焉(우하문언) : 또한 무엇을 물어 볼 것인가 且夫旣登而求降階者(차부기등이구강계자) : 대저 이미 높은 데 올라가서 내려갈 계단을 찾는 것은 知人也(지인야) : 지혜로운 사람이오 不在程鄭(불재정정) : 그런데 정정에게는 그러한 지혜가 없소 其有亡釁乎(기유망흔호) : 그에게 도망갈 틈이 있겠는가 不然(불연) : 그렇지 않으면 其有惑疾(기유혹질) : 그에게 병들어 將死而憂也(장사이우야) : 장차 죽어도 걱정할 것이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