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은 자신이 우리나라에서 제일 유명한 시인이라고 했다. 서정주니 하는 시인은 유명한듯 하지만, 자신은 버스안내양도 알아줄 정도라고 했다.
1. 그 사연은 이렇다. 종로5가에서 시인의 집이 있는 의정부까지 운행하는 113번 버스 안내양들은 천상병 시인을 모를 수 없었다. 늘 술에 취해있어 대화가 어렵고 늘 주머니가 비어서 차비가 없고. 해서 시인을 어느 정류장에서 내려줘야 하는지를 입사 첫날부터 교육받게 돼 있었다.
그런데 그 정류장에 도착해서 안내양이 시인을 깨울 때는 중요한 원칙이 있다. 아저씨나 외모에 걸맞는 할아버지 같은 호칭으로는 시인은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시인아저씨라고 부르거나 최소한 시인할아버지 정도는 돼야 이 눈을 뜨고 안내양의 부축을 받으며 보무도 당당하게 하차를 승인하곤 했다.
종점까지 갔다가 돌아 오거나 한바퀴 더 돌아 종로5가 기독교방송국 앞에서 시인이 소피보는 걸 기다리느니 정중히 모시는 게 문화대국의 국익차원에서 바람직하다고 버스회사는 판단한 것이다 !
어쨌든 버스안내양도 알아주는 시인 천상병은 버스안내양들이 잘 모르는 서정주 정도의 시인을 안주삼아 막걸리를 마시곤 했다.
키가 작고 몸이 작은 만큼 막걸리가 많이 필요하지는 않았다.
| 2. 천상병 시인은 생전에 지인들에게 세금(?)으로 500원에서 1,000원을 받아냈다. 80년대 이후로는 1,000원~2,000원이 되었다. 그런데 징수(?)의 기준이 특이했다.
꼭 지인한테만 받았고 지인이 아닌 사람한테는 돈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어른이라 생각하면 1,000원, 어른이 아니라 생각하면 500원씩을 받았다고 한다. 그 기준도 나이같은 게 아니라 결혼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고 한다. 결혼한 사람에게는 1,000원, 결혼 안했으면 500원씩 받는 것이다. 주변 사람들은 천상병이 스스로 어지간히 친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면 돈을 걷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에 돈을 주면서도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그에게 현금지급기나 마찬가지인 김인 국수가 어느 날 천원을 못 주겠다고 했다. 자신은 대한민국 바둑의 최고봉인 국수인 만큼 오늘부터 천원이 아니고, 이천원으로 올리면 주겠다고 으름짱을 놨다.
천상병이 김인을 한참 노려 보다가 하는 말, “어이, 김 인이! 까불지 마라! 넌 아직 천원짜리 밖에 안돼 !” 둘은 호쾌하게 까르르 웃었다.
그는 자신이 구차하게 돈을 구걸하는 게 아니라, 형편을 봐줘서 받아 주는 것이고 그만큼 호의를 베푸는 것이라고 편하게 생각했던 것. 이렇게 천 상병이 걷어간 돈은 대부분 술값으로 쓰였다고 한다.
3. 평소 친하게 지낸 김동길 교수가 매일 술을 마시니까 이왕이면 좋은 술을 마시라고 비싼 조니 워커 위스키 한 병을 선물했는데 다음에 만났더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