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मनुष्य | m. | manuSya | husband |
머리에 비녀를 꽂고 정면을 보고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옛날에는
남자가 결혼을 하면 비녀를 꽂는다는
데서 '지아비(남편)'의 뜻을 나타내게 됨.
夫 [지아비 부]
kh발음은 f발음으로 나기도 하고 k발음으로 나기도 한다.
khara에서 카라 혹은 파라 로 난다.
enough,tough,rough,cough에서 gh는 f발음인거 알고 있나?
कार | m. | kAra | husband |
1. 지아비 2. 남편(男便) 3. 사내, 장정 4. 일군, 노동일을 하는 남자(男子) 5. 군인(軍人),...
[부수]大 (큰대) [총획] 4획
중국어사전
夫 [fū]
1.성인 남자. 사나이. (성년 남자에 대한 통칭) 반대말:妇(fù) 2.남편. 3.육체노동에 ...
산스크리트어
पाति | m. | pAti | husband |
वर | m. | vara | husband | |
प्रिय | m. | priya | husband |
भर्ता | f. | bhartA | husband |
भरु | m. | bharu | husband |
भर्तृक | f. | bhartRka | husband |
देवर | m. | devara | husband |
에서 pat에서 변하여 bhar 혹은 vara 를 가져온다.r발음은 탈락된다.
위 자료를 보면 발음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가 있다.
이게 모음이 변하여 부 가 되는 것이다.
팥-->파르-->바르
펕-->퍼르-->펼-->편 pran에서 편 혹은 팬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r발음은 후대로 올수록 생략이 잘 된다.
가령 甲의 한자상고음은 krap-->kap-->gap으로 된다.
한자발음은 단순화를 목표로 한다.r은 거의 탈락된다.
馬 역시도 par-->bar-->mar-->ma
경상도에서는 편 이라고 안 하고 팬 혹은 펜 이라고 하거든.
일본어에서도 이렇게 발음하지.ㅎㅎㅎ
पाणिग्रहीतृ | m. | pANigrahItR | husband |
प्राणप्रिय | m. | prANapriya | husband |
बन्धु | m. | bandhu | husband |
father의 fa 역시 여기서 온다.
남편의 남 역시 산스크리트어에서 온다.
랕-->낱-->낟-->날-->난<-->남(비음호환)
랕-->랕-->랃-->랄-->란-->람 (비음호환)
공통어근 Rat에서 변화하여 남이 된다.
प्राणनाथ | m. | prANanAtha | husban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