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잠언과 성찰》은 라 로슈푸코의 인생 체험이 집약된 짧은 잠언들로,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독자에게 제시하는 책이다. 그는 “우리의 미덕이란 대부분의 경우 가면을 쓴 악덕에 불과하다”는 잠언으로, 인간에 대한 관찰과 자신의 성찰을 명시하고 있다. 인간이 말하는 미덕이란 정의, 배려, 감사, 우정, 인자, 성실, 충의 등등은 모두 가식에 지나지 않는다고 폭로한다. 그러므로 자기 자신의 내부에 감춰진 자아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인간 본질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저자소개
저자 : 라 로슈푸코
(LA ROCHEFOUCAULD. 1613.9.15~1680.3.16)는 17세기 프랑스 귀족출신의 고전작가로, 라 로슈푸코 공작 가문의 장남으로 파리에서 태어났다. 군복무를 마친 후 루이 13세와 왕비의 신임을 받아 궁정에 돌아갔지만, 1637년 왕비파인 세르뵈즈 공작부인의 음모에 가담하여 감옥에 갇혔다. 프롱드 내전에서는 반란군의 지휘를 맡고 싸웠으며, 1652년 포부르 생탄투와느 전투에서 중상을 입고 한때 실명했다. 그 후 정치적 야심을 버리고 <회고록> <잠언집> <성찰> 등을 집필하였다.
역자 : 이동진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관이 되었다. 미국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의 연구원을 거쳐 국방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주이탈리아 참사관, 주일총영사, 주나이지리아 대사를 역임하였다. <현대문학>으로 문단에 데뷔 한 후, <내 영혼의 노래> 등 23권의 시집을 출간하였으며, 영문판 시집 는 독일 PEPERKON사에서 출간하였다. 희곡집 《금관의 예수》《독신자 아파트》, 장편소설《우리가 사랑하는 죄인》《외교관》, 번역서로는《장미의 이름》《천로역정》《제2의 성서》《링컨의 일생》《명상록》《365일 에센스 톨스토이 잠언집》등 수십여 권이 있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무료로 치료하는 <요셉의원>을 돕는 잡지 <착한 이웃>을 발행하여 ‘한국가톨릭매스컴상’ <제15회>을 수상하였다.
저자의 다른 책
- 바보예찬/잠언과 성
찰/인간성격론 - 2016.09
- 인간의 본성에 대한
풍자 511 (라로... - 2016.06
- 인간의 본성에 대한
풍자 511 (라로... - 2003.04
목차
옮긴이가 말하는 자기 성찰
Part 1잠언(1∼504)
Part 2초판본 이후 저자가 철회한 잠언(1∼84)
Part 3저자가 죽은 뒤 알려진 잠언(1∼66)
Part 4성찰
1. 진실
2. 사교(社交)
3. 외모와 태
4. 대화
5. 신뢰
6. 사랑과 바다
7. 모범
8. 질투의 불확실성
9. 사랑과 인생
10. 취향
11. 사람과 동물의 관계
12. 각종 질병의 원인
13. 허위
14. 자연과 운명이 만들어내는 전형들
15. 바람난 여자들과 늙은이들
16. 정신의 서로 다른 유형들
17. 변덕
18. 은퇴
19. 현재의 각종 사건
20. 마담 몽테스팡
21. 레츠 추기경
22. 리슐리외 추기경의 생애 초기단계294
23. 아르쿠르 백작
라 로슈푸코 연보
내용별 상세항목 찾아보기
독자 자신이 말하는 자기 성찰
출판사 서평
우리의 미덕이란 대부분의 경우
가면을 쓴 악덕에 불과하다
- 라 로슈푸코의 인생 체험이 집약된 짧은 잠언들 -
- 17세기 프랑스 파리 살롱에서 유행하던 문학양식에 따라 발표한 작품 -
이 책의 초판본 《잠언과 성찰(Reflexions ou sentences et maximes morales)》은 라 로슈푸코가 17세기 파리 살롱에서 유행하던 문학양식에 따라 발표한 작품(1665)으로 504개의 잠언이 실려 있다. 그러나 이번에 출간한 《잠언과 성찰》은 초판본에 수록된 504개의 잠언을 포함하여, 초판본 이후에 철회했던 잠언, 죽은 뒤에 알려진 잠언뿐만 아니라 ‘성찰’에 관한 내용도 함께 실었다.
《잠언과 성찰》은 라 로슈푸코의 인생 체험이 집약된 짧은 잠언들로,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독자에게 제시하는 책이다. 그는 “우리의 미덕이란 대부분의 경우 가면을 쓴 악덕에 불과하다”는 잠언으로, 인간에 대한 관찰과 자신의 성찰을 명시하고 있다. 인간이 말하는 미덕이란 정의, 배려, 감사, 우정, 인자, 성실, 충의 등등은 모두 가식에 지나지 않는다고 폭로한다. 그러므로 자기 자신의 내부에 감춰진 자아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인간 본질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