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목 자유선정 - 이곳엔 인사글 광고성글 스크랩글 올리지 마세요.메뉴따로 있음!
※
恒常(항상)
소길은 '5행대의'에서,"五常者 仁義禮智信也 行之終久 恒不可闕 故名爲常 亦云五德以此常行 能成其德 故云五德 而此五德 配於五行"(5常은 인의예지신의 다섯으로, 오래도록 행해서 항상 빠뜨릴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 해야 한다는 常이라고 이름 하였다. 또한 5德이라고 하니, 이것을 항상 행해서 그 덕을 이루기 때문에 5덕이라고 말한 것이고, 이 5덕을 5행에 배속한 것이다)라고 5常을 설명한다.
5常(5상)
소길은 '5행대의'에서,"夫五常之義"
오상의 뜻으로 그 까닭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라고 5常義를 설명한다.
仁(인)
"仁者以惻隱爲體 博施以爲用"
인은 측은한 것으로 본체를 삼고, 널리 베푸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禮(예)
"禮者以分別爲體 踐法以爲用"
예는 분별하는 것으로 본체를 삼고, 법을 실천하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智(지)
"智者以了智爲體 用叡以爲用"
지는 밝은 지혜로 본체를 삼고, 밝게 지혜를 쓰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義(의)
"義者以合義爲體 裁斷以爲用"
의는 의에 합치되는 것으로 본체를 삼고, 결단하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信(신)
"信者以不散爲體 附實以爲用"
신은 속이지 않는 것으로 본체를 삼고, 신실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天常(천상)
이순지는 '천문류초'에서,"淸而明者天之體也 天忽變色 是謂易常"(맑고 밝은 것이 하늘의 體이니, 하늘이 색을 변하는 것을 常을 바꾼다고 한다)라고 하늘의 常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