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노선끼리 환승을 할때, 환승거리가 길어지면서 승객들에게 큰 불편을 주고 있지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하철 노선들끼리 입체교차를 하면서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맞은편 플랫폼에서 평면환승을 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 이렇게 입체교차를 시행하면서 평면환승이 되는 역은 딱 2개밖에 없는데
1-4호선 금정역과
9호선 공항철도 김포공항역
이지요.
해외에는 이런 사례가 많다고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 순방향 환승만 평면환승이고
- 역방향 환승은 계단 환승인데,
외국은 역방향 환승까지 평면환승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네요
홍콩지하철의 Yau Tong역과 Tiu Keng Leng역입니다.
Yau Tong역에서는 두 노선 사이에 역방향 평면환승을 실현했고
다음역은 Tiu Keng Leng역에서는 순방향 평면환승을 실현했습니다.
그래서 사실상 두 노선 사이에 양방향 평면환승이 가능합니다.
타이베이 지하철이라고 합니다. 역시 평면환승이 시행되어 있구요.
평면환승으로 유명한 도쿄의 아카사카미츠케역입니다.
9-공철 김포공항역하고 구조가 똑같지요.
수요가 많은 순방향 환승에 대해 평면환승이 실현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실제역은 아니고 개념도입니다.
초록 노선이 입체교차를 해서, 총 4개 플랫폼에서, 양방향 평면환승으 가능합니다.
맨 위의 홍콩지하철을 개념도로 그려놓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좀더 자세한 것은 아래 게시물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Cross-platform_interchange
첫댓글 잘일었습니다. 다음에는 타노선 또는 타사간 직결운행사례도 올려주었으면 합니다.
대만지하철이 아니라 타이베이지하철, 정확하게는 타이베이메트로입니다. 서울지하철이 한국지하철이 아닌 것처럼.......
말씀하신 환승 방식은 홍콩이 가장 잘 되어 있습니다. 홍콩도시철도(MTR) 노선도(http://www.mtr.com.hk/jplanner/flash_eng/index.php )를 보면 대부분의 환승역이 쌍을 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원래 도시철도로 만들어지지 않은 동철선(東鐵線)은 그렇지 않죠.
홍콩에서 지하철 환승해보니 정말 편하더군요. 노선을 계획할때 환승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으면 참 좋았을 텐데요~
과연 선진국이군요.
잘 읽었습니다. 저런 구조를 만들려면 pf1008님 의견처럼 설계할 때부터 미리 예상을 하여 설계를 해야 합니다
설계도 설계지만 홍콩의 경우 환승역이 2번씩 중복되어있는데(정말 편리), 우리나라에서는 혈세낭비니 어쩌구하면서 절대 안될것 같네요..
환승이 빨라서 좋은방법이긴 하지만 아다리가 딱 맞아야 저 방법을 쓰지요. 금정역이나 김포공항 역 처럼 두 노선이 일자로 중복 되는 구간이 많을 때 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억지로 평면 환승 시키겠다고 +교체 하는 곳을 평면환승 구조로 설계하면 그 역효과로 한 노선은 종각역 급 급커브를 해야 하죠.
그러고보니 까치산역이 여러모로 아쉽습니다.
타이페이 지하철에 그려진 것 중 녹색으로 표시된 노선은 우리로 치면 성수지선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지선입니다. 같은 맥락이라면 성수역도 충분히 훌륭한 평면환승 사례라고 소개할 수 있는 거죠.
(덧붙여 차후에는 현재 탐수이선과 직결중인 중정기념관-신덴과 연결하여 정규 운영계통으로 바뀌긴 합니다. 타이페이 지하철이 한국과 다른 점은 초기부터 노선 계획이 통으로 짜여져 단기간에 건설되고 있다는 건데, 그 때문에 위와 같은 평면환승 도입이 가능한 것으로 봅니다. 다만 메트로3호선님 말씀대로 그것도 선형이 맞아야 한다는 점이 있고, 위 평면환승 외의 환승역 구조는 개인적인 체감으로는 영 좋지 않았습니다 :)
잘봤습니다 우라나라에 현실론2개밖에 없는게 아쉽고 까치산역이 좀다르게 만들었으면 2,5호선간 환승이 좀더 빠르고
이용하는 승객이 증가하고 좋을텐데 그게좀 아쉽네요~~~ 그리고 제생각인데 서매1호선을 성수역까지 운행을하면 평면환승이 가능할텐데 그냥제생각이니깐 진지한답변 하지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