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복
세월만큼 원수다
남이 일한 품앗이
죽음까지 착복하는 이들
사회라는 틀안에서
뻔뻔한 도둑들
뉘우침도 잘잘못도 모르는
겉만 뻔지르르한
생명체가 현대
이 땅에 존재한다
남이 열심히 일한다
품앗이를 다 쓰고도
또 똑같은 행위를 하는
인간 착복자들
그안에서 새싹이 자란다
이들은 착복자가 될까
착복을 당하는자가 될까
'착복(着服)'
남의 돈이나 물건을 옳지 못한 방법으로 자기 것으로 하는 행위
주로 돈이나 물건을 맡아 관리하는 사람이 이를 횡령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공금 착복', '기부금 착복'과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착복과 관련된 대표적인 단어로는 횡령이 있습니다.
횡령: 남의 재물이나 공공 재물을 불법으로 제 것으로 삼는 행위
착복은 횡령과 비슷한 의미를 갖지만, 착복은 주로 금전적인 횡령에 사용되며, 횡령은 재물, 공공 재물 등 더 넓은 범위의 횡령에 사용됩니다.
착복이 만연한 사회
사회적 불신 심화
착복 행위는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불신을 심화시킵니다.
공정성에 대한 의심은 사회 전체의 불안과 갈등을 야기합니다.
경제적 불평등 심화
착복은 부의 불균형한 분배를 초래하여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킵니다.
이는 사회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빈곤층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사회 시스템 붕괴
착복이 만연하면 사회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고, 시스템 기능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 질서의 붕괴와 혼란을 야기합니다.
도덕적 해이 만연
착복 행위는 사회 구성원들의 도덕적 해이를 부추기고,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노력을 저해합니다.
이는 사회 전반의 가치관 혼란을 야기합니다.
국가 경쟁력 약화
착복은 국가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초래하여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킵니다.
이는 국가 경제의 침체와 사회 발전을 저해합니다.
시민들의 박탈감 증가
착복으로 인해서 시민들은 자신의 노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게 되어 박탈감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사회 전반의 불만을 야기합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합니다. 따라서 착복 행위를 근절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