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심란 素心蘭
청운의 꿈을 안고 키워 온 붓놀림이라
사흘 나흘 빈 마음으로 그러안은 꽃향기
과묵한 선비 뜻따라 본성이 드러나네
<소심란> 추사 김정희 지본수묵 55.0x31.1cm.
위 그림의 화제를 살펴보면, 위 왼쪽 부터
"不作蘭畵二�f닻倦銅妓彰椿郁�(난초를 그리지 않은 것이 스무 해인데, 우연히 그렸더니 천연의 본성이 드러났네.) 閉門覓覓尋尋處此是維摩不二禪 (문을 닫고 찾고 또 찾은 곳, 이것이 유마거사의 선과 다르지 않네)". - 이 화제는 지금까지‘선’에 이르는 방법을 찾아 헤매었으나, ‘무념무상’의 마음 상태, 즉‘평상심’의 상태가‘선’에 이르는 길이라는 가르침을 주는 문구이다. 선에 이르는 길이 먼데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 즉,‘우리의 마음 속 상념을 버리는 것에 있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다시 상 중앙에서 하 오른쪽 까지
"若有人强要爲口實又當以毗耶無言謝之. 曼香. (만일 강요하는 사람이 있다면 구실을 위하여 비야리성의 유마의 무언의 사양으로 대답하겠다. 만향.) 以草隷奇字之法爲之世人那得知那得好之也. 竟又題.(초서와 예서의 기이함을 그 법으로 삼았으니 어찌 세인들이 만족하게 알고 만족하게 좋아하겠는가. 구경우제(구경이 또 제하다)." - 이는 함부로 난화를 치지 않은 추사의 일면을 말해 주고 있다.
다시, 아래 왼쪽에
"始爲達俊放筆只可有一不可有二. 仙客老人"이라 제題하신 것으로 보아 이 작품은 '달준에게 작품해 주었는데 달준이라는 사람이 다른 사람 이 아니라 추사의 고제인 우선藕船이상적李尙迪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吳小山見而豪奪可笑"라는 문구의 해석도‘오소산이 보고 좋아하며 빼앗으려 하니 가히 우습다’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藕船 이상적李尙迪 이 그의 문집《은송당집》에
(중략)
"知己平生存手墨素心蘭又歲寒松 (평생 나를 알아주신 수묵이 있으니‘소심란’과‘세한송’이라.)" 이러한 시구를 남긴 것으로 기록 되어 있다.
이상적은 추사께서 돌아가시자 눈물을 흘리며 지은 시로 진실된 사제간의 관계를 보여 주어 현대에 시사하는 바도 크다
* '소심란 素心蘭' 그림과 그림 밑의 글은 <이보세상>에서 발췌헤 옮긴 글임을 밝힙니다.
첫댓글 붓놀림에 따라 명도와 채도가 달라지는
수채화를 그려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색칠하길 멈춰야 할때를 알면서도
덧칠을 하여 그림이 탁해지기 일쑤입니다
절제의 덕행도 마찬가지 일까요?
위에서도 설명 되었드시
'만일 강요하는 사람이 있다면 구실을 위하여 비야리성의 유마의 무언의 사양으로 대답하겠다.'
멈춰야 할때를 기르치는 것 같습니다.
늘 마음을 비우고 뜻하는 것을 이루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