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eachment economy' of 8 years ago shouldn't be repeated
8년 전의 '탄핵 경제'를 반복해서는 안 됩니다
Posted January. 13, 2025 08:14, Updated January. 13, 2025 08:14 The Don-A IlBo
South Korea's currency depreciated the second most among the Group of 30 major economies (G30) after war-torn Russia in December last year as a result of illegal martial law and an impeachment motion. Inflation, which had been stabilizing at around 1 percent for three consecutive months, was also rising, especially in foodstuff, whose raw materials are mostly imported, dampening consumer spending. The possibility of ‘stagflation’ (recession amid rising inflation) is growing as political unrest shakes the exchange rate and the depreciating won spurs price hikes.
At the end of December last year, the Korean currency was 5.3 percent lower against the dollar than the previous month. Even if the dollar's strength is due to the expectation that the U.S. Federal Reserve will reduce the pace of interest rate cuts, only Russia, whose currency fell 6.4 percent, had a bigger decline than South Korea among the G30. Even when compared to China (-0.8 percent) and Mexico (-2.2 percent), which are expected to suffer the most severe economic damage due to Donald Trump's second term, Korea's decline is severe.
The depreciation of the won is having an immediate impact on domestic prices. Prices of salad dressings, including mayonnaise, are set to rise by more than 20 percent on average this week. Confectioners have raised prices by nearly 10 percent to reflect the higher cost of imported raw materials such as chocolate. The price hikes have come amid weakened oversight by the price regulator. There are growing fears of a repeat of the 7.5 percent increase in food prices seen in early 2017, when the impeachment proceedings against President Park Geun-hye were underway. From January to November last year, consumer sentiment is freezing rapidly in the face of high prices. Domestic consumption, including apparel, cars, home appliances, and food, was already down 2.1 percent year-on-year, the worst in 21 years after the 2003 credit card crisis.
As the conflict over the execution of the detention warrant for President Yoon Suk Yeol intensifies, and U.S. President Donald Trump will start his second term next Monday, watchers say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ill rise further and cross the 1,500 won mark. If the exchange rate of 1,500 won, which has been seen only during foreign exchange crises and global financial crises, materializes, the Korean economy will be forced to enter ‘perfect storm’ (a multi-dimensional crisis caused by multiple adverse events). The authorities should never allow political uncertainty to get in the way of the efforts to manage exchange rates and inflation and should do everything at their disposal to prevent the economy from suffering a major shock like the impeachment crisis eight years ago.
---------------------------------------------------------------------------------------------------------------------
8년 전의 '탄핵 경제'를 반복해서는 안 됩니다
Posted January. 13, 2025 08:14, Updated January. 13, 2025 08:14 동아일
한국은 지난해 12월 불법 계엄령과 탄핵 발의로 전쟁으로 폐허가 된 러시아에 이어 주요 30개국(G30) 중 두 번째로 큰 폭으로 통화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3개월 연속 1% 내외로 안정세를 보이던 인플레이션도 원자재가 대부분 수입품인 식료품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소비자 지출을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정치 불안이 환율을 흔들고 원화 가치 하락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면서 '스태그플레이션'(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말 한국 원화는 전월 대비 5.3% 하락했습니다. 달러 강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일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라고 해도 G30 중 한국보다 하락폭이 큰 나라는 6.4% 하락한 러시아뿐이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로 가장 심각한 경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0.8%), 멕시코(-2.2%)와 비교해도 한국의 하락폭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원화 가치 하락은 국내 물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마요네즈를 포함한 샐러드 드레싱 가격은 이번 주 평균 20% 이상 상승할 예정입니다. 제과업체들은 초콜릿 등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을 반영해 가격을 10% 가까이 인상했습니다. 이번 가격 인상은 가격 규제 당국의 감독이 약화된 가운데 이루어졌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 절차가 진행되던 2017년 초에 보였던 식품 가격 7.5% 인상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소비 심리는 고물가를 맞아 빠르게 얼어붙고 있습니다. 의류, 자동차, 가전제품, 식품 등 내수 소비는 이미 전년 대비 2.1% 감소해 2003년 신용카드 사태 이후 21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집행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월요일부터 2기 임기를 시작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더 상승해 1,500원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만 보였던 1,500원대 환율이 현실화되면 한국 경제는 '퍼펙트 스톰'(여러 악재로 인한 다차원적 위기)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당국은 환율과 물가 관리 노력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걸림돌이 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며, 8년 전 탄핵 위기와 같은 큰 충격을 경제가 겪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and : http://band.us/@ceta2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