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乾)☰:天. 父. 健. 태(兌)☱:澤. 少女. 說(기쁨). 이(離)☲:火,日. 中女. 麗(붙다) 진(震)☳:雷. 長男. 動. 손(巽)☴:風,木. 長女. 入. 감(坎)☵:水,雨,雲. 中男. 險(陷) 간(艮)☶:山. 少男. 止. 곤(坤)☷:地. 母. 順. |
☯占筮(점서)의 방법
⟪繫辭上⟫
天一, 地二, 天三, 地四, 天五, 천일 지이 천삼 지사 천오
地六, 天七, 地八, 天九, 地十. 지륙 천칠 지팔 천구 지십
天數五, 地數五, 천수오 지수오
五位相得而各有合. 오위상득이각유합
天數二十有五, 地數三十, 천수이십유오 지수삼십
凡天地之數五十有五. 범천지지수오십유오
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 차소이성변화이행귀신야
大衍之數五十, 其用四十有九. 대연지수오십 기용사십유구
分而爲二以象兩, 掛一以象三, 분이위이이상량 괘일이상삼 걸괘
揲之以四以象四時, 설지이사이상사시 셀설
歸奇於扐以象閏, 五歲再閏, 귀기어륵이상윤 오세재윤 손가락사이륵 윤달윤
故再扐而後掛. 고재륵이후괘
乾之策二百一十有六, 건지책이백일십유륙
坤之策百四十有四, 곤지책백사십유사
凡三百有六十, 當期之日. 범삼백유육십 당기지일
二篇之策, 萬有一千五百二十, 이편지책 만유일천오백이십 책편
當萬物之數也. 是故四營而成易, 당만물지수야 시고사영이성역 경영할영
十有八變而成卦, 八卦而小成. 십유팔변이성괘 팔괘이소성
引而伸之, 觸類而長之, 인이신지 촉류이장지 끌인 펼신 닿을촉
天下之能事畢矣. 顯道神德行, 천하지능사필의 현도신덕행 마칠필
是故可與酬酢, 可與祐神矣. 子曰, 시고가여수작 가여우신의
知變化之道者, 其知神之所爲乎? 지변화지도자 기지신지소위호
※ 점서의 준비
• 蓍草(시초) 또는 筮竹(서죽)을 50개 준비.
• 점치고 싶은 구체적인 문제를 마음에 품고, 시초 하나를 떼어 놓(고 사용하지 않)는다. --- 太極(태극)으로 간주됨.
1. 4단계의 조작
• 시초 49개를 양손으로 나눔. 왼손:天, 오른손:地
----(第一營)----
• 오른손의 시초에서 하나를 떼어 왼손 새끼손가락과 약지 사이에 끼움.(①)
: 天•地•人의 三才가 됨.
----(第二營)----
• 먼저, 오른손의 시초를 내려놓고, 왼손의 시초를 오른손으로 네 개씩 헤아려(②), 그 나머지를 약지와 중지 사이에 끼움(③). (나머지가 없을 때는, 마지막 네 개를 나머지로 한다)
다음에는, 내려놓았던 오른손의 시초를 똑같이 네 개씩 헤아려(④), 그 나머지는 중지와 검지 사이에 끼움(⑤).
☯ 네 개씩 헤아리는 것은 4계절을 본뜬 것이라고 함.
----(第三營)----
• 나머지를 손가락에 끼우는 것은 閏年(윤년)을 본뜬 것으로, ①에서 ⑤까지의 조작 중에 나머지가 두 번 나오기 때문에, 이것을 5년에 두 번의 윤달에 본뜬 것이라고 보고 있다.
----(第四營)----
✳ 이렇게 해서 왼손가락에 끼운 것을 합하면, 5개 아니면 9개가 됨.
≪이상이 第一變≫
2. 四營을 三變까지
• 다음에는, 앞의 5개 아니면 9개의 나머지를, 49개의 시초에서 제외한 44개 아니면 40개의 시초를 사용함.
• 앞의 四營에서의 조작과 똑같은 조작을 함.
• 이렇게 해서 왼손가락에 끼운 것을 합하면, 4개 아니면 8개가 됨.
≪이상이 第二變≫
☯ ≪第三變≫
• 第二變에서의 나머지 4개 아니면 8개를, 44개 혹은 40개의 시초에서 제외한, 40개 혹은 36개 혹은 32개의 시초를 사용하여, 앞의 四營에서의 조작과 똑같은 조작을 한다.
• 왼손가락에 끼운 것을 합하면, 第二變의 경우와 같이, 4개 아니면 8개가 됨.
3. 爻(효)의 결정
• 이상의 三變의 조작에 의해서 비로소 하나의 爻가 결정됨.
• 이상의 三變의 조작에서 얻어진 나머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第一變 : 5, 9
第二變 : 4, 8
第三變 : 4, 8
(少) (多)
☯ 三變의 나머지를 합하면,
3少 : 5,4,4 →13. 49-13=36. 이 36은 네 개씩 헤아린 전체의 수.
36÷4=9→네 개씩이 9번 있었고, 이 9가 爻를 결정.
1多2少 : 9,4,4. 5,8,4. 5,4,8.의 세 가지 경우가 있고, 그 합은 17.
49-17=32. 32÷4=8. 네 개씩이 8번이고, 이 8이 효를 결정.
2多1少 : 9,8,4. 5,8,8. 9,4,8.의 세 경우가 있고, 그 합은 21이 됨.
49-21=28. 28÷4=7. 네 개씩이 7번이고, 이 7이 효를 결정.
3多 : 9,8,8 →25. 49-25=24. 24÷4=6. 네 개씩이 6번, 이 6이 효를 결정.
☯ 1에서 5까지는 生數: 사물이 생육하는 단계
6에서 10까지는 成數: 사물이 완성되는 단계
※ 易의 상징은 특히 이 成數를 중하게 여겨, 6에서 9까지를 채용함.
6 : 老陰 →변화하는 의미에서 「變爻(변효)」라고 함
7 : 少陽
8 : 少陰
9 : 老陽 →「變爻(변효)」
※ 이상의 三變의 조작을 6번 함에 의해서 하나의 卦(괘)를 얻게 됨
< 다음 주 강의 예고 >
통청아카데미 通 靑 Academy |
223회 |
주제: |
주역 이해 (1) |
발표자: |
임정기(영남대 외래교수/문학박사) | ||||
일시: |
2014. 5 14. (수) pm 7:00~9:00 |
장소: 대구시립수성도서관 제1 강좌실 |
문의 |
010-3928-2866 | |||||
h.p. |
cafe.daum.net/tongchungdg |
참고 : 221회~224회는 연강임. 221회 강의(일시:2014.4.30, 주제 : 종교와 과학, 강사 : 임정기) 222회 강의(일시:2014.5.7, 주제 : 자살, 강사 : 임정기) 223회 강의(일시:2014.5.14, 주제 : 주역 이해(1), 강사 : 임정기) 224회 강의(일시:2014.5.21, 주제 : 주역 이해(2) 강사 : 임정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