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프(AMP)란 무엇인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부르는 앰프는 정확한 명칭으로 앰플리파이어(Amplifier)라고 하고 우리나라 말로는 ‘증폭기’라고 한다. 앰프의 구성은 크게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로 나누어진다.
프리앰프의 역할(컨트롤 앰프)
쉽게 말해서 인 풋으로 입력되는 신호(기타, 베이스, 마이크 등)를 받고 그 신호를 조절하여 파워 앰프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처음 프리앰프로 들어오는 신호는 불규칙한데 이것을 안정적으로 만들어서 우리가 흔히 조절하는 콘트롤러(고음, 중음, 저음 등)로 조절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콘트롤러를 리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음색으로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 완성된 신호를 파워 앰프로 보내서 소리를 증폭시키게 된다.
파워앰프의 역할(메인 앰프)
파워앰프는 프리앰프에서 보내온 신호를 스피커로 나올 수 있게 전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스피커가 합쳐져 있는 앰프를 콤보앰프(Combo Amp)라고 한다. 프리랑 파워가 합쳐져 있는 것 중 인터그레이티드 앰프(Integrated Amp, 인티앰프)도 있는데 콤보 앰프와 인티앰프의 차이는 스피카가 있느냐 그렇지 않는냐의 차이다. 콤보는 보통 기타 앰프에서 많이 쓰는 제품이다. 프리, 파워, 스피커가 다 달려 있어서 인풋으로 신호만 보내준다면 소리가 바로 나온다. 그런데 인티 앰프는 피리와 파워만 달려 있어서 뒤쪽에 단자로 신호를 빼서 스피커로 보내줘야 한다.
랙 형 앰프(Rack Amp)
랙(rack)형 앰프는 기존의 앰프와 같고 형태만 다른 앰프로써 스튜디오에서 많이 쓰이고 일반 앰프들보다 성능도 뛰어나지만 그만큼 고가를 자랑한다.
진공관 앰프와 트랜지스터 앰프
앰프를 크게 나누면 진공관 앰프(Tube Amp)와 트렌지스터 앰프(Solid State Amp)가 있다. 트랜지스터 앰프는 진공관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소비전력이 낮고 고장도 적다. 소리는 따뜻하며 깔끔하지만 냉정하고 기계적인 느낌이 강하다. 진공관 앰프는 와일드한 파워가 있으면 기름진 소리.. 먼가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소리가 있다. 하지만 진공관의 수명이 있고 전기도 많이 먹고 고장도 트랜지스터 앰프보다 잦다. 진공관 앰프는 완전 진공관(full tube amp)가 있으며 프리앰프에만 진공관을 장착한 앰프가 있다. 이들은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중저가용으로 프리엠프에만 진공관이 장착한 하이브리드(Hybrid Amp)라는 앰프도 나오게 되었다.
콤보(Combo)형 앰프
프리와 파워와 스피커가 같이 합쳐져 있는 일체형 앰프를 말한다. 흔히 많이들 보시는 앰프들이 콤보형 앰프인데 뒤쪽에 단자에 보면 Send와 Return을 이용하여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를 사용 할 수도 있다.
스택(Stack)형 앰프, 헤드(프리+파워)+캐비넷(스피커)
스택 앰프는 콤보와 다르게 헤드와 케비넷이 따로 분리된 앰프를 말한다. 헤드는 프리 엠프와 엠프가 합쳐져 있는거고 거기에 캐비넷을 연결하여 소리를 낸다. 그리고 하프 스택(Half Stack)형 앰프는 스택 형 앰프와 구성은 같지만 헤드에 이펙터 기능이 들어가 있는 앰프를 말한다.
캐비넷이란
흔히 캐비넷이라고 부르는 스피커의 정확한 명칭은 인클로져(Enclosure)라고 한다. 스피커의 유닛을 담는 박스를 말한다. 뮤지션 사이에선 이 인클로저를 캐비넷이라고 흔히 부른다. 캐비넷을 보면 스펙에 4☓12″, 2☓10″이런 식으로 캐비넷의 크기를 표시 하는데 이는 앞에 숫자는 스피커 장착 개수이고 뒷에 숫자는 스피커의 직경(인치 inch)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