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일성정시의와 조선시대의 표준시간 | |
|
요즘 우리나라 표준시간을 서울의 경도 127도 30분에 맞춰 정하자는 논의가 일부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 이유인 즉 슨, 동경 127도 30분에 위치한 우리 나라가 경도 135도에 맞춘 일본 東京의 표준 시각을 쓰고 있어 실제 시각과 30분이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표준시는 60년대 초, 127도 30분의 표준시로 바꾸어 썼다가 다시 재조정한 시각으로 무엇보다 일본의 표준시가 아닌 세계시에 맞춘 시간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면 오랜 옛날에는 무엇을 기준으로 표준시간을 정하였을까? 조선시대에는 세계시(world time)가 아닌 한양의 지방시(local time)를 표준으로 삼았다. 세종대에 <칠정산 내편>을 엮은 이후 한양을 기준으로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을 정하고 태양이 한양(후반기에 위도 37도 39분 15초로 확정)에 남중하는 시각을 오정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경도의 개념인 동서편도가 전해지자 기존의 표준 시각이 한양과 연경(북경)의 편도 15도를 감안해 1시간의 시간 차이가 난다는 것을 깨닫기도 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양의 표준시를 무엇으로 측정하고 그것을 어떻게 표준시계에 맞추었는지 알아보기로 하겠다. 표준시간 알려주기 지금은 우리나라 국립천문대에서 알려주는 표준시보에 시계를 맞추지만 6.25직후 50년대 천문대시설이 빈약하던 시절에는 일본 동경천문대에서 보내주는 낮 12시 시보를 라디오에서 중계하였다. 시간을 맞추려면 손목시계의 용두를 빼어 시계를 정지시킨 다음 기다렸다가 라디오에서 나오는 뚜 뚜 뚜 뚜 소리에 맞추어 용두를 제자리에 끼어 시계가 다시 가도록 해주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어떻게 표준시간을 알아내어 사람들에게 알려 주었을까? 조선시대 국가의 표준시계는 보루각 자격루였다. 세종대에 장영실이 처음 만들어 경복궁의 보루각에 설치한 이 시계는 세종 16년(1434년) 7월 초하루부터 국가의 표준시계로 채택되어 아침 점심 저녁으로 한양의 표준시각을 알렸다. 이 시계는 기본적으로 인정(人定)·파루(罷漏)와 오정 시보를 위한 것이었다. 자격루 시보에 맞추어 종루에서 인정과 파루에 종을 울렸는데, 종로에 위치한 종루에서 경복궁 안의 보루각에 들어 있는 자격루 시보에 맞추어 종을 치려면 너무 멀어 들리지 않으므로(직선거리로 800미터) 경복궁에서 종루에 이르는 곳곳에 초소를 짓고 경회루 남문→ 광화문→ 병조장문→월차소 행랑→수진방 동구의 병문→의금부→종루의 순서로 자격루 시보를 전달하는 체제를 갖추기도 하였다. 이 제도는 구한말 인정·파루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물시계의 기준시간 맞추기
세종대왕의 발명품
일성정시의는 원대의 천문학자 곽수경이 만든 성귀의(星晷儀)를 참고하여 만들었다고 하나 성귀의에 관한 기록은 중국에서 찾아 볼 수 없으며 유물도 남아 있지 않다. 일성정시의는 분명 세종의 발명품으로서 필자는 이를 자격루, 흠경각루, 현주일귀, 측우기와 더불어 세종대의 5대 발명품으로 꼽는다. 용어해설 : 초저녁에 도성문을 닫아 통행금지를 알리는 시각을 인정, 새벽에 도성문을 열어 통행금지의 해제를 알리는 시각을 파루라 한다. 인정에는 종을 28회, 파루에는 33회 울리는데, 28회는 28수(宿) 별자리의 수에서, 33회는 불교의 33천(天) 에서 유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