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목 |
아날로그 제어 |
디지털 제어 |
안정성 ․ 온도 |
|
|
조정 |
|
|
부품점수 |
|
|
분해능(전압․주파수․속도) |
|
|
연산속도 |
|
|
내노이즈성 |
|
|
10. 철도차량구조설계를 입증하는 구조체 강도 시험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로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점을 선정하는 원칙을 설명하시오.
11.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의 속도코드방식과 차내연산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자기조향대차의 조향방식을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조향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3. 철도 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철도차량의 차륜과 플랜지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 주요 부위와 수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83회 2교시 100분
※ 다음 문제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다음 그림은 Cant(캔트)에 대한 것이다. Cant(캔트)에 대한 질문에 답하시오.
W=차량중량, m=차량의 질량(W/g) g=중력가속도(9.8m/sec²) G=좌우차륜접촉점간거리(1,500mm), C=캔트,
H=중심의높이(2,000mm) J=편심률(G와b의비) Co=평형캔트 |
가. Cant(캔트)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나. Cant(캔트) 산식(Co= 11.8v^2/R-C')을 유도하시오.
2 - 1
2. 철도차량의 고속화에 따르는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요약하시오.
3. 고속철도차량에 작용하는 공기(空氣) 저항 저감 방안을 설명하시오.
4. KTX 열차의 안전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철도차량의 LCC(Life Cycle Cos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철도차량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기술분야 5가지의 특징을 제어기술측면에서 설명하시오.
2 - 2
============================================================================
83회 3교시 100분
※ 다음 문제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철도차량 설계 제작시에 철도차량 재료로서의 구비조건을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2. 철도차량 차체에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시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3. 최근 개정된 철도차량안전기준 16조의 표준충돌사고각본에서는 차체구조의 충돌안전도 설계를 요구하고 있는데, 충돌안전도 설계를 평가하는 항목과 각 항목의 안전성 확보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전동차 VVVF 인버터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인 GTO소자와 IGBT소자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철도차량의 견인장치 중 인버터(Inverter) 보호 기능, 유도전동기의 보호 기능에 대하여 각 보호 기능을 나열하고 이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1) 인버터 보호기능
2) 유도전동기 보호기능
6. 재료 또는 구조물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ing)의 종류 및 검사 종류별로 검사방법, 필요장비, 특징, 장․단점 등을 설명하시오.
============================================================================
83회 4교시 100분
※ 다음 문제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동력차의 성능을 나타내는 전기차의 견인력을 정의하고, 그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평탄 직선상에서 량당 20ton의 승객이 탑승한 전동열차의 초기 기동가속도가 40km/h까지는 3.0km/h/s로 일정하게 운전할 때,
1) 최대 승객 하중으로 출발시 견인전동기 1대의 견인력을 구하시오.
2) 최대 승객 하중조건에서 M car(1량) 고장일때 35‰ 구배에서 견인 가능 여부와 기동가속도를 구하시오.
3) 정상차량 1편성(8량)이 고장차량 1편성(8량)을 구원연결하여 35‰ 구배에서 견인 가능 여부와 기동가속도를 구하시오.
여기에서,
: 최대승객 승차시 총중량(8량/편성)=424ton
: 차량의 관성질량=차종별 총공차 중량×차종별 관성질량 보상계수
차의 총공차 중량(4량) : 152 ton
차의 총공차 중량(4량) : 112 ton
차의 관성질량 보상계수 : 14%
차의 관성질량 보상계수 : 6%
: 최대가속도=3.0km/h/s
: 열차 출발 주행저항(4.0kgf/ton)
: 구배저항
: 견인 전동기 수량 : 16대
3. 차량 경량화 설계의 필요성과 그 방법론에 대하여 구체적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4. 철도차량구조 설계에는 다양한 경량신소재가 적용되고 있다. 신소재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소재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알루미늄합금 소재 특성의 장단점을 강재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5. 도시철도차량 중 VVVF전동차에 적용되는 HRDA 형 공기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6. 전동차 주회로 시스템 방식 중 Unit방식(2Pair 1Single)과 단독M차 방식(Single)에 대하여 설명하고, 두 방식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출처: 한국산업인력공단
첫댓글 하악하악!!.... 엄청 어렵네요..ㅋㅋ 다.. 서술형이네..
제가 알기로는 기술사 시험은 철도관련 기사 직종 취득 한다음 5(?))년정도 실무에서 근무한 경력이 인정되어야만 응시 할 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문제가 정말 어렵네요... 자격증 중에서는 거의 거의 마지막급(?)으로 치니깐요...
저희 이모부 얼마전에 여기 합격하셨어요^^
이모부께서 합격하셨다구요? 대단하시고, 엄청 축하드리네요~ 저도 올해 철도차량기술사 시험에 응시해볼려고하는데요.. 기출문제를 보니깐 꿈만같네요. 근데 이자격증 공부할려면 학습방법등 안내좀 받을수 있을런지요? 꼭 공부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