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이 글을 올리기 전에
스틸하우스에 대한 기본적 상식을 전달하는 목적임으로
스틸하우스에 전혀 관심이 없는 분들에게는 불필요한 내용일 수도 있을거라는 생각을 갖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스틸하우스라고 알고 있는 허상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인지를 이해를 하게 하는것도
저희처럼 스틸하우스 전문가들이 해야 할 의무라고 생각을 하는 입장에서 할까 합니다
앞으로 사진과 내용을 보시면 알게 되겠지만
흔히들 조립식샌드위치 판넬 또는 각파이프나 C형강으로 골조를 용접하거나 심하게는 컨테이너에 사이딩과 지붕을싱글로
만감만 되고 철만 들어가면 전부 스틸하우스라는 인식과 그래서 스틸하우스는 싼 집이라는 고정관념으로 스틸하우스 시장을
유린하여 정확한 전달로 스틸하우스를 정립하는 차원에서의 글이라고 생각하면 내용을 전달하기로
할 것입니다
기초 거푸집 철거하고 바닥 레이아웃하여 본격적으로 트러스제작에 들어갑니다
명절 전까지 골조마무리 하여 추석쉬고 바로 내장작업 예정을 하고 있습니다만
수요일 전국적으로 비가 온다는 예보가 노심초사 걱정이 앞섭니다
기초 레미콘타설 작업을 하고 바닥면 고르기 작업입니다
스틸하우스는 앞에서도 언급을 하였지만 절대수평,각 모서리 90도 유지,기초끝선 일자유지의 정밀성을
요구하는 주택입니다
스틸하우스의 기초는 전자레벨로 맞추어 위에서 요구하는 정밀성에 합당해야 하는이유이기도 합니다


기초 완성 후 거푸집철거작업 완료
바닥에 L앙카를 매설하여 콘크리트 타설 기초에서 주택전체를 잡아주며
앞으로 설명이 더 필요하겠지만 각 모서리마다 홀다운설치와 X브레이스를 하여 지진 8도까지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완벽한 주택입니다
L앙카의 매설은 1200에 마다의 매설을 하게 됩니다

작업전 바닥에 레이아웃을 하여 벽체작업을 하는데 한치의 오차없이 골조작업을 하게 됩니다




정화조 매설바닥에도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정화조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합입니다

정화조 상부측 뚜겅부위에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였습니다


스틸하우스 철자재가 도착하였습니다
경기도에서 밤새 내려와 아침 7시에 도착하여 하역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스틸하우스의 사용되는 자재는 스틸프레이밍 재료인 스틸스터드는 Roll Forming 설비에서 냉간성형 가공법으로
생산이 되며 강판에 두께와 폭은 구조설계 허용하중표에 의하여 표준화되어
1mm의 두께에 일반도금이 아닌 융융도금을 하여 부식에
강한 저항성을 갖고 있으며 골조의 내구력을 높여주기 위한 골조마다 밴딩작업이 이뤄져 강한 내구력을 갖고 있습니다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기 위해서는 일반 철강을 판매하는 곳에서 아무나 구입을 할 수 있는곳이 아닌
전문스틸자재를 하는 포밍회사에서 별도제작하여 공급을 하고 있는만큼
일반인들은 쉽게 구입이 가능하지 않는 것입니다
설령 구입을 하였다 하여도 내구력계산을 하여 볼트수와 볼트 두께등을 선별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고
각 스터드마다의 계산된 자재이고 전문가들이 건축하며 아무곳에서 C형강이나 각관구입하듯이 건축하는 자재가 아니기에
정통스틸하우스와 일반 경량철골의 구분은 엄연히 다르다 할 수 있습니다만
일반인들은 철만 들어가면 스틸하우스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스틸하우스에 혼란만 가중하여
스틸하우스는 싼 주택이라는 고정관념으로 스틸하우스 시장을 유린하는 이유가 되는것입니다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부재의 자재들로 되어 있으며 이것을 각 위치에 맞는 사용이 되어야 하는것입니다
벽체구성은 90스터드와 140스터드 그리고 180스터드가 있으며
스틸스터드의 강제규격으로는
KS D 3854(건축용 표면처리 경량형강) 규격에 맞아야 합니다
강판의 두께는 0.8mm~ 1.4mm가 많이 쓰이며 인장강도는 400N/mm2(4.1톤/Cm2)이상이여야 합니다
강재의 내식성(아연(Zn)도금으로 부식방지)
용융아연도금은 철강에 아연을 도금하여 만드는 것으로 도금되지 않은 강판에 비해 부식율이 현저히 낮으며,
환경에 영양도 덜 받습니다
용융도금 아연도금 강판 - 내력 : Z180=180kg/m2
외벽 : Z275=275kg/m2
절단,천공 나사연결부분은 아연의 "희생"으로 전기화학전 보호막이 형성되어 더 이상 부식이 진행되지 않는다
건물내 용융 아연도금 강판을 설치시 80년에서 160년 수명(도금두께 20um)
아래 사진은 주택 모서리마다 X브레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주택에 흔들임에 강한 저항 즉
지진시 주택이 흔들림으로 붕되되는것을 막아주는 구조입니다

가셋플레이트는 X브레이스를 설치하기 위해 각각코너에 설치를 하게 되는데 풍하중에 따라 볼트수가 달라진다

연결철골 연결부위마다 피스결속을 하여 강도를 높여주는 부자재입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육각스크류 볼트는
철골조를 제작하기 위하여 모든 접합을 규정 된 피스로 접합을 하게 되며
이것은 이미 내진설계에 합당하는 피스도구로 스틸하우스에서 사용되는 접합피스입니다
육각스크류볼트로 접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두께가 큰 스틸자재들의 연결에 사용됩니다
헤드가 두꺼워 마감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마감재가 붙지 않는곳에 사용되지요~
일반적으로 5/16" 의 헤드에 가장많이 사용됩니다

평머리 피스
경량형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
스터드와 트랙, 그리고 스터드 또는 조이스트 사이에 브리징 스트랩 접함하는 데에 사용된다,
외부,내부의 쉬딩 또는 마감재료가 설치되는곳에 많이 사용됨,

스틸하우스 전문용으로 사용되는 건으로
무선이 아닌 유선형이며 이것을 구입 사용한지가 벌써 17년이 되어갑니다
미국 DEWALT사로써 정말 제 값어치 이상으로 하는 놈인데
불행하게도 이것이 단종되어 현재는 구입할려고 하여도 구입할 수 없는 귀한 대접을 받는 스틸건입니다
많은 스틸하우스 전문가들이 사랑하고 아껴 온 만큼
이제 이놈의 역활의 끝이 보이는듯 하여 아쉽기만 한 정말 좋은 공구중 하나입니다

자~~ 이제 트러스 작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트러스 작업을 위해 폼을 만들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폼(가다)을 만들어 트러스를 제작하고 있네요
트러스중앙 가셋에 피스를 접합하는 상황입니다


트러스를 제작하는데 겹처지는 부위는 그라인더로 잘라 접함하지 좋게 작업을 합니다

그라인더라 절단하여 접합부위가 맞도록 하였습니다


트러스가 제작되어 적재하고 있습니다

트러스에 접합한 육각스크류볼트로 접합된 트러스들입니다
스틸하우스는 처움부터 끝까지 용접을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지진의 흔들리고 뒤틀림으로 인하여 가장먼저 부식되거나 터지는 부준이 용접부분이란걸 알면 절대로
용접이 만사가 아니란걸 알게 되겠지요~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추천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