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 콤플렉스
신데렐라 콤플렉스에 빠진 여성은 무엇인가를 하려고 하거나 해야 할 때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낀 나머지 망설이거나 포기하려는 상태가 된다.
여성은 어릴 때는 아버지에게, 결혼 뒤에는 남편에게 의존하며, 늙으면 자식에게 의지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배워왔다. 즉, 동화 속의 신데렐라처럼 자기의 인생을 뒤바꿔 줄 왕자를 기다리는 신데렐라의 환상을 깨지 못하는 것이다.
여성은 어려서부터 인생의 황혼기에 이르기까지 신데렐라 콤플렉스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가장 합법적인 안전지대이자 경제적 보루로서 결혼을 선택하여 전적으로 모든 것을 남성에게 의존하며 살아간다.
신데렐라 콤플렉스에 사로잡힌 여성은 이 사회가 여성 자신을 구속하고 있는 억압적 규범을 깨닫지 못하고 오히려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그래서 여성들 스스로 정치, 경제, 사회 구조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여성들이나 운동을 배척하려하고 한다.
미국의 저널리스트 콜레트 다울링(Colette Dowling)은 여성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증후군을 ‘신데렐라 콤플렉스’라 부르고, “억압된 태도와 불안이 뒤얽혀 여성의 창의성과 의욕을 한껏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미개발 상태로 묶어 두는 심리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울링은 심리학자, 정신과 의사들의 연구와 많은 인터뷰, 편지 등을 통해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특징인 의존성, 두려움, 열등감, 결혼에 대한 경제적, 정서적 집착과 무기력증, 취업이나 자신의 일에 대한 회의와 공포심의 본질을 파헤치고 있다.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원인을 “아빠의 귀여운 딸”로 키워지는 어린 시절 교육에서 비롯된다고 밝히면서 여성이 어떻게 무기력하게 되는가에 대해 그리고 있다.
여자 아이가 추구하는 전형적인 여성의 삶은 <신데렐라>이야기에서 그 원형을 찾아 볼 수 있다. 여성은 어릴 때부터 신데렐라가 되기를 꿈꾸며, 이루어지지 않은 꿈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심리를 갖는다. 이러한 여성의 심리상태가 깊어지면 ‘신데렐라 콤플렉스’라는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렇게 때문에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와 함께 신데렐라 콤플렉스에 사로잡힌 여성 자신의 의식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주요한 것이다.
여성 자신 속에 뿌리깊게 자리잡은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극복할 때 비로소 여성은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 ‘신데렐라 콤플렉스’(www.okmedi.net)에서
윗글에서 다루고 있는‘신데렐라 콤플렉스’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