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家庭)
박목월
지상에는
아홉 켤레의 신발
아니 현관에는 아니 들깐에는
아니 어느 시인의 가정에는
알전등이 켜질 무렵을
문수(文數)가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내 신발은
십구 문 반(十九文半)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
그들 옆에 벗으면
육 문 삼(六文三)의 코가 납작한
귀염둥아 귀염둥아
우리 막내둥아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얼음과 눈으로 벽(壁)을 짜 올린
여기는
지상
연민(憐憫)한 삶의 길이여
내 신발은 십구 문 반
아랫목에 모인
아홉 마리의 강아지야
강아지 같은 것들아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을 걸어
내가 왔다.
아버지가 왔다.
아니 십구 문 반의 신발이 왔다.
아니 지상에는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이
존재한다.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 1968)
[어휘풀이]
-들깐 : 경상도 방언으로 부엌 가까이 설치되어 주로 주방 용품을 보관하는 곳간.
-문수 : 신 따위의 치수. 1문은 약 2.4cm
[작품해설]
이 시는 현실적 세계를 시적 대상으로 삼은 생활시로서의 진면목을 보여 준다. 이 시에서 화자는 힘겨운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 생활인으로 돌아와 아버지로서의 고통을 토로하는 한편, 자식들에 대한 막중한 책임 의식을 스스로 확인한다. 이 시에서는 화자와 청자의 모습이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화자는 실제의 시인과 거의 일치하며, 청자는 ‘강아지’라고 불린 그의 자녀들이다. 얼음판 같은 세상의 모습을 말하면서 다소 비감스러워하던 화자의 목소리는 자녀들에게 말을 건넬 때에는 따뜻하게 바뀌고 있다.
1연은 화자의 귀가로부터 시작된다. 피곤한 육신을 이끌고 집에 돌아온 화자는 현관에 가지런히 놓인, 문수가 각기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바라본다. 가난하면서도 행복한 화자의 가정이 아홉 켤레의 신발 속에 함축되어 있다. 직업이 다르고 신분이 달라도, 또는 부유하건 가난하건, 그래서 그것이 현관이건 들깐이건 사람 사는 모습은 결국 똑같다. 힘겨운 일상을 살아가는 누구라도 일단 가정으로 돌아오면 아늑한 행복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 시에서 ‘지상(地上) 세계’를 상징한다.
2연에서 화자는 식구들의 신발 옆에 자신의 신을 벗어 놓는다. ‘눈과 얼음의 길’은 바로 화자가 살아가는 고달픈 인생길을 상징하는 것으로, 4연에서는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아홉 켤레의 신발 중에서 특히 막내둥이의 것에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은 막내에 대한 특별한 애정을 강조하는 것이자,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을 스스로 확인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3연의 1~2행은 비록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온 화자이지만, 자녀 앞에서는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이고 싶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3~5행은 고달프게 살아가는 화자의 가정을 의미한다. ‘연민한 삶의 길이여’라는 6행은 화자가 삶에 대해 느끼는 힘겨움을 직설적으로 토로한 것이다. 7행뿐 아니라 작품 전편에 등장하는 ‘내 신발은 십구 문 반’이라는 구절은 막내의 ‘육 문 삼’과 대비되어 화자가 자긴의 ‘커다란’신발을 거듭 의식하면서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겠다는 다짐이다.
4연은 화자가 방에 들어가며 자식들에게 들려주는 말이다.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을 걸어 / 내가 왔다 / 아버지가 왔다’는 표현은 현실 생활에 시달리는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십구 문 반‘이라는 신발 크기로 강조하는 것은 그 큰 신발 속에 아홉 명의 자식들의 미래를 담고 있다는, 가장으로서의 무거운 책무를 강조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이 시는 고달픈 생활 속에서도 자식들의 모든 것을 책임져야 하는 힘겨운 아버지들의 모습을 화자의 가정을 통해 잘 보여 준다.
[작가소개]
박목월(朴木月)
본명 : 박영종(朴泳鍾)
1916년 경상북도 경주 출생
1933년 대구 계성중학교 재학 중 동시 「퉁딱딱 퉁딱딱」이 『어린이』에, 「제비맞이」가
『신가정』에 각각 당선
1939년 『문장』에 「길처럼」, 「그것이 연륜이다」, 「산그늘」 등이 추천되어 등단
1946년 김동리, 서정주 등과 함께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결성
조선문필가협회 사무국장 역임
1949년 한국문학가협회 사무국장 역임
1957년 한국시인협회 창립
1973년 『심상』 발행
1974년 한국시인협회 회장
1978년 사망
시집 : 『청록집』(1946), 『산도화』(1955), 『란(蘭)·기타(其他)』(1959), 『산새알 물새알』(1962),
『청담(晴曇)』(1964), 『경상도의 가랑잎』(1968), 『박목월시선』(1975), 『백일편의 시』
(1975), 『구름에 달가듯이』(1975), 『무순(無順)』(1976), 『크고 부드러운 손』(1978),
『박목월-한국현대시문학대계 18』(1983), 『박목월전집』(1984), 『청노루 맑은 눈』(1984),
『나그네』(1987), 『소금이 빛하는 아침에』(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