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책소개
마음을 보듬고 아픔을 치유하는 보자기 이야기.
보드랍고 뭉클한 희망의 보자기 한 장,
그거면 충분할지도 몰라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어쩌면.
간절하고 강력한 소망이 깃든 보자기의 마법이
시린 가슴을 감싸고 깊은 사랑을 전하며
귀한 것을 고이고이 싸서 무너진 삶을 일으켜 세워요.
영혼을 불어넣은 보자기 한 장의 가치
사물에 마음을 부여할 수 있다면 그 사물의 가치는 깃들인 마음의 가치만큼이다. 사람 관계도 다르지 않다. 우리는 무엇에,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마음을 쓰고 있을까? 평생 옷감을 짠 할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영혼을 불어넣어 보자기 한 장을 만들었다는데, 그 가치를 어떻게 헤아릴 수 있을까?
보자기의 쓸모는 물건을 싸거나 덮는 데 있다. 책보, 도시락보, 이불보, 보따리, 식탁보처럼. 선물 포장용으로도 쓰인다. 같은 보자기를 여러 용도로도 쓸 수 있는데, 이때 보자기의 가치는 쓰는 사람의 마음이 결정한다. 허접한 것을 대충 싼 것과 귀한 것을 정성스레 싼 것의 차이처럼. 얇은 천 조각에 지나지 않는 보자기지만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본래의 용도 이외의 것이 깃들이는 법이다.
이 책에서 보자기는 훨씬 더 다양한 계기를 부여받는다. 시골에 혼자 사는 할머니는 자식에게 줄 농산물을 보자기에 바리바리 싼다. 아주머니는 그 식재료로 음식을 만들고 도시락에 담아 일하는 남편에게 가져간다. 물론 보자기에 정성껏 싸서. 보자기는 수줍음이 많아 겉도는 소년에게 멋진 망토가 되고, 엄마를 잃고 슬퍼하는 소녀에게 머리 묶는 스카프가 된다. 실직한 아저씨에게 따뜻한 목도리가 되고, 모든 것을 잃고 역 앞 지하도에 쓰러져 있는 남자에겐 고향 집의 포근한 이불이 된다.
보자기가 날아다니며 만나는 사람들은 저마다 이런저런 상처가 있다. 외로움, 아픔, 불안, 괴로움, 슬픔, 두려움……, 그것을 무엇이라 이름하든 보자기는 그들의 마음을 감싸주고 덮어 주고 치유한다. 그리움과 사랑을 확인하는가 하면, 무너지고 꺼져 가는 삶의 불씨를 살린다. 그것이 애초에 보자기를 만든 할아버지의 소망인 듯싶다. 사람들이 옷감의 씨줄과 날줄처럼 엮여 구성된 세상에서 서로의 손끝으로 온기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랐던 게 아닐까. 상처 없는 사람은 없고 그것을 치유할 수 있는 것도 사람이니까. 보자기는 그 마음의 상징물이다.
보자기가 날아간다. 마음을 훑어간다. 보자기가 내려앉는다. 마음에 질문이 펄럭인다. 손끝에 보자기 한 장, 이 보드랍고 따스하고 뭉클한 것이 나한테 무엇이냐고.
이 책은 어린이와 어른이 따로 또 같이 보아도 좋다. 어린이의 시선과 어른이 시선이 교차할 때 작품은 더욱 풍성해질 것이다. 보자기를 받아들이는 지점은 처지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만 저마다 한 장의 보자기가 있다는 가정을 하고, 그 보자기에 쌀 소중하고 귀한 것들, 담아두고 싶은 것들, 정성을 다해 전하고 싶은 것들, 나아가 자신이 바라는 삶을 떠올려보는 것만으로도 값진 시간이 되지 않을까 한다.
첫댓글 어릴적 시골 장날 외할머니 장 봐오시던 그 보자기 생각난다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