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감역관 |
조선 때 토목·영선을 담당하던 종9품의 임시관직 |
가덕대부 |
조선의 종1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계 |
가선대부 |
조선의 관계, 종2품으로 문·무반·종친이 받음 |
가의대부 |
조선의 관계. 종2품으로 처음에는 가정대부였다. |
각간 |
신라의 최고 관급. 상대등과 같이 17판등과는 별개 |
감관 |
조선 때 각 관아·궁방에서 금전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리 |
감군 |
조선의 군직으로 군인들의 순찰을 감독하던 임시 벼슬 |
감목관 |
조선의 외관직, 지방의 목장일을 맡아 보았다. |
감무 |
고려 때 현령을 둘 수 없는 작은 현의 감독관 |
감사 |
감사(監司)-조선 때 관찰사의 별칭으로 각 도의 우두머리로 종2품 |
감서 |
조선 규장각에 소속된 관직. |
감수국사 |
고려 춘추관의 최고 관직으로 시중(종1품)이 겸임 |
감역관 |
조선 때 종9품의 벼슬로 건축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였다 |
감진어사 |
조선 때 지방에 파견된 어사 |
감찰 |
조선 때 사헌부의 정6품 관직 |
감창사 |
고려 때 창고를 감찰하던 관직 |
감춘추관사 |
춘추관 감사. 조선 때 춘추관의 정1품 관직 |
건공장군 |
조선의 종3품 무관에 주는 품계 |
건신대위 |
조선 때 무관에게 주는 정 6품의 품계 |
건충대위 |
조선의 정5품 토관직·관계 |
검관 |
조선의 형조 소속으로 시체를 검사하는 관리 |
검교사 |
신라 때 중앙관부의 장관인 영(令) |
검독 |
조선의 지방관직으로 지금의 면장 또는 읍장에 해당하는 관직 |
검률 |
조선 때 형조에 소속된 종9품의 벼슬 |
검열 |
고려 때 예문관·춘추관의 정8품에서 정9품의 벼슬 . |
겸교리 |
조선 때 교서관에 소속된 종5품 관직 |
겸교수 |
조선 때 종6품의 벼슬 |
겸도사 |
조선 때 충훈부에 속한 종5품 관직 |
겸보덕 |
조선 때 세자시강원의 정 3품 관직 |
겸사복장 |
조선 무관의 관직으로 종2품 이었으나 뒤에 정3품이 되었다. |
겸필선 |
조선 초기에 세자시강원에서 세자를 교육한 정4품관직 |
경력 |
고려 때 4∼5품 관리, 조선 때 종4품의 관리 |
경사교수 |
고려 때 교육기간인 국자감에 속했던 관직 |
경학박사 |
고려 때 지방관민의 자제를 교육시키기 위해 둔 교수직 |
계사 |
조선 때 호조에 속한 종8품의 관직. 처음에는 산원이라고 했다. |
계사랑 |
조선때 동반(무관)의 관계로 정9품 |
계의관 |
고려대 광정원 소속의 정7품 관직 |
공조판서 |
조선 때 공조의 으뜸 벼슬로 정2품 |
관군대장군 |
고려 때 정3품 무산계 |
관찰사 |
조선 때 지방장관으로 종2품이며 지금의 도지사와 같다. |
광덕대부 |
조선의 품계로 의빈부에 속했던 1품 관계 |
광성대부 |
조선 때 정4품의 관계 |
교감 |
고려 비서성의 종9품 관. 조선 승문원의 종5품 벼슬 |
교검 |
조선 때 승문원의 정6품의 관리 |
교리 |
조선의 관직으로 홍문관과 승문원의 종5품 벼슬 |
교서랑 |
고려 때 비서성에 속한 정9품 관리 |
교수 |
조선 때 부와 목에서 유생들을 가르치는 종6품 관리 |
국별장 |
조선 때 훈련도감에 소속된 정3품의 무관직 |
군수 |
조선 때 각 군의 우두머리로 종4품의 무관직 |
권독 |
조선 때 세손에게 학문을 가르치던 직책으로 종5품 관리 |
근절랑 |
조선 때 동반종친의 품계로 종5품 관리 |
금위대장 |
조선 때 금위영의 주장으로 종2품 무신관직 |
금자광록대부 |
고려 문산계의 하나로 종2품 관. |
금자숭록대부 |
고려 문산계의 하나로 종1품의 품계 |
금자흥록대부 |
고려 문산계의 하나로 종1품의 품계 |
급사중 |
고려 때 중서문하성에 소속된 종4품 벼슬 |
기거랑 |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종5품 벼슬 |
기거사인 |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종5품, 후에 정5품 |
기거주 |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종5품, 후에 정5품이 되었다. |
나 | |
낭관 |
조선의 6품관 |
낭사 |
고려 문하성소속으로 간관들의 총칭 |
낭장 |
고려 때 정6품의 무관직 |
낭중 |
신라 때 관직으로 사지(13등급)에서 내차(11등급)까지 역임. 고려 때는 6부에소속된 정5품 벼슬 |
낭청 |
조선 때 비변사에 속한 종6품의 관직 |
내급사 |
고려 대 전중성에 소속된 종6품의 관직 |
내사사인 |
고려 때 내사문성소속의 종4품 벼슬 |
내사시랑평장사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정2품 벼슬 |
내시 |
고려 때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자제들을 임명하여 숙위 및 근시의 일을 맡던 관원. |
내신좌평 |
백제의 1품 관직. 시중과 같은 수상급 |
내직랑 |
고려 때 동궁(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6품 벼슬 |
녕원장군 |
고려 때 정5품의 무산계(무신들의 품계) |
녹사 |
고려 때 정8품의 무관 벼슬, 조선 때 각 관아에속한 하급이속 |
다 | |
대사간 |
조선 때 사간원의 최고직이며 학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임금에게 풍간하는 일을 맡은 정3품 관리 |
대사성 |
조선 성균관의 최고관, 유학에 관한 일을 담당한 정3품 관리 |
대사헌 |
조선 때 사헌부의 장관으로 정2품 관리 |
대장 |
대장(大將)-조선 때 정2품 무관직이며, 호위청에 만 정1품관을 두었다. |
대장군 |
신라 무관직의 으뜸, 고려 때 종3품의 무관직 |
대정 |
고려 때 무관의 벼슬, 최하위 군관으로 종9품 |
대제학 |
조선때 흥문관·예문관에 둔 정2품 관직 |
대호군 |
고려 무관직으로 종3품, 조선의 무관직이며 종3품의 벼슬 |
도사 |
고려 때 종7품의 관직, 조선 때 관리의 감찰·규탄을 맡은 종5품관 |
도선 |
조선 때 종학에 소속된 정4품 벼슬 |
도순문사 |
고려의 외관직으로 주·부의 장관을 겸하였다. |
도순찰사 |
조선 군관직, 정2품 또는 종2품의 관찰사가 겸임한 임시직 |
도승지 |
조선 때 승정원의 정3품관,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장 |
도원수 |
고려·조선 때 전시에 군대를 통괄하던 임시 무관직 |
도정 |
조선 때 종친부·돈녕부에서 종친사무를 담당한 정3품 |
도제조 |
조선 때 각 관청의 정1품 벼슬 |
도청 |
조선 때 준천사에 속한 정3품 당상관 |
도체찰사 |
조선 때 관직, 전시에 의정이 겸임하는 최고 군직 |
도총관 |
조선때 오위도총부의 우두머리로 정2품 관직 |
돈신대부 |
조선 때 종3품의 품계를 가진 문관 벼슬로 이빈에게 줌 |
돈용교위 |
조선 무관의 관계로 정6품 |
돈의도위 |
조선 때 무관의 관계로 정7품 |
동부승지 |
조선 때 승정원에 소속된 정3품 관직 |
동지경연사 |
조선 때 경연청에 속한 종2품의 벼슬 |
동지돈령부사 |
조선 때 돈령부에 속한 종2품의 벼슬 |
동지사 |
조선 때 종2품 관직으로 이들의 직함은 소속관청면 위에 동지를 쓰고 관청명 밑에 사를 사용하였다. |
동지삼군부사 |
조선 때 삼군부에 속한 종2품 벼슬, 대장이 겸임 |
동지성균관사 |
조선 때 성균관에 속한 종2품 벼슬 |
동지원사 |
고려 때 중추원 소속의 종2품 벼슬 |
동지의금부사 |
조선 때 의금부에 속한 종2품 벼슬 |
동지춘추관사 |
조선 때 춘추관에 속한 종2품 벼슬 |
동첨절제사 |
조선 때 정도사에 딸린 종4품의 무관직 |
마 | |
만호 |
고려·조선 때의 외관직으로 정4품의 무관직 |
명덕대부 |
조선의 관계로 숭덕대부를 개칭한 것 |
명선대부 |
조선 초기 종친들에게 주던 관계로 정3품 당상관 |
명신대부 |
조선 초기 의빈에게 주던 종3품의 관계 |
목사 |
조선 때 각 목의 으뜸 벼슬로 정3품의 관계 |
명위장군 |
고려 때 종4품의 무산계 |
무공랑 |
조선 때 정7품의 문반 관계로 종친 및 의빈에게 주었다. |
문사 |
고려 때 유수관이나 대도호부에 속한 9품직 |
문하녹사 |
고려 때 문하성에 소속된 정7품의 관직 |
문하사인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종4품의 관직 |
문하시랑 |
고려 때 문하부에 소속된 정2품의 관직 |
문하시중 |
고려 때 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종1품 관직 |
문하우시중 |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문하시중을 고쳐부른 것. |
문하좌시중 |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문하시중을 고쳐부른 것 |
문하주서 |
고려 때 문하부의 종7품 관직으로 첨의주서라 한다. |
문하찬성사 |
고려 때 문하부의 정2품 벼슬이며 찬성사라 한다. |
문하평리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종2품 관직. |
밀직판원사 |
고려 때 밀직사 소속의 종2품 관직 |
밀직원사 |
고려 때 밀직지원사·밀직사 소속의 종2품관직 |
밀직부사 |
고려 때 밀직사 소속의 정3품 관직 |
바 | |
방어사 |
조선 때 지방 관직으로 각 도의 요지를 방어하는 병권을 가졌다. |
백호 |
고려·조선 때 5·6품의 무관직으로 청백하고 무예에 능한 관원 |
벽상삼한 |
고려의 정1품 품계. 벽상공신의 무관 |
별장 |
고려 때 정7품의 무관직, 조선 때 각 영에 소속된 종2품의 무관직 |
별제 |
조선 때 6품의 관리로 6조에 속해 있었다. |
별좌 |
조선 때 수원 총리영 소속의 정3품 군인 |
별효장 |
조선 때 수원 어영청 소속의 정3품 군인 |
별후부천총 |
조선 때 어영청에 소속된 정3품의 군인 |
병마사 |
고려 때 동·북 양계의 군권을 지휘하는 정3품 벼슬 |
병마방어사 |
조선 때 각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던 종2품의 무관직 |
병마절도사 |
조선 때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던 종2품의군인 |
병마절제사 |
조선 때 각 읍의 수령이 겸임하는 군사직 |
병부상서 |
고려 병부의 장관. 지금의 국방부 장관과 같다. |
병절교위 |
조선 때의 종6품에 속하는 무관의 관계 |
병조판서 |
조선 때 병조의 으뜸 벼슬로 정2품 |
보공장군 |
조선 때 무관의 관계로 종3품 |
보국대장군 |
고려 때 정2품의 무산계 |
보국숭록대부 |
조선의 정1품 품계 |
보덕 |
조선의 세자시강원에서 세자를 가르치던 종3품 벼슬. |
보신대부 |
조선초기에 종친에게 주던 종3품의 관계 |
봉렬대부 |
조선 때의 정4품 관계 |
봉사 |
조선 때의 종8품 관직 |
봉상대부 |
고려 때 정4품의 문산계 |
봉상시정 |
조선 때 봉상시 소속의 정3품 관원 |
봉선대부 |
고려의 종4품 문산계 |
봉성대부 |
조선의 종4품 관계로 종친에게만 주었다. |
봉순대부 |
고려·조선 때 정3품의 문관 품계 |
봉어 |
고려 때 각 관청 소속의 정6품 관직 |
봉의랑 |
조선 때 종5품의 문관 관계 |
봉익대부 |
고려 때 종2품의 문산계·영록대부 |
봉정대부 |
조선 때 정4품의 문관과 종친에게 준 관계 |
봉헌대부 |
조선 때 정2품으로 의빈에게 준 품계 |
부사 |
부사(府使)-고려 및 조선 때 지광관직으로 각 부의 수령을 가르킨다. 대도호 |
부사과 |
조선의 5위에 속한 무관직으로 종6품의 벼슬 |
부사맹 |
조선의 5위에 속한 무관직으로 종8품의 벼슬 |
부사소 |
조선의 액정서에 속한 종9품의 잡직 |
부사안 |
조선의 액정서에 속한 종7품의 잡직 |
부사약 |
조선의 액정서에 속한 종6품의 잡직 |
부사용( |
조선의 5위에 속한 종9품의 무관직 |
부사정 |
조선의 5위에 속한 종7품의 무관직 |
부사직 |
조선의 5위에 속한 종5품의 무관직 |
부사포 |
조선의 액정서에소속된 정8품의 잡직 |
부수 |
조선의 종친부에서 종실과 종친에 관한 일을 보던 종4품의 관직 |
부수찬 |
조선 때의 홍문관에서 내외의 경적과 문헌에 관한 일을 맡아본 종6품의 벼슬 |
부승지 |
고려 때 광전원 소속의 종6품, 밀직사로 고친후 정3품이 됨. |
부신금 |
조선 때 장원서에 소속된 종8품의 잡직 |
부신수 |
조선 때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종9품의 잡직 |
부위 |
조선 때 의빈부에 속한 종6품의 벼슬 |
부윤 |
조선 때 정2품 지방 관직으로 부의 우두머리 |
부응교 |
조선 때 홍문관에서 경서와 사적을 관리하던 종4품 관직 |
부장 |
부장(部將)-조선 때 무관직으로 5위에 속한 종6품의 벼슬 |
부전수 |
조선 때 내수사에 소속된 종6품의 관직 |
부전악 |
조선 때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본 종6품 관직 |
부제조 |
조선 때 각 기관에 소속된 정3품 관직 |
부전율 |
조선 때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본 종7품 관직 |
부정 |
고려 때 각 관청 소속의 종4품 관칙. |
부정자 |
고려와 조선 때 교서관과 승문원의 종9품 관직 |
부제조 |
조선 때 각 기관에 소속된 정3품 관직 |
부제학 |
조선 때 홍문관의 정3품 관직. 제학의 다음 벼슬 |
부직장 |
고려 때 정8품 관직, 조선 때 상서원 소속의 정8품 관직 |
부창정 |
고려 때 각 군현에 소속된 지방 관직 |
부첨사 |
조선 말의 관직으로 왕태자 궁의 주임관 벼슬 |
부총관 |
조선 때 5위도총부에 속한 정2품의 무관직 |
부총제사 |
고려 말 삼군도 총제부에 속한 관직 |
부호장 |
고려 때 호장 아래 관직이며 대등을 개칭한 이름 |
분순부위 |
조선 때 무관의 관계로 종7품이었다. |
비서감 |
고려 때 비서성에 소속의 종3품 관직 |
비서관 |
관청의 장관에 직속되어 기밀사무를 맡아보는 관리 |
비서랑 |
고려 때 비서성에 소속된 종6품 관직 |
비서승 |
고려 때 비서성에 소속된 종6품 관직 |
빈객 |
조선때 세자시강원에 소속된어 세자에게 경사와 도의를 가르치던 정2품의 관직 |
사 | |
사 |
조선의 세자 시강원에서 세자에게 경서와 사기를 가르치던 정1품관으로 영의정이 겸임하였다. |
사간 |
조선 때 사간원 소속으로 임금의 잘못을 간하고 논박하는 일을 한 종3품의 관직 |
사경 |
조선 때 경연청에 속한 정 7품 벼슬 |
사과 |
조선 때 오위도총부에 속한 정6품의 무관직 |
사공 |
고려 때 삼공의 하나로 정1품 벼슬 |
사도 |
고려 때 삼공의 하나로 정1품 벼슬 |
사맹 |
조선 때 오위에 속한 정8품 무관직 |
사사 |
고려 때 밀직사 소속의 종2품 벼슬 |
사서 |
조선 때 세자시강원 소속의 정6품 관직 |
사성 |
조선 때 성균관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종3품 관리 |
사알 |
조선 때 액정서에 소속되어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던 정6품 잡직 |
사업 |
조선 때 성균관에서 유학 강의를 맡아보던 정4품의 벼슬 |
사예 |
조선 때 성균관 소속의 정4품 벼슬 |
사용( |
조선 때 오위도총부에 속한 정9품 무관직 |
사의 |
조선 때 장예원에서 노예에 관한일을 보던 정5품의 벼슬 |
사의대부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으로 정4품 관직 |
사인 |
신라 때 사지(13등급)에서 대사(12등급)를 총칭하는 말 |
사자 |
부여와 고구려의 관직으로 정3품에서 정5품까지 다양했다. |
사재 |
조선의 관직으로 의정부·우참찬(정2품)을 말한다. |
사정 |
조선의 오위에 속한 정7품의 무관직 |
사지 |
조선 때 조지서에서 종이 제조에 관한일을 맡은 종6품 |
사직 |
조선의 오위도총부에 속한 정5품의 무관직 |
사평 |
조선 때 장예원에 소속된 정6품 관직 |
사포 |
조선 때 액정서 소속의 정8품 관직 |
산사 |
조선 때 호조·산학청의 종7품 관이며, 지금의 계리사 |
산원 |
고려와 조선 초기의 군관의 계급으로 정8품 관직 |
산학교수 |
조선 때 호조에 소속되어 회계를 담당한 종6품 |
산학박사 |
신라 때 산술을 가르치던 교수. |
삼공 |
고려 때 사마·사도·사공의 총칭으로 정1품. |
삼도수군통제사 |
조선의 해군 총사령관 |
삼도육군통어사 |
조선말기의 무관직으로 육군 통수관 |
삼사 |
고려의 태사·태부·태보를 말하며 임금의 고문 또는 국가 최고의 명예직으로 정1품이었다. |
삼사사 |
고려 때 삼사에 속한 정3품 벼슬 |
상경 |
상경(上卿)- 조선 때 정1품과 종1품의 판서를 가리키는 통칭 |
상다 |
신라 때 내마(11등급)에서 아찬(16등급)에 해당하는 벼슬 |
상대등 |
신라 때의 최고관직으로 모든 정사를 총관했다 |
상례 |
조선 때 통례원에 소속된 종3품 관리 |
상만호 |
고려 때 군직으로 순군만호부 다음의 벼슬 |
상문 |
조선 때 내시부에 소속된 종8품의 벼슬 |
상서 |
고려 때 6부에 두었던 정3품 관직으로 판서·전서 등으로 변경되엇다. |
상서령 |
고려 때 상서성의 우두머리로 종1품 벼슬 |
상서좌우승 |
고려 때 종3품 관직으로 상서도서어에 속하엿다. |
상선 |
조선의 내시부에 소속된 종2품 벼슬로 궁중식사의 일을 맡았다. |
상세 |
조선의 내시부에 소속된 종6품의 벼슬로 주방일을 담당하엿다. |
상시 |
고려 때 좌산기상시·우산기상시를 통틀어 산기상시라 하고 약칭 상시라고 했다. |
상약 |
조선 때 내시부의 종3품 관직이며, 궁중의 약에 관한 일을 보았다. |
상원 |
조선 때 내시부의 종3품 관직 |
상위사자 |
고구려의 관직으로 정6품 관직에 해당한다. |
상장군 |
신라 때 대장군 밑의 무관직, |
상좌평 |
백제의 16관 등급중 좌평의 우두머리 |
상주국 |
고려 때 정2품의 훈계 |
상호 |
조선 때 내시부에 소속된 정5품 관직 |
상호군 |
고려 때 무관직, |
서윤 |
조선 때 한성부·평양부 소속의 종4품 벼슬 |
서장관 |
조선 때 관직으로 연행사의 일행인 기록관 |
서학박사 |
고려 때 국자감에서 글씨를 가르치던 종9품의 관직 |
선략장군 |
조선 때 종4품의 무관계로 경력·첨정·부호군 등이 되었다. |
선무사 |
조선 때 재해나 병란이 일어났을 때 지방에 파견된 관리 |
선부 |
조선 때 사옹원에 소속된 종7품의 벼슬 |
선용부위 |
조선 때 사옹원에 소속된 종7품의 벼슬 |
선위사 |
조선 때 사신을 영접하는 임시관직. 3품이상의 당상관이 임명 |
선위장군 |
고려 때 종4품 무관의 관계 |
선의랑 |
고려 때 종7품 문관의 관계 |
선전관 |
조선 때 선전관청에 소속된 정3품에서 조9품의 관리 |
선절교위 |
고려 때 정8품의 무산계 |
선절부위 |
고려 때 정8품의 무산계 |
선직랑 |
조선 때 동반의 정6품 토관직 |
선화 |
조선의 도화서에 소속되어 그림을 담당하던 종6품 관직 |
선회 |
조선의 도화서에 소속되어 그림을 담당하던 종7품 관직 |
선휘대부 |
조선 때 종친과 문관에게 주던 정4품 관계 |
설경 |
조선 때 경연에 속한 정8품 벼슬 |
성록대부 |
조선 때 의빈에게 주던 정1품의 관계 |
세마 |
고려 때 동궁에 속한 종5품 관직. |
세자부 |
고려 때 세자의 스승. |
세자사 |
고려 때 세자의 스승. |
소감 |
신라 때 무관직. 고려 때 4∼5품 관직, 조선 때 종4품 벼슬. |
소경 |
고려 때 종4품 벼슬. 조선 때 종4품 벼슬 |
소덕대부 |
조선 때 종친과 문관에게 준 종1품 관계 |
소윤 |
신라 때 지방 관직. |
소의대부 |
조선 때 종친에게 주던 종2품 벼슬 |
소첨사 |
고려 때 첨사부의 종3품 관직. 첨사 다음가는 벼슬 |
수국사 |
고려 때 감수국사 다음으로 2품이상이 겸임한 사관이다. |
수군방어사 |
조선 때 수군을 통솔한 종2품의 무관직 |
수군절도사 |
조선 때 수군을 통제하기 위하여 둔 정3품 무관직 |
수군첨절제사 |
조선 때 진의 수군을 지휘한 종3품 무관직 |
수문하시중 |
고려 때 문하부의 대신 |
수어사 |
조선의 수어청 장관. 광주유수가 겸임한 정2품 벼슬 |
수의도위 |
조선 때 종7품의 토관계로 관직 |
수의부위 |
조선 때 종8품의 무관에게 주는 관계 |
수임교위 |
조선 때 문반의 정6품에 속하는 잡직계 |
수직랑 |
고려 때 7품의 문산계 |
수찬 |
고려때 예문관에 속한 사관으로서 정2품의 관직이었는데 후에 정8품이 되었다. |
수찬관 |
고려 때 한림원 소속. 3품 이하가 겸직한 사관 |
순무사 |
고려 때 안무사를 개칭한 것으로 지방관을 감찰하는 관직 |
순위관 |
고려 때 사평순위부에 소속된 참상관 밑의 벼슬 |
숭덕대부 |
조선 때 빈에게 주던 종1품의 관계 |
숭록대부 |
고려와 조선 때 종1품의 문산계. 공민왕 때는 정2품 |
숭정대부 |
조선 때 문관에게 주던 종1품의 관계 |
숭헌대부 |
조선 때 종친에게 주던 정2품 관계. 후에 문관에게도 주었다. |
승 |
고려 때와 조선 때 각 관청에 소속된 정5품∼정9품의 관원 |
승무랑 |
조선 때 종7품의 잡직 관계 |
승봉랑 |
고려 때 종8품의 문산계 |
승사랑 |
조선 때 종8품의 문산계 |
승선 |
고려 때 왕명의 출납을 맡아본 정3품 관직이다. 승지·대언 |
승의랑 |
조선 때 정6품의 문관계 |
승의부위 |
조선 때 정8품 무관의 관계 |
승전선전관 |
조선의 선전관청에 소속돼 왕의 명령을 전달하던 무관. |
승지 |
고려 때 밀직사 소속의 왕명을 출납하는 관리이다. |
승훈랑 |
조선 때 정6품 관직으로 종친과 의빈에게 주던 관계 |
시강관 |
조선 때 경연청에 속해 임금에게 경서를 강의하뎐 정4품 |
시독관 |
조선 때 경연청에 속해 임금에게 경서를 강의하던 정5품 |
시독사 |
고려 때 동궁에 소속된 관직 |
시랑 |
신라 때 각 부의 차관이며 내마에서 아찬까지 해당하는 벼슬. |
시사랑 |
조선 때 종7품으로 동반의 토관직 |
시어사 |
고려 때 어사대 소속의 종5품 관직 |
시중 |
신라 때 집사성의 최고 벼슬로 대아찬(5등급)에서 이찬(2등급)까지이다. |
신과 |
조선 때 장원서에 소속된 종7품 벼슬 |
자 | |
자덕대부 |
고려 대 종2품 하의 문산계 |
자신대부 |
조선 대 종친과 문관에게 주던 종3품의 관계 |
자의 |
고려 때 정6품의 관직. 조선 초 삼사에 속한 정4품의 벼슬 |
자의대부 |
조선 때 의빈과 문관에게 주던 종2품 관계 |
자헌대부 |
조선 때 초기에는 문·무관, 말기에는 종친·의빈에게 주던 정2품계 |
장교 |
조선 때 각 군영에 속했던 군관 |
장군 |
신라 때 시위부의 으뜸벼슬. |
장무장군 |
고려 때 정4품 하의 무산계 |
장사 |
고려 때 정6품의 무관 벼슬 |
장사랑 |
고려와 조선 때 종9품 하의 문산계 |
장원 |
조선 때 장원서에 소속된 정6품의 벼슬 |
재부 |
조선 때 사옹원에 소속된 종6품의 잡직 |
저작 |
조선 때 정8품의 관직 |
적공교위 |
조선 때 무관의 잡직으로 종6품의 벼슬 |
적순부위 |
조선 때 무관의 정7품 관계 |
전근랑 |
조선 때 종9품 문관 계통의 잡직 |
전력부위 |
조선 때 종9품 문관 계통의 잡직 |
전부 |
조선 때 종친부에 속한 정5품의 관직 |
전수 |
조선 때 내수사에 속한 정5품의 관직 |
전악 |
조선 때 장악원에 속한 정6품의 잡직 |
전율 |
조선 때 장악원에 속한 정7품의 관직 |
전적 |
조선 때 성균관에 속한 정6품의 관직 |
전첨 |
조선 때 종친부에 속한 정4품의 관직 |
전한 |
조선 때 홍문관에 속한 종3품의 관직 |
전환 |
조선 때 내수사에 속한 종9품 관직 |
전회 |
조선 때 내수사에 속한 정7품의 관직 |
절도사 |
고려 때 지방장관, 뒤에 안무사라 했다. |
절제도위 |
조선 때 절도사에 속한 종6품의 무관직 |
절제사 |
고려 때 원수를 개칭한 이름으로 각 주·부의 장관직. |
절출장군 |
조선 때 정3품의 당상관으로 무반관계 |
정당문학 |
고려와 조선 초기의 종2품 관직. |
정덕대부 |
조선 때 의빈에게 주었던 종1품 관계 |
정랑 |
고려와 조선 때 6조 소속의 전5품 벼슬 |
정략장군 |
조선 때 종4품의 무반관계 |
정봉대부 |
고려 때 종2품의 문산계 |
정순대부 |
고려 때 정3품 문관계. |
정언 |
고려 때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6품의 관직. 뒤에 정6품이 되었다. |
정윤 |
고려 때 종치에게 종2품, 훈신에게 정3품으로 내리던 봉작 |
정원장군 |
고려 때 정5품의 무산계 |
정의대부 |
조선 때 정4품의 문관품계 |
정헌대부 |
조선 때 정2품의 문무관 품계로 후에 종친 의빈의 품계와 병용 |
제거 |
고려 때 관직. 조선 때 사옹원의 3품 벼슬 |
제검 |
조선 때 사옹원·예빈시 등에 소속된 4품 벼슬 |
제조 |
조선 때 관직으로 도제조는 정1품, 부제조는 정3품 |
제주 |
조선 때 성균관에서 제향을 담당한 정3품 벼슬 |
제학 |
고려 때 정3품 벼슬로 대제학 다음 가는 벼슬. |
조교 |
신라 때 국학박사 다음 가는 벼슬. |
조기 |
조선 때 사복시에 소속된 종7품의 잡직 |
조봉대부 |
조선 때 종4품의 문반품계 |
조부 |
조선 때 사옹원에 소속된 종8품의 잡직 |
조산대부 |
고려 때 4품또는 5품의 문관품계. |
조산랑 |
고려 때 종7품 하의 문관품계 |
조열대부 |
고려 때 종4품 하의 문관품계 |
조의대부 |
고려 때 정5품 상의 문관품계 |
조의랑 |
고려 때 정6품 상의 문관품계 |
조전원수 |
고려 말기의 무관직, 도원수·상원수를 돕는 구실을 담당 |
조청대부 |
고려 때 정7품의 문반품계 |
조현대부 |
고려 때 문반품계 |
종사랑 |
고려 때 7품의 문반품계 |
종순랑 |
조선 때 정6품의 문반품계 이며 종친의 위계 |
종정경 |
조선 말의 종친부 소속으로 종2품 이상의 벼슬 |
좌간의대부 |
고려 때 정4품의 관직위계. 조선 때 정3품 |
좌대언 |
고려 때 밀직사. |
좌랑 |
고려와 조선 때 6조에 소속된 정5품 벼슬 |
좌보궐 |
고려 때 시대에 따라 정5품에서 정6품의 벼슬 |
좌복야 |
신라 때 관직. |
좌부대언 |
고려 때 밀직사. |
좌부빈객 |
조선 때 세자 시강원에 속했던 종2품 벼슬 |
좌부수 |
조선 때 세자 익위사에 소속되어 왕세자를 호위하던 정7품 무관직 |
좌부승선 |
고려 때 정3품 벼슬. 조선 말 승선원 소속의 관직 |
좌부승직 |
고려 때 내시부에 속한 정6품 벼슬 |
좌빈객 |
조선 때 세자 시강원에서 왕세자를 가르쳤던 정2품관 |
좌사간 |
고려 때 문하부에 소속된 관직. 뒤에 좌헌납으로 개칭 |
좌사낭중 |
고려 때 상서도성에 소속된 정5품 벼슬 |
좌사어 |
조선 때 세자 익위사에 소속된 종5품 무관 벼슬 |
좌산기상시 |
고려와 조선 초 문하부 소속의 간관 |
좌상시 |
고려 때 중서문하성 소속의 정3품 벼슬 |
좌습유 |
고려 때 내사 문하성 소속의 종5품에서 정6품 |
좌승 |
조선 초기에 삼사의 종3품 벼슬 |
좌승선 |
조선 말기의 승선원 소속의 관직 |
좌승지 |
조선 때 승정원 소속의 정3품 벼슬, 지금의 대통령 비서 |
좌승직 |
조선 대 세자 익위사에 소속된 정8품 무관 |
좌위수 |
고려 때 춘방원 소속의 정5품 무관직. |
좌유선 |
조선 때 세손 강서원에서 왕세손을 가르치던 종2·3품 벼슬 |
좌윤 |
좌윤(左尹)-고려 삼사 소속의 종3품 벼슬. |
좌의정 |
조선 때 의정부 소속의 정1품으로 영의정과 우의정 사이의 정1품 벼슬로 좌규·좌상·좌정승·좌합 |
좌익위 |
조선 때 세자 익위사 소속의 정5품 벼슬 |
좌익찬 |
조선 때 세자 익위사 소속의 정6품 벼슬 |
좌종사 |
조선 때 세손위 종사에 속하여 세자를 호위하던 종6품직 |
좌찬독 |
조선 때 세 손강서원에 속한 종6품의 무관벼슬 |
좌찬선대부 |
고려 때 동궁에 소속된 정5품 벼슬 |
좌찬성 |
조선 때 의정부에 소속된 종1품 벼슬로 백관을 통솔하고 일반 정사의 처리, 국토계획, 외교를 맡아보았다. |
좌참찬 |
조선 때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 |
좌첨사 |
고려 때 첨사부에 소속된 벼슬 |
좌통례 |
조선 때 통례원의 으뜸벼슬로 정3품 벼슬 |
주부 |
고구려 때 종2품 상당의 벼슬. |
주사 |
신라와 고려 때의 관직. |
주서 |
고려 때 정7품의 관직. |
중대부 |
고려 때 종4품 하의 문산계 |
중랑장 |
고려와 조선 초 각 영에 소속된 정5품의 무관직 |
중무장군 |
고려 때 정4품 상의 무산계 |
중봉대부 |
고려 때 정5품 상의 문산계 |
중서령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종1품 관직 |
중서사인 |
고려 때 중서문하성 소속의 종4품 벼슬 |
중서시랑평장사 |
고려 때 중서성의 정2품 관직 |
중정대부 |
고려 때 종3품의 문산계 |
중직대부 |
조선 때 종3품으로 문반의 관계 |
중현대부 |
고려 때 정3품 하의 문산계 |
중훈대부 |
조선 때 종3품의 문산계 |
지부사 |
고려 때 6부에 소속된 종3품 관직 |
지사 |
고려 때 각 도의 도통사에 딸린 5품에서 6품의 벼슬이며 또한 각 관청의 2품에서 5품의 벼슬. |
지성사 |
고려 때 상서성 소속의 종2품 관직 |
지원사 |
고려 때 중추원 소속의 종2품 벼슬 |
지제고 |
고려 때 조서·교서 등을 지어 왕에게 올리던 관직 |
지제교 |
조선 때 왕에게 교서 등을 기록하여 올리는 일을 담당하였으며 부제학 이하 부수찬까지가 겸임 |
지주사 |
고려 때 중추원 소속의 정3품 벼슬 |
지평 |
고려 때 정5품 관직. |
지후 |
고려 때 정7품 벼슬 |
직각 |
조선 때 규장각에 소속된 정3품에서 종6품까지의 관직 |
직강 |
조선 때 성균관 소속의 정5품 관직 |
직무랑 |
조선 때 동반 계통의 종8품으로 토관직 관계 |
직문하 |
고려 때 문하부에 소속된 종3품 벼슬 |
직사백 |
고려 때 예문춘추관 소속의 정4품 벼슬 |
직장 |
고려 때 6품에서 9품까지의 관직. 조선 때 종7품 관직 |
직제학 |
고려 때 정4품 관직. |
직학 |
고려 때 국자감에 둔 종9품 관직 |
직학사 |
고려 때 중추원 소속의 정3품 관직 |
직국대장군 |
고려 때 종2품의 무산계 |
진덕박사 |
고려 때 성균관의 종8품 관직 |
진무 |
고려 때 도통사 소속의 종2품과 정3품이 있었다. |
진무부위 |
고려 때 종6품 하의 무산계 |
진무사 |
조선 때 세자 시강원에 소속된 정4품 관직 |
진용교위 |
조선 때 정6품의 무관관계 |
진위교위 |
고려 때 종6품 상의 무관관계 |
진위장군 |
조선 때 정4품의 무관관계 |
진장 |
고려 때 각 진에 배치된 으뜸벼슬로 7품이상 관원중에서 임명됨 |
집사 |
고려 때 말단 관리 |
집순랑 |
조선 때 정6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계 |
집의 |
고려 대 추밀원 소속의 관직 |
집주 |
고려 때 추밀원 소속의 관직 |
징사랑 |
고려 때 정8품 문산계 |
차 | |
찬독 |
조선 때 세손 강서원에 속한 조6품 관직 |
찬선 |
조선 때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3품 관직 |
찬선대부 |
조선 때 최고기관인 의정부의 종1품 관직 |
찬성사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정2품 관직 |
찬위 |
조선 때 친왕부에 소속된 주임관의 벼슬 |
찬의 |
조선 때 통례원 소속의 정5품 벼슬 |
찰방 |
조선 때 종4품 관직으로 각 역에 소속된 벼슬 |
참교 |
조선 때 승문원에 속한 종3종품관. 조선 말 무관직의 하나 |
참군 |
조선 때 한성부·훈련원의 정7품 관직 |
참리 |
고려 때의 관직으로 참지정사(종2품)를 바꾼 이름 |
참봉 |
조선 때 각 관청에 소속된 종9품 벼슬 |
참의 |
조선 때 6조에 소속된 정3품 벼슬 |
참지문하부사 |
고려 때 문하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
참지정사 |
고려 때 중서문하성의 종2품 벼슬 |
참찬 |
조선 때 최고기관인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 |
참찬관 |
조선 때 경연에 속한 정3품의 관직 |
참판 |
조선 때 육조에 속햇던 종2품 벼슬로 지금의 차관 |
창선대부 |
조선 때 정3품의 당하관인 종친 관계 |
창신교위 |
조선 때 종5품의 문관관계 |
천문학교수 |
조선 때 관상감 소속의 종6품 벼슬 |
천문학훈도 |
조선 때 관상감 소속의 정9품 벼슬 |
천호 |
고려 때 순군만호부(후에 의금부)에 소속된 관리 |
첨사 |
첨사(僉使)-조선 때 각 진영에 속한 3품의 무관직 |
첨서원사 |
고려 때 충추원 소속의 정3품 관직 |
첨절제사 |
첨사의 원래 관직 |
첨정 |
조선 때 각 부서에 속한 종4품 관직 |
첨지사 |
조선 때 중추원에 소속된 정3품 당상관 |
체찰사 |
조선 때 지방에 파견되어 일반군무를 총괄하는 군인직 |
초관 |
조선 때 종9품의 무관직 |
총제사 |
고려의 삼군도총제부의 관직. 재신 이상이 맡음 |
충의교위 |
조선 때 정5품의 무관관계 |
치과교위 |
고려 때 정7품 상의 무산계 |
치과부위 |
고려 때 정7품 하의 무산계 |
치력부위 |
조선 때 정9품의 잡직관계 |
타 | |
태보 |
고려 때 삼사에 속한 정1품 관직 |
태부 |
고려 때 삼사에 속한 정1품 관직 |
태사 |
고려 때 삼사에 속한 정1품 관직 |
태수 |
신라 때 각군의 으뜸벼슬로 중아찬에서 사지까지가 맡음 |
통덕랑 |
조선 때 정5품 동반(문반)의 관계 |
통사 |
통사(通事)-고려 때 내시부에 속한 9품 벼슬 문하부에 속한 이속. |
통사랑 |
고려 때 9품의 문관관계, 조선 때 정8품 문관관계 |
통선랑 |
조선 때 정5품의 동반 관계 |
통의대부 |
고려 때 시대에 따라 정3품에서 정4품까지의 문산계 |
통의랑 |
조선 때 동반의 정5품 토관직 관계 |
통정대부 |
조선 때 문관·종친·의빈의 정3품 관계 |
통제사 |
조선 때 3도(경남·전라·충청)의 수군을 통솔하던 관직 |
통직랑 |
고려 때 시대에 따라 정5품에서 6품 하까지의 문관관계 |
통헌대부 |
고려 때 종2품의 문산계. 조선 때 정2품의 의빈관계 |
통훈대부 |
조선 때 문관의 정3품 당하관의 관계 |
파 | |
판관 |
신라 때의 벼슬. |
판교 |
조선 때 승문원·교서관에 속한 정3품 벼슬 |
판사 |
고려 때 각6부의 장으로 종1품관, 각 관청의 정3품 |
판서 |
고려 때 각 관청 및 6조의 으뜸 벼슬로 정3품관. |
판윤 |
조선 때 한성부의 으뜸벼슬로 정2품 관직 |
판원사 |
고려 때 중추원 소속의 종2품 관직 |
판전교시사 |
고려 때 전교시의 으뜸벼슬로 정3품 관직 |
평사 |
신라 때 관직. |
평장사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정2품 벼슬. 내사시랑 평장사 |
평장정사 |
고려 때 중서문하성 소속의 정2품 벼슬 |
포도대장 |
조선 때 세자 시강원 소속의 정4품 벼슬 |
포도대장군 |
고려 때 종1품의 무산계 |
필선 |
조선 때 직관, 고려 때 종2품에서 정4품까지의 벼슬 |
하 | |
학사 |
신라 때 직관. |
학사승지 |
고려 때 한림원 소속의 정2품에서 정3품 관직 |
학유 |
고려 때 국자감의 종9품 관직. |
학정 |
고려 때 국자감의 종9품 관직. |
한림학사 |
고려 때 한림원 소속의 정4품 관직 |
한성부판윤 |
조선 때 한성부의 으뜸벼슬로 정2품. 지금의 서울시장 |
해운판관 |
조선 때 전함사에 소속되어 조운을 담당한 관직 |
헌납 |
고려 때 문하부 소속의 5품 벼슬. |
현감 |
고려와 조선 초의 지방장관으로 고려 때는 7품, 조선에서는 종6품직 |
현령 |
조선 때 각 현의 으뜸벼슬로 종5품의 지방관직 |
현록대부 |
조선 때 종친에게 주는 정1품 벼슬 |
형조판서 |
조선 때 형조의 으뜸 벼슬로 정2품 |
호군 |
조선 때 오위에 속한 정4품 무관직 |
호조판서 |
조선 때 호조의 으뜸 벼슬로 정2품 |
회사 |
조선 때 호조·산학청 소속의 종9품 벼슬 |
효임랑 |
조선 때 각 관아에 소속된 종6품 관직 |
흥록대부 |
고려 때 정2품 문관품계. |
희공랑 |
조선 때 동반 토관직으로 정7품 벼슬 |
첫댓글 호, 어디서 이런 귀한 자료를 ... 수고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