己未(丁乙己) 일주
기토는 사유축 삼합을 합니다. 오화월 중기에 기토가 처음 드러나 확산하는 병화의 기운을 기토에 담아 정화로 넘겨주는 모습입니다. 사화월 사유축으로 금 삼합을 시작하지만 보통 생지에서는 반대 성향이 강합니다. 육양으로 분산하는 기운이 가장 강하게 드러난 후에는 반대기운이 드러나는 것처럼, 오화월부터 병화가 정화로 분산이 응집으로 돌아서기 시작하는 이때부터 확장하던 기운은 응집하는 기운으로 돌아서기 시작합니다.
부피를 키우던 활동에서 가치를 키우는 활동으로의 변화입니다. 아직은 양의 세계로 모든 활동은 무토위에서 이루어 지지만
기토는 곧 드러날 금을 품을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미월이 되면 모든 생명체는 성장은 멈춥니다. 여름과 가을을 연결해주는 미토에는 해묘미 삼합을 마감한 을목을 담았습니다. 그리고 신중 경금과 미중 을목이 을경합으로 물질이 완성이 됩니다. 신월 경금은 양의 세계에서 완성시키려던 목적물을 의미합니다.
유월은 열매가 다 익어 땅으로 떨어지면 이제 음의 세계가 시작됩니다. 기토는 유금 열매를 품어 음의 세계를 시작합니다. 기토는 금 종자를 품고 정화로 열기를 가해주며 해월 임수 수기에 종자를 발아시킵니다. 자월과 축월을 지나면서 종자는 발아되고 새로운 기토는 갑목 뿌리의 터전이 되어줍니다.
기토는 금 열매를 품고 임수와 정화로 열매를 다시 발아시키는 땅으로 내부를 의미합니다. 수기인 임수를 품고 열기인 정화가 있어야 가치 있는 신금 종자를 갑으로 드러낼 수 있기에 조건이 아주 까다롭습니다. 기토는 함께할 사람을 받아들이는데 까다롭습니다. 금이라는 가치를 품었다면 자존심이 강하며 반면 자신을 잘 드러내지는 않습니다. 만약 천간으로 금을 강하게 드러내거나 양기가 강한 구조라면 달라지겠지만요.
미월은 금화 교역의 의미로 화와 금을 연결해주는 의미가 있습니다. 미토 지장간에는 정을기가 있습니다. 오화월 병화에서 정화로 분산에서 응집으로 바뀐 후 정기 정화가 미월 여기로 넘어오구요, 해묘미 목 삼합을 마친 음질 을목이 중기에 자리잡습니다. 그리고 그 기운을 기토에 저장합니다.
정화는 열기를 의미하고 을목은 기다란 선의 물상으로 전기선의 모습으로 많이 드러나기에 미토가 있다면 특히 정미간지는 전기관련 업종과 관계가 많은 간지입니다. 오화 중기에도 기토가 있죠. 병화 빛을 오화 열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기에 기토에는 변압기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번역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정화나 오화에서 외국어의 의미가 있는 이유입니다.
미월에 이르면 자연은 성장을 멈추고 신월에 경금과 을경합으로 열매를 확정하게 됩니다. 음기가 강해질수록 응집되는 기운으로 인해 열매의 모습이 확정이 되며 자라나던 열매 역시 성장을 멈추기에 더 이상의 확장은 불가능한 계절이 됩니다. 미월은 사계절중 가장 뜨겁고 더운 계절이며 해묘미 삼합을 끝냈기에 성장은 멈춘 계절로 이제 신유술 금이라는 결실을 향해 가는 의미가 됩니다. 미토에서는 그 자리를 떠나 다른 곳으로 떠나야 발전함을 알 수 있습니다.
미토는 수기가 부족하기에 수기를 채우려하는 모습으로 공부를 하거나 종교, 철학을 추구하거나 수기를 채우기 위해 그 땅을 떠나 멀리 해외로 가는 무역이나 교역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토와 미토가 만났습니다. 화토가 강한 간지로 무오간지처럼 금수를 원하는 모습으로 물질을 축구하는 성향이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토는 금을 품고 겨울을 지나며 새로운 목을 드러내는 땅으로 미토에서는 기토의 성향이 애매한 계절이 됩니다. 목은 성장완료로 키우지 못하고 금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기에 구조나 운에서 오는 글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구조가 수기를 공급하여 해묘미라는 목을 키우는 모습이라면 기토 땅은 해묘미라는 나무가 성장하는 모습으로 계속 그 형태가 달라지기에 기토의 모습 또한 운에서 오는 글자에 따라 모습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확정되기 힘든 모습이 되기에 기토입장에서는 관의 변동변화가 되며 기토의 쓰임 역시 바뀔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토와 미토는 비견입니다. 간여지동간지가 되죠. 일단 간여지동은 친구같은 배우자가 아니라면 서로 영역을 차지하려는 모습으로 경쟁이나 쟁재의 의미가 강해지게 됩니다. 기토는 사유축 삼합을 합니다. 미토는 관대의 공간이 됩니다. 관대는 중간에서 양쪽을 연결해주는 중간지도자 역할을 해야 좋다고 했었죠. 만약 자신의 기운이 강해지기에 오만함으로 기운을 잘못 쓴다면 발전이 어려운 모습이 됩니다.
태어난 계절에 따라 땅인 자신의 성향이 달라집니다. 봄에 태어났다면 목이 강해지는 모습으로 수기를 채워준다면 목을 키우는
건축이나 건설로 직업물상을 쓸 수 있습니다. 여름에 태어났다면 화토가 강해지고 수기가 부족한 기토 땅은 갈라지고 미중에 잡혀있는 을목 역시 수기의 부족으로 생기가 상하며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으로 신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정신적으로 힘든 모습이 됩니다. 굉장히 예민해지는 모습이 되며 그 자리를 떠나 해외로 가거나 무역, 종교, 철학의 모습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가을에 태어났다면 개인적인 재능을 이용하여 물질을 추구하거나 미토의 장애의 의미와 신유술의 치료물상으로 의료계통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겨울에 태어났다면 수기를 보충해 목을 키우기에 단체에서 물질을 추구하는 모습이 될 수 있습니다. 남자라면 부인성은 수기이며 궁위는 미토입니다. 계수라면 해묘미 삼합을 하니 미토는 묘지가 되고 임수는 신자진 삼합을 하니 양지가 됩니다.
일지궁 미토는 을목의 활동성이 강하지 못한 의미로 부인은 몸이 안 좋거나 활동성에 문제가 있는 모습이 됩니다. 여자라면 남편은 목기로 갑목은 해묘미삼합을 하니 묘지이며 을목역시 미토에서 잡히는 모습으로 남녀 모두 구조적으로 수기를 채워주는 구조여야 배우자에게 문제가 없는 모습이 됩니다. 구조적으로 수기가 부족하다면 배우자와의 인연이 길지 않은 모습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첫댓글 己未(丁乙己) 일주 정리~ 감사합니다.~
여름과 가을을 연결해주는 미토에는 해묘미 삼합을 마감한 을목을 담았습니다.~
정미간지는 전기관련 업종과 관계가 많은 간지입니다.~
미토에서는 그 자리를 떠나 다른 곳으로 떠나야 발전함을 알 수 있습니다.
남녀 모두 구조적으로 수기를 채워주는 구조여야 배우자에게 문제가 없는 모습이 됩니다.~ 정리합니다.~
감사합니다. 꾸우벅~
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