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
□ 장난감 최근 3년간 수입동향
ㅇ 연도별 수입동향
- 최근 중국 장난감 수입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 2016년 중국 장난감(HS Code 9503.0021) 수입 규모는 2754만 달러로 전년대비 7.5% 상승
중국 장난감 수입현황(HS Code 9503.0021 기준)
(단위: 천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22,510 | 67.4 | 25,607 | 13.8 | 27,538 | 7.5 | 37,484 | 73.2 |
자료원: kita.net
ㅇ 주요 수입국 수입동향
- 2016년 장난감 주요 수입국은 인도네시아가 1위이며, 그 뒤는 베트남, 인도 순임.
-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최근 3년간 각각 1,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인도는 2014년까지 10위권 밖이었으나 2015년 4위, 2016년 3위로 대중국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 특히 2016년도에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프랑스, 영국 등을 제외하고는 200%이상의 증감률을 보이고 있음.
중국 장난감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9503.0021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
1 | 인도네시아 | 7,388 | 113.7 | 7,208 | -2.4 | 6,710 | -6.9 |
2 | 베트남 | 2,240 | 48.5 | 2,988 | 33.4 | 2,434 | -18.5 |
3 | 인도 | 303 | -37.7 | 378 | 47,010.3 | 1,273 | 237.0 |
4 | 독일 | 1 | -36.6 | 164 | 94.5 | 647 | 294.0 |
5 | 이탈리아 | 188 | 954.2 | 61 | -83.6 | 460 | 654.4 |
6 | 튀니지 | 11 | -54.0 | 59 | -14.9 | 384 | 552.4 |
7 | 프랑스 | 65 | -25.0 | 253 | 34.5 | 324 | 28.4 |
8 | 한국 | 84 | -68.9 | 73 | -41.8 | 258 | 252.8 |
9 | 체코 | 55 | 0.0 | 21 | 483.9 | 193 | 811.9 |
10 | 영국 | 126 | 632.2 | 201 | 1,680.6 | 188 | -6.4 |
- | 총계 | 22,510 | 67.4 | 25,607 | 13.8 | 27,538 | 7.5 |
주: 순위는 2016년 기준임
자료원 : kita.net
□ 장난감 차 최근 3년간 수입 동향
ㅇ 연도별 수입동향
- 최근 중국 장난감 차 수입시장 규모도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임. 2016년 중국 장난감 차(HS Code 9503.0010) 수입 규모는 145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25.3% 증가함.
- 특히 2015년에는 전년도 대비 54.5%로 파격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음.
중국 장난감 차 수입현황(HS Code 9503.0010)
(단위: 천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10월 누적)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7,488,765 | 15.6 | 11,569,044 | 54.5 | 14,500,991 | 25.3 | 17,750,096 | 33.7 |
자료원: kita.net
ㅇ 주요 수입국 수입동향
- 2016년 장난감 차 주요 수입국은 대만이 1위이며, 그 뒤는 독일, 멕시코 순임.
- 독일은 최근 3년간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멕시코는 2015년까지 수입국 1위에 머물렀지만 2016년엔 3위로 하락함. 일본은 2015년까지 10위권 밖이었으나 2016년 상위 10위권에 들어섬.
- 2016년에도 대만은 89.3%의 증가율을 보이며 대중국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중국 장난감 차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9503.0010)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
1 | 대만 | 2,001 | 30.2 | 1,096 | 120.1 | 2,075 | 89.3 |
2 | 독일 | 1,403 | 15.8 | 1,202 | -14.4 | 1,237 | 2.9 |
3 | 멕시코 | 498 | 86.6 | 2,642 | 32.0 | 1,177 | -55.4 |
4 | 한국 | 66 | 109.3 | 1,056 | 1,493.6 | 851 | -19.4 |
5 | 미국 | 401 | 667.2 | 367 | -8.5 | 638 | 74.0 |
6 | 일본 | 0 | -100.0 | 1 | -54.7 | 376 | 26,725.5 |
7 | 이탈리아 | 23 | 710.2 | 13 | -91.8 | 113 | 740.1 |
8 | 터키 | 11 | -77.2 | 0 | 0.0 | 29 | 0.0 |
9 | 베트남 | 165 | -57.9 | 26 | 10.4 | 28 | 7.5 |
10 | 스페인 | 1 | -93.2 | 16 | 48.7 | 14 | -10.0 |
| 총계 | 7,489 | 15.6 | 11,569 | 54.5 | 14,501 | 25.3 |
주: 2016년 순위 기준임
자료원 : kita.net
□ 경쟁동향
ㅇ 아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완구는 봉제완구와 전동완구임.
- 아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완구 중 1위는 봉제완구, 2위는 전동류 완구, 3위는 블록완구, 4위는 모형완구, 5위는 모방완구임.
- 성별에 따른 완구 선호도를 보면 남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완구는 전동류 완구인 반면, 여자들은 봉제완구를 가장 선호함.
연령별 선호하는 완구
자료원: 친베이왕(亲贝网)
ㅇ 수입 완구 제품 인기
- 2016년까지 중국 규모이상 완구 기업은 1500개 정도이지만 완구시장 순위 TOP10중 절반이상 모두 해외기업 차지
- 미국, 독일, 일본, 영국 등 수입국 완구 제품 인기
ㅇ 중국 인기 완구 제품
브랜드명 | 상품명 | 국가 | 이미지 | 가격 |
Lego | 조립형 완구 | 덴마크 |
| 389위안 |
MINGTA | 블록 | 중국 |
| 99위안 |
hape | 블록 | 독일 |
| 168위안 |
B.toys | 제니쥬 | 미국 |
| 498위안 |
beiruidor | 전동차 | 중국 |
| 533위안 |
mimiworld | 인형옷장세트 | 한국 |
| 269위안 |
Line | 인형 | 한국 |
| 98위안 |
자료원: 타오바오, 징둥 등 온라인 쇼핑몰
□ 시사점
ㅇ 나이에 따라 완구 구매 결정 방식 상이함.
- 아동완구 구매방식 중 31.4%가 아이들이 구매의사를 표하고 부모들이 구매결정으로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 부모들이 단독적으로 구매결정을 하는 것이 25.6% 차지함.
구분 | 0~3세 | 4~6세 | 7~10세 | 11~13세 | 14~16세 | 전체 |
부모 단독 구매결정 | 65.2% | 18.0% | 6.3% | 13.3% | 0% | 25.6% |
부모 구매 의사 제기, 아이들 선택 | 8.7% | 10.0% | 4.2% | 6.7% | 0% | 7.0% |
부모와 아이 공동 결정 | 6.5% | 30.0% | 25.0% | 20.0% | 7.7% | 19.8% |
아이들이 구매 의사 제기, 부모 구매 결정 | 10.9% | 34.0% | 45.8% | 40.0% | 30.8% | 31.4% |
아이들 단독 구매 결정 | 6.5% | 8.0% | 14.6% | 20.0% | 38.5% | 12.8% |
ㅇ 한국 캐릭터 완구 인기
- 중국 소비자의 소득수준 향상과 고소득층의 수입 명품 완구 선호로 수입 완구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
- 뽀로로, 로보카 폴리, 라바, 빼꼼 등 한국 캐릭터들이 중국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음.
- 이에 따라 한국의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 장난감의 적극적인 중국 아동 완구시장 진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ㅇ 교육적 기능을 포함한 완구, 'AI+IoT' 스마트 완구가 대세
- 조기교육 열풍이 일고 있는 만큼 교육적 기능을 포함하거나 레고와 같은 지능계발완구가 큰 인기
- 최근 중국에서 출시 된 AI와 IoT를 결합한 '말할 수 있는 토마스기차(会说话的托马斯火车)'는 영어와 중국어 발음이 가능한 기차완구로 이야기, 노래 등 기능이 탑재돼 있으며, 와이파이로 인터넷과 연결돼 부모가 휴대폰으로 토마스기차의 위챗계정을 접속해 기차에 등록하면 아이들이 토마스기차를 통해 부모와 위챗 교류를 할 수 있는 기능까지 포함돼 주목을 받고 있음.
ㅇ 잠재력이 큰 중국 아동 전동차시장
- 저소득층을 제외하고 평균 1인 가족당 1개의 전동차를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아동용 전동차가 아이들한테서 인기를 얻고 있음.
- 부모들의 소비욕구를 아이들 통해 얻고 있음. 최근 아동 전동차는 아우디, 포르쉐, 벤츠 등 명품 전동차들이 인기를 끌고 있음. 이는 부모들이 자신들이 갖고 싶은 모델을 아이들에게 사줌으로써 대리만족을 하는 경우가 있음.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 국가통계국, 한국무역협회, Ctoy망, 친베이왕, 각 업체 홈페이지,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