氏, 씨앗을 뿌려 농사를 짓다
田: 농지의 소유와 경계
里: 농사가 가능한 땅
禾: 낱알이 익어 고개숙인 벼
米: 쌀(양식)
食: 그릇에 담긴 밥
臼: 절구, 손, 머리
缶: 질그릇 - 고령토를 찧다
辰: 조개칼 - 농사도구, 농사철
雨: 농경과 비
처음 인류들은 먹을거리를 찾아 동물처럼 떠도는 생활을 했다.
정처없이 자연을 누비며 돌아다니다 해가 저물면 도착한 언덕(厂)에 임시의 거처(广)를 마련했으리라.
厂(언덕 엄)
广(집 엄)
시간이 흐르고, 지혜로워진 인류는 나무와 풀을 옮겨 심는 법(埶=藝 )과 씨를 뿌리는 방법(氏)을 얻었다.
씨(氏)로부터 얻게 되는 곡식(일년생), 옮겨심은 나무와 풀(다년생)으로부터 얻게 된 곡식은 얼마나 기특했으랴?!
한알의 씨앗에 숨어있는 이 엄청난 생명의 비밀이 참으로 경이로웠으리라.
갑골문자를_배우다(1).hwp
埶(재주 예=藝): 나무를 심고(丮:잡을 극) 흙을 북돋아 주는 행위(坴:언덕륙)가 얼마나 기특했던지 예술(藝術)의 근원글자가 되었다.
氏(성씨 씨): 씨 뿌리는 사람, 氐(근본 저)는 씨를 뿌리는 땅(一)을 강조하여 땅이 근본임을 표현했다.
이 경이로움과 놀라움이 또한 신앙(꽃토템)이 되었으니
周나라를 건설했다는 后稷(후직:곡식의 신)을 신앙과 생활의 중심에 두었으며,
中華. 周나라 이후에 농경을 나라의 근간으로 삼았던 그들이 스스로 선택한 자신들의 이름은 <꽃>이었다.
華(빛날 화): 화려하게 꽃이 흐드러진 모습
帝(임금 제): 꽃 꼭지, 봉우리
英(꽃부리 영): 꽃부리
不(아니 불): 꽃 대
*榮: 나무에 꽃이 많이 피는 것
*華: 풀에 꽃이 많이 피는 것
꽃대가 올라오고, 꽃봉오리를 맺고, 꽃이 흐드러지는 모습까지 세심히 분류해 놓았다.
꽃 피기를 그만큼 간절히 기다렸다는 얘기겠다. 그 꽃으로부터 <생명의 불씨(子)>를 얻을 수 있었으니...
그만큼 한자 속에는 꽃과 씨앗, 농사와 추수, 풍요에 대한 기원과 감사 등,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이 녹아져 있다.
한자를 통해서 옛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자리를 만나보는 일은 정말 즐겁다.
田(밭 전): 농지의 소유와 경계
田 밭 전
甸 경기 전
細 가늘 세 (细)
界 지경 계
思 생각 사
媤 시집 시
慮 생각(근심.걱정) 려 (虑)
盧 목로/검을 로 (卢)
里(마을 리): 농사가 가능한 땅
里 마을 리
理 다스릴 리
俚 속될 리 (俚)
裏 속(=裡) 리 (裏)
埋 묻을 매
廛 가게 전 (廛) : *里(마을)의 八+土(땅을 나누어) 广(집)을 짓다-택지
畺(지경 강)
彊 굳셀 강 (强)
疆 지경 강
薑 생강 강 (薑)
由 말미암을 유
油 기름 유
柚 유자 유 (柚)
宙 집 주
迪 나아갈 적 (迪)
笛 피리 적
抽 뽑을 추
岫 산굴(=峀) 수 (岫)
袖 소매 수
苗 싹 묘
猫 고양이 묘 (猫)
描 그릴 묘
錨 닻 묘 (锚)
畾(밭사이땅 뢰, 성채를 쌓다)
儡 꼭두각시 뢰 (儡)
壘 진(보루) 루 (垒)
累 여러/묶을 루
螺 소라 라
畜 기를 축 -농작물이 불어나다
蓄 모을/저축할 축
禾(벼 화): 낱알이 익어 고개숙인 벼
米(쌀 미): 쌀(양식)
禾 벼 화
和 화할,화목할 화
香 향기 향
黍 기장 서
私 사사로울 사
穆 화목할 목 = 睦
稽 상고할 계
稽=䭬=䭫(조사하다, 헤아리다)
秀 빼어날 수
琇 옥돌 수 (琇)
透 통할 투 (透)
誘 꾈 유 (诱)
秋 가을 추
楸 가래나무 추 (楸)
愁 근심 수
季 철 계
李 오얏 리
穌 깨어날 소/긁어모을 소
蘇 깨어날 소 (苏) -차조기
利 이로울 리
梨 배 리
俐 똑똑할 리 (俐)
悧 영리할 리 (悧)
痢 설사/이질 리
米 쌀 미
迷 미혹할 미 (迷)
謎 수수께끼 미 (谜)
菌 버섯 균
匊(움켜질 국)
菊 국화 국
鞠 기를(가죽공) 국
粲 정미 찬 (粲)
燦 빛날 찬 (灿)
澯 맑을 찬 (澯)
璨 옥빛날 찬
餐 먹을 찬
纂 모을 찬
畟 날카로울 측 -보습이 날카롭다
稷 피 직 (穀神)
食(밥 식): 그릇에 담긴 밥
食 먹을 식
飾 꾸밀 식 (饰)
蝕 좀먹을 식 (蚀)
飢 주릴(=饑) 기 (饥)
倉 곳집 창 (仓)
創 비롯할 창 (创)
瘡 부스럼 창 (疮)
滄 큰바다 창 (沧)
蒼 푸를 창 (苍)
愴 슬퍼할 창 (怆)
臼(절구 구): 절구, 손, 머리
臼는 워낙 다양한 뜻으로 쓰이기 때문에 나머지 글자들은 <손>에 대한 묶음 글자를 배울때 함께 정리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절구로 쓰이는 글자만 모아보기로 한다.
臼(절구 구)
臿 가래 삽 (농기구-찧다)
揷 꽂을 삽
舀 (퍼낼 요)
稻 벼 도
蹈 밟을 도
毁 헐 훼 -쌀을 찧다(毀)

缶(장군.질그릇 부): 질그릇 - 고령토를 찧다
이 글자의 어원은 <농사>와 관련된 글자와는 거리가 멀지만 臼(절구)와 유사한 의미이므로 함께 묶어둔다.
설명은 家, 즉 집을 짓고, 성을 쌓는 일과 관련된 글자를 배울때 상세히 정리하겠다.
오늘은 缶(장군부)에 대한 맛보기 정보만 익혀두는 것으로!!
缶는 고령토를 찧는 절구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토성을 쌓는 방법은 흙을 잘 빻아서 고운 가루를 만들고 채(其)에 걸러서 고운 입자만으로 성을 쌓는데,
먼저 큰 나무로 골간(幹)을 세워 뼈대를 만들고 흙을 '시루에 쌀가루를 한켜한켜 쌓듯' 부어넣고
무거운 절굿공이(午)로 흙 다지기를 반복한다. 이런 방식으로 흙을 켜켜이 단단하게 쌓는데
우리나라에서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에서 확인해 볼수 있다. 그만큼 단단하여 수천년을 견뎌낼 수 있다.
물론, 이 방법을 통해 얻은 고운 진흙, 고령토로 만든 질그릇은 곡식을 담아두는 소중한 용기(用器)였겠다.
자세한 이야기는 <성쌓기 편>에서 보충설명하겠다.

辰은 조개를 표현하였다.
조개껍질을 이용하여 조개칼을 만들어 농사에 이용하였는데,
키조개가 많이 잡히는 계절과 농사철이 깊은 관련이 있었던지 시간과 계절을 나타내는 地支의 글자가 되었다.
辰이 地支의 龍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농사와 雨와의 깊은 연관성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겠다.
하여 辰은,
(1) 龍-雨에 대한 이미지와 관련된 한자
(2) 조개칼. 농기구에 관련된 한자
(3) 풍요를 기원하는 제사에 관련된 한자들을 만들어냈다.
辰(별.용.지지 진): 조개칼 - 농사도구, 농사철
辰 별.지지 진
振 떨칠 진
震 벼락.진동할 진
唇 놀랄 진
賑 구휼할 진
農 농사 농
濃 짙을 농 (浓)
膿 고름 농 (脓)
豊 풍년 풍 (豊)
禮 예도 례
醴 단술 례
雨(비 우): 농경과 비
雲 구름 운
震 벼락 진
雷 우뢰.천둥 뢰
霜 서리 상
雪 눈 설
氏(성씨 씨): 씨뿌리는 사람
氏 성씨 씨
紙 종이 지 (纸)
民 백성 민
氐 근본 저, 땅 이름 지
祗 공경할 지 (祗)
低 낮을 저 (低)
底 밑 저 (底)
邸 큰집 저 (邸)
抵 거스를 저 (抵)
昏 저물 혼
婚 혼인할 혼
釆(분별할 변): 짐승발자국을 분별하다
釆 분별할 변, 갖출 판, 두루 편, 깎아내릴 폄
悉 다 실
番 차례 번
飜 뒤칠/나부낄(=翻) 번 (飜)
蕃 우거질 번 (蕃)
潘 뜨물 반
磻 반계(강이름) 반
播 뿌릴 파
審 살필 심 (审)
瀋 물이름 심 (渖)
厤(책력 력): 농사의 주기
厤 책력 력(역)
曆 책력 력 (曆) = 厤
歷 지낼 력 (历)
靂 벼락 력 (雳)
年 해(=秊) 년
周나라의 后稷
중국(中國) 전설(傳說) 상(上)의 주(周)나라 왕조(王朝)의 건설자.
어머니가 거인(巨人)의 발자국을 밝고, 그가 태어났다 함.
주대(周代)에, 농업(農業)을 다스리는 신(神)으로 숭배(崇拜)되었음.
(풀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