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조선 제17대 왕 효종 (孝宗 1619∼1659(광해군 11∼효종 10))
조선 제17대 왕(1649∼59). 휘는 호(淏), 자는 정연(靜淵), 호는 죽오(竹梧). 인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 한씨(韓氏)이며, 비는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鳳林大君)에 봉해졌다.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피신하였으나 청(淸)나라와 강화가 성립되자, 형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갔다. 1645년 소현세자가 먼저 귀국하였으나 2개월 만에 죽자 곧 귀국하여 세자로 책봉되었고 1649년 인조가 죽자 즉위하였다. 즉위한 뒤 청나라에 대한 복수를 결심하고 북벌(北伐)을 위한 준비에 착수, 친청파를 파직시키고 김상헌(金尙憲)·송시열(宋時烈) 등 반청파를 등용시켰다. 그러나 친청파로 파직당한 김자점(金自點) 등이 북벌계획을 청나라에 밀고하여 적극적인 준비를 하지 못하고, 다만 일본의 재침이 우려된다는 핑계로 남부지방에서 군비(軍備)를 하게 되었다. 1651년(효종 2) 인조의 후궁 조귀인(趙貴人)의 옥사를 계기로 친청파를 완전히 숙청하고, 이듬해 이완(李浣)·원두표(元斗杓) 등을 등용하여 본격적인 북벌준비에 착수하였다. 군제를 개편하고 영장제도(營將制度)와 속오군(束伍軍)에 보인(保人)을 설치하여 군사훈련에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으며, 성지(城池)의 보수도 서둘렀다. 또한 조선에 표류해 온 H. 하멜 등을 훈련도감에 배치하여 조총·화포 등의 신무기를 개량, 보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청나라가 러시아 정벌을 위해 조선의 원군을 요청함으로써 나선정벌(羅禪征伐)에 나서게 되었으며 청나라 세력이 더욱 강해짐에 따라 북벌계획은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한편 외침으로 인한 경제질서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김육(金堉)의 건의로 충청도·전라도 연안지방에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여 농민의 부담을 덜어 주었으며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 유통시키는데 노력하였다. 또한 역법(曆法)을 개량하여 시헌력(時憲曆)을 제작, 사용토록 하였다. 《인조실록》 《국조보감(國朝寶鑑)》 《농가집성(農家集成)》 《내훈(內訓)》 《선조수정실록》 등을 간행하였다. 능은 경기도 여주군(驪州郡) 능서면(陵西面) 영릉(寧陵)이다. 시호는 명의(明義).
|
다음검색
출처: 추억속으로 원문보기 글쓴이: 그림자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