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t Be Literary, Darling
- Sasha Moorsom (1931-1993)
Don't be literary, darling, don't be literary
If you are James in the morning you are Hemingway in bed
Don't talk of yourself in the style of your own obituary --
For who cares what they say of you after you're dead.
Don't be always a thought ahead and a move behind
Like a general reconnoitring* dangerous ground,
This is a game it's much better to enter blind
And the one who wins is the one who is caught and bound.
If you can't be straight then just say nothing instead.
I'll know what you mean much better than it was said.
* reconnoitring = reconnoitering의 typo.
Sasha Moorsom은 영국 방송 BBC의 제작자였다고 합니다. 그녀는
Dylan Thomas, Ted Hughes, Philip Larkin, Thom Gunn 등이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때에 소개를 했습니다. 저자뿐만 아니라 화가,
사진가, 조각가 등으로도 활약한 그녀는 Michael Young과 결혼해서
그의 프로젝트들에 큰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위 시는 문장 끝에 점(period)이 생략된 곳이 많습니다. 1연 2행 같은
경우 독립적인 문장으로 보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시에서 시인의 상대방은 생각이 많고 행동은 잘 하지 않는 사람으로
암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의 생각과 행동의 내용은 '사랑하는 것',
'연인 혹은 부부간의 삶' 같은 것일 것입니다. 2연 3-4행에서 "이
'게임'에서는 사로잡히고 속박된 사람이 승리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제목에 나오기도 하고 1연 1행에 나오기도 하는 "literary"라는
말은 2연에 보면 '문학적'이라는 뜻임이 분명하지만, 3연 1행에
"If you can't be straight..." 곧 "직설적으로 혹은 명확하게
말할 수 없으면..."이라는 구절을 보면 말을 꾸미고 빙빙 돌려서
표현하는 것을 뜻하기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전에 나온
한 가지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literary: characterized by an excessive or affected display
of learning; stilted; pedantic.
사랑의 표현은 어렵게, 빙빙 돌려서 해야 할 때도 있겠지만 솔직하고
간단하게 "I love you."라고 말하는 것이 좋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버릇처럼, 아무 뜻도 없이 그런 말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어떤 아내가 어떤 편지에서 "I hate you..."로 시작해서 상대방을
잔뜩 욕한 다음 강하게 이혼 의사를 표명합니다. 그리고는 마지막에는
"Love, Susan" 처럼 서명합니다. 편지 끝에 버릇처럼 그렇게 써 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 간단한 말 한 마디, 그것도 매일 하는 말에
온 인생의 무게가 담길 수도 있습니다.
해석이 안 되는 부분이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으면 답글에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 은밤
첫댓글 "And the one who wins is the one who is caught and bound"가 참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