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암호화폐 거래’ 은행 서비스 전면 금지…투기 단속 초강수, (조선닷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은행 서비스 제공을 전면적으로 금지했다.
19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지난 17일 주요 은행에 보낸 내부 문건에서 “오늘부터 각 은행과 지점은 자체 조사와 시정 조치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전면 금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통해 결제 채널이 암호화폐 거래에 쓰이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통보했다.
인민은행은 또한 “은행들은 매일 거래 감시를 강화하고, 가상화폐 거래로 의심되는 사례를 발견하면 즉각 지급 채널을 차단하고, 관련 자금이 사회 안정을 해치는 데 쓰이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또한, 각 은행은 자체 조사와 관련 시행 조치 등에 대한 보고를 20일까지 인민은행에 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 9월 암호화폐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암호화폐공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한 데 이어, 관련 계좌 개설을 금지하고 모든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을 중단시키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때 세계 가상화폐 거래의 90%를 차지했던 중국 내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일본 등 다른 나라로 옮겨가고 있다.
다만 일부에서는 중국 중앙은행이 직접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차이나 파트너인 천인층은 “중국은 디지털 화폐와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취해왔으며, 올해 중국은 세계 최초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를 발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본 블로거는 지난 해 12월에 작성한 “비트코인이 페드코인, 월드코인으로 대체될 것인가?”라는 글을 통해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들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이 개인이 아닌 나라가 발행하는 가상화폐를 내놓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각국에서 발행하는 가상화폐들이 합쳐져 월드코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국가의 경제 주권을 상징하는 통화의 발행과 감독권을 비트코인과 같이 개인이 발행하는 가상화폐에 빼앗길 수 없다는 절박함이 결국 페드코인(fedcoin, 미국연방이 발행하는 가상화폐, 가칭), 차이나코인(가칭)과 같이 국가가 발행하고 감독하는 가상화폐를 탄생시키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현재 3D 프린터기의 발달로 조만간 진폐와 전혀 구분할 수 없는 위조지폐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각 국가들이 지금의 발행화폐(종이화폐)를 가상(전자)화폐로 바꾸려는(바꿔야 하는) 또 다른 이유이기도하다.
차이나코인과 같이 국가가 발행하는 가상화폐가 등장하면 이와 경쟁관계에 있는 비트코인과 같은 개인화폐는 결국 사멸의 길을 가게 될 것이다. 중국이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 금지 조치를 내놓으면서 차이나코인에 대한 구상을 발표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비트코인과 같이 개인이 발행하는 암호화폐에서 차이나코인과 같이 국가가 발행하는 암호화폐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렇게 국가가 발행하는 암호화폐들이 통합되어 월드코인(가칭)이 탄생하게 될 것이다. (이 때가 되면 베리칩이 월드코인의 유일한 결제수단이 될 것이다. - 사족)
국가 암호화폐 차이나코인의 등장은 개인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종말을 알리는 조종(弔鐘)이 될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예레미야 -
첫댓글 돈되는걸 알았으니 당연히 민간이 만든 가상화폐는 철저히 죽이고 국가가 만들겠쬬
어찌보면 이제 비트코인 발표 당시 사토시가 제안한 탈중앙화가 정말로 가능한지 도마 위에 오른것 같군요.
국가가 돈 권력을 포기할 리가 없으니 대항 암호화폐를 만들어서라도 자신들의 기득권 체제를 유지해야 할 것이고 탈중앙화 화폐는 과연 이를 이길 수 있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