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辰(乙癸戊) 일주
천간 병화는 태양에 비유를 많이 합니다. 병화가 묘시에 밝게 세상을 비추면 세상은 병화에 의해 색을 드러내며 우리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눈으로 물체를 본다는 의미는, 빛이 물체에 부딪치며 반사되는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면서 물체를 구분하고 인식을 하는 것입니다. 병화 태양이 없다면 색의 구분이 잘 안되겠죠. 병화가 사주에 있다면 색상 구분을 잘합니다.
화려함을 추구하겠죠. 태양이 있는 자리는 빛나며 사람들은 태양을 쳐다보기에 밝은 계절 태양 보다 어두운 수기가 강한 계절 태양이 더 필요하며 병화를 찾게되는 이유입니다. 병화가 사주에 있다면 빛으로 우리에게 정보를 전달해주기에 모든 정보를 보는 것에 의존을 하고 보는 걸 더 좋아하겠죠. 모든 현상을 드러나 보이게 하는 글자가 병화입니다.
자연에서 병화는 보통 태양빛으로 환하게 전체를 비추는 의미로 낮에는 태양에 비유할 수 있겠지만 병술이라는 간지의 병화는 네온사인, 형광등에 비유할 수 있으며 어두운 바다를 비춘다면 등대가 됩니다. 태양은 인시에 떠오를 준비를 하고 오시에 가장 강해지며 술시에 집니다. 더운 여름에는 병화 태양이 고맙다는 생각을 못합니다. 추운 겨울에 태양이 뜨면 고맙게 느껴지고 병화를 보러 밖을 향하게 됩니다.
이렇게 병화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봄에는 확산의 계절로 따스함을, 여름에는 분산하는 기운으로 열매를 키우고, 가을에는 열매의 겉을 딱딱하게 만들어 열매를 익히고, 겨울에는 빛으로 우리에게 온기를 전달 해 줍니다. 태어난 계절에 따라 하는 일도 강도도 달라지겠죠.
여름에는 강한 병화이니 자신의 의지 역시 강하며 주도적으로 일을 추진할 것이며 자아가 강하기에 자존심도 강하고 스스로 알아서 일을 하려고 할 것입니다. 겨울의 병화라면 자신이 약하기에 자신의 빛을 필요로 하는 곳에 자신의 빛을 비추어 주기에 희생 봉사의 의미가 됩니다. 자신이 약하다는 건 주체성이 약하다는 것이며 주변 요소에 따라 휘둘리며 모범적인 모습, 봉사하며 사는 모습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지지로는 진토입니다. 진월은 모내기를 하는 계절로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고 좋아지는 시기입니다. 진시 역시 출근하는 시간으로 매우 분주한 시간이 됩니다. 진토 지장간을 보면 을계무로 무토 땅 위에서 계수가 열기를 끌어올리고 을목을 키우는 모습이 됩니다. 진월은 모내기를 하는 계절입니다. 진토는 신자진 삼합을 마감했기에 수기가 점점 약해지며 사화월 부터는 화기가 강해지는 계절이 됩니다.
수기가 약해지는 계절이기에 진월에는 논에 물을 받아 부족해지기 쉬운 수기를 채워 농사를 준비했습니다. 진월은 변화가 매우 강하기에 용처럼 변화가 무쌍한 상상의 동물을 진토에 배합해 놓았겠죠. 이렇게 수기와 화기의 경계점이 진토가 됩니다. 병화는 인오술 삼합을 하기에 진토는 십이운성으로 관대가 됩니다.
관대의 의미는 이제 관복을 입고 사회로 나가는 의미로 중간에서 위와 아래를 연결하는 중간 지도자로서의 위치가 알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진토에서는 자신이 힘이 강해지는 계절로 부정적으로는 교만한 마음이 생길 수 있기에 그 마음을 경계해야 합니다.
신자진은 수 삼합으로 수기 삼합이 마감되었기에 바꾸어 줄 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병화는 화기로 점점 자신의 분산하는 기운이 강해지며 진중 무토 식신과 계수 관이 합하여 을목 인성을 키우기에 수기인 관의 역할이 바로 을목 인성을 키우기에 일을 하며 공부를 하는 형태로 많이 드러나게 됩니다.
진토에서는 신자진을 마감하고 사오미로 나가기에 원국에 금기가 강하다면 직장을 그만두고 사업하는 모습으로도 드러날 수 있습니다. 신자진은 수 삼합으로 수기는 어둠입니다. 빛이 없다면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읽지 못하기에 우리는 소리를 통해 정보를 얻거나 손으로 물체를 직접 만져 보아야 느낄 수 있습니다.
소리는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에게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습니다. 빛과 소리가 바로 우리에게 정보를 전달해주는 방식이 됩니다. 병화가 신자진을 만나면 신자진이라는 어둠속에 자신을 빛을 전파해 정보를 전달하거나 진토에 담고있는 수기 정보를 병화 빛으로 드러내는 의미도 있습니다. 검찰, 경찰, 정보통신 업종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병화가 신자진에서 빛을 전달하는 봉사를 하는 모습도 포함이 됩니다.
남자라면 진토에서는 신자진 수삼합이 마감되었기에 임수 관이 마감되고 계수로 바뀌는 직장에 대한 변동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식신인 무토는 기운이 강하기에 활동성과 자신의 능력 재능이 있는 의미가 됩니다. 부인은 금기입니다. 경금이나 신금은 진토에서 양지, 묘지로 기운이 약한 공간이 됩니다. 부인은 몸이 약하거나 활동성이 강하지 않은 의미가 되겠죠. 그리고 묘지나 양지는 모두 공부하는 의미로 교육, 철학, 종교성이 강한 배우자의 모습이 될 수 있으며 치료의 직업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인묘진은 뿌리 가족이라고 했었는데요. 사회에서 만난 사람 보다는 가족과 관계가 더 돈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지궁에 을목이라는 정인이 있기에 부인이 엄마처럼 남편을 챙겨주는, 사랑을 주는 의미도 있지만 부인은 금기이기에 목과 금의 충으로
고부갈등이 생길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여자라면 관인 남편성이 마감되는 의미로 남편에 대한 변동 변화가 생길 수 있는 공간으로 수기를 채워주거나 금을 채워주어야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토는 식신으로 자녀는 진토에서 관대로 기운이 강하기에 건강한 모습이며 훈육으로 교육을 잘 시켜야 좋은 의미가 됩니다.
첫댓글 공부합니다 고맙습니다 ()
丙辰(乙癸戊) 일주 정리~ 감사합니다.~
병화가 사주에 있다면 색상 구분을 잘합니다
진시 역시 출근하는 시간으로 매우 분주한 시간이 됩니다.~
빛과 소리가 바로 우리에게 정보를 전달해주는 방식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