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方商廈는 1993년 개업, 2003년 매출액은 10억위안 초과
- 上海를 비롯한 중국 전체 백화점 영역에서 확고한 지위 차지
- ꡒ禮在東方ꡓ의 기업경영이념 확립
2. 한국 의류 브랜드 판매 동향
◦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상품의 시장전망은 좋으나, 현재 東方商廈 및 上海 기타 백화점에 진출한 한국 남녀 의류 브랜드의 고객범위는 30~40대 중반인 중등 소득층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한국 의류는 고품질의 원단․세련된 디자인 등으로 중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들의 미적 감각에 어울림.
- 현재는 캐주얼이 정장보다 시장에서의 경쟁우위가 있음.
◦ 중국의 여성 소비자들이 한국 의류문화․생활방식 등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의류 브랜드의 시장 선호도 및 시장 파급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남.
- 현재 東方商廈내의 한국 의류 브랜드로는 KARRA․KLOVA․ILC․DECO 등.
- 東方商廈내 KARRA 브랜드 2003년 매출액은 75만위안
- GALAXY 등 남성 정장 브랜드의 인지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판단됨.
◦ 한국 스포츠웨어 WOLSEY․ASTRA․RAPIDO․JACK NICKLAUS 등 브랜드도 東方商廈에 입점하면서 소비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음.
- 東方商廈내 WOLSEY 매장의 2003년 매출액은 1,000만위안
- 특히, GOLF 계열 등 레저 소비스타일의 의류 시장선호도가 높음
◦ 한국 캐주얼과 정장의 시장점유율 비는 8:2, 한국 캐주얼의 시장점유율은 10% 내외
3. 한국 의류 브랜드, 중국시장에서의 발전현황과 전망
◦ 초창기
- 지역별 문화차이․시장 경영방식․시장진입조건․브랜드 경영 및 관리방식 등 여건의 제한성으로 한국 의류 브랜드가 중국시장에 진출한지 10년이 되지만 상당기간 시장개척이 어려운 상황이였음
◦ 시장 발전․성숙단계
-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 및 인지도가 높아지고, 백화점의 상품다양화 요구에 따라 한국 의류 브랜드는 개성적인 디자인 등 우월성으로 시장을 확보하게 되었음.
◦ 시장전망
- 세계 유명 브랜드는 주로 미주․유럽을 중심으로 의류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지만, 아시아에서의 한국 브랜드도 상당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음.
- 상해 한국섬유패션대전 개최 등 한국 의류업계가 중국 소비자들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중국에서의 시장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됨
4. 시사점
- 한국섬유연합회에서 개최하는 이번 섬유패션대전은 한․중 교류 촉진 및 유대증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됨
- 아울러 양국간의 문화․비즈니스 교류․협력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임
- 이는 한국 의류 브랜드의 중국 시장진출 비즈니스 기회는 물론 중국 의류 시장과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브랜드 및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