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척진장(洗滌塵腸)
티끌세상의 찌든 내장이 말끔하게 씻겼다는 뜻으로, 인간세상의 찌든 때가 씻겨 나갈 만큼 좋은 풍경이라는 말이다.
洗 : 씻을 세(氵/6)
滌 : 씻을 척(氵/10)
塵 : 티끌 진(土/11)
腸 : 창자 장(月/9)
출처 : 정약용(丁若鏞)
내가 다산 초당의 달밤을 오래 마음에 품게 된 것은 다산이 친필로 남긴 다음 글을 읽고 나서부터다.
九月十二之夜, 余在茶山東菴.
9월 12일 밤, 나는 다산의 동암(東菴)에 있었다.
仰見玉宇寥廓, 月片孤淸,
우러러 하늘을 보니 아득히 툭 트였고, 조각달만 외로이 맑았다.
天星存者, 不逾八九, 中庭藻荇漪舞.
남은 별은 엳아홉을 넘지 않고, 뜨락은 물속에서 물풀이 춤추는 듯하였다.
振衣起行, 令童子吹簫, 響徹雲際.
옷을 입고 일어나 나가 동자에게 퉁소를 불게 하자 그 소리가 구름 끝까지 울려 퍼졌다.
當此之時, 塵土腸胃, 洗滌得盡. 非復人世之光景也.
이때에는 티끌 세상의 찌든 내장이 말끔하게 씻겨 나가 인간 세상의 광경이 아니었다.
눈썹달이 떠오른 초당의 어느 날 밤 풍경이다. 맑은 하늘에 조각달만 걸렸다. 별도 몇 뜨지 않은 밤, 바람에 살랑대는 나뭇가지 사이를 달빛이 통과하면서 만드는 그림자가 마치 물속에서 물풀이 흔들리는 정취를 자아낸다.
다산은 공부하다가 찬 공기를 쐬려고 문을 벌컥 열었던 모양이다. 이때 문득 맞닥뜨린 광경에 저도 몰래 마당에 내려서니, 마치 물속을 유영하는 느낌이다.
동자의 퉁소 소리는 하늘 끝에 사무친다. 세상의 이런저런 근심마저 흔적 없이 사라져 티끌에 찌든 내장을 헹궈낸 듯 깨끗하다.
해남의 천경문(千敬文)에게 준 편지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다.
池閣夜深, 山月漸高. 空階藻荇翻舞.
지각(池閣)에 밤이 깊었는데 산에 달이 점차 오르더니, 빈 섬돌에 물풀이 흔들리며 춤을 춥니다.
攬衣獨往, 馳神犧農之世.
옷을 걸쳐 입고 홀로 서자 정신이 복희(伏犧)와 신농(神農)의 세상으로 내닫는군요.
但恨傍無韻人, 與之談論也.
다만 운치 있는 사람과 함께 곁에서 담론하지 못하는 것이 유감입니다.
다산이 적막한 귀양지의 삶을 형형한 정신으로 버텨낼 수 있었던 것은 이따금 우연히 맞닥뜨린 이런 순간이 준 위로 덕분이었을 게다.
누구에게든 마음속의 다산초당은 있다. 먹고사느라 바빠, 등 떠밀려 허겁지겁 살아온 세월 속에서, 생각만으로도 마음에 위로가 되고 떠올리면 기쁨이 되는 풍경들이 있다. 티끌세상의 욕심에 찌든 내장을 깨끗이 세척해줄 나의 다산초당은 어디인가?
▶️ 洗(씻을 세, 깨끗할 선)는 ❶형성문자로 洒(세)는 동자(同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先(세)는 발을 내디뎌 앞으로 나아가는 일이지마는, 여기서는 발의 뜻을 나타낸다. 물로 발을 씻다, 물건을 씻는 일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洗자는 '씻다'나 '설욕하다', '깨끗이 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洗자는 水(물 수)자와 先(먼저 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갑골문에 나온 洗자를 보면 先자 주위로 물이 튄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先자는 사람의 머리 부분에 발을 그린 것이다. 이렇게 발을 강조해 그린 先자에 水자를 결합한 것은 발을 씻는다는 뜻을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洗자의 본래 의미도 '(발을) 씻다'였다. 그러나 지금의 洗자는 단순히 '씻다'라는 뜻으로만 쓰이고 있다. 그래서 洗(세, 선)는 ①물로 씻다 ②다듬다, 갈고 닦다 ③설욕(雪辱)하다 ④조락(凋落)시키다(초목의 잎 따위가 시들어 떨어지게 하다) ⑤대야(둥글넓적한 그릇), 그릇 그리고 ⓐ마음을 깨끗이 하다(선) ⓑ발을 씻다, 목욕하다(선) ⓒ경건(敬虔)한 모양(선) ⓓ편안(便安)한 모양(선) ⓔ추워서 떠는 모양(선) ⓕ큰 대추(선) ⓖ벼슬의 이름(선)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씻을 식(拭), 씻을 척(滌), 씻을 탁(濯)이다. 용례로는 옷이나 피륙을 물과 세제 또는 용제 등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하는 일을 세탁(洗濯), 깔끔하고 품위가 있음 또는 말이나 글이 군더더기가 없이 잘 다듬어져 있음을 세련(洗練), 얼굴을 씻음을 세수(洗手), 얼굴을 씻음을 세면(洗面), 깨끗이 씻음을 세척(洗滌), 입교하는 사람에게 모든 죄악을 씻는 표로 시행하는 의식을 세례(洗禮), 자동차의 차체에 낀 먼지나 때를 물로 씻어 내는 것을 세차(洗車), 물에 타서 고체의 표면에 붙은 물질을 씻어 내는 데 쓰는 물질을 세제(洗劑), 깨끗하게 빨거나 씻음을 세정(洗淨), 부끄러움 따위를 씻어 버림을 세설(洗雪), 더러운 것을 씻어 버림을 세제(洗除), 쌀을 씻음 또는 씻는 그 쌀을 세미(洗米), 마음을 깨끗하게 함을 세심(洗心), 머리를 감음을 세발(洗髮), 다리를 씻음을 세각(洗脚), 물로 깨끗이 씻어서 검사함을 세검(洗檢), 빨래를 함을 세한(洗澣), 털을 씻음을 세모(洗毛), 눈을 씻음을 세안(洗眼), 발을 씻음을 세족(洗足), 간을 씻어 깨끗하게 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청결하게 함을 세간(洗肝), 더러운 옷이나 피륙 따위를 물에 빠는 일을 세답(洗踏), 세례를 받는 일을 영세(領洗), 화초에 물을 주는 그릇을 화세(花洗), 물로 씻음을 수세(水洗), 일제히 씻어 냄이나 한꺼번에 싹 제거함을 일세(一洗), 깨끗이 씻음을 정세(淨洗), 머리를 빗고 세수함을 소세(梳洗), 양치질하고 세수함을 수세(嗽洗), 죄악을 깨쳐 마음을 깨끗이 함을 참세(懺洗), 상전의 빨래에 종의 발꿈치가 희게 된다는 말로 남을 위하여 한일이 자신에게도 이롭게 되었다는 말을 세답족백(洗踏足白), 남의 말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귀담아 듣는 것을 이르는 말을 세이공청(洗耳恭聽), 가난하기가 마치 물로 씻은 듯하여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적빈여세(赤貧如洗), 피로써 피를 씻으면 더욱 더러워진다는 뜻으로 나쁜 일을 다스리려다 더욱 악을 범함을 일컫는 말을 이혈세혈(以血洗血), 칼로 창자를 도려내고 잿물로 위를 씻어 낸다는 뜻으로 마음을 고쳐먹고 스스로 새사람이 됨을 이르는 말을 괄장세위(刮腸洗胃) 등에 쓰인다.
▶️ 滌(씻을 척, 물 이름 조)은 형성문자로 涤(척, 조)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條(조)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滌(척, 조)은 ①씻다 ②닦다 ③청소하다 ④짐승을 기르는 우리 그리고 ⓐ물의 이름(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씻을 식(拭), 씻을 세(洗), 빨래할 한(澣), 씻을 탁(濯)이다. 용례로는 씻어 버림을 척거(滌去), 몸을 시원하게 함을 척서(滌暑), 씻어 없앰을 척제(滌除), 말끔히 없앰을 척탕(滌蕩), 허물을 깨끗이 씻어 버림을 척건(滌愆), 생각을 깨끗하게 함을 척려(滌慮), 흉터를 씻어 준다는 뜻으로 남의 허물을 덮어 줌을 이르는 말을 척반(滌瘢), 씻어서 깨끗하게 함을 척정(滌淨), 깨끗이 씻음을 세척(洗滌), 때 묻은 옷을 빪을 한척(澣滌), 깨끗이 씻어냄을 쇄척(刷滌),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마음을 깨끗이 씻음을 참척(懺滌), 죽을 죄인의 목슴을 살려 주고 죄를 깨끗이 없애 줌을 활척(活滌), 죄나 허물을 깨끗이 씻어 줌을 소척(疏滌), 품고 있는 생각을 속시원하게 모두 털어놓고 말해 버림을 설척(雪滌), 제거하여 깨끗하게 함을 소척(掃滌), 더러운 것을 없애고 정하게 함을 탕척(蕩滌) 등에 쓰인다.
▶️ 塵(티끌 진)은 회의문자로 본디 글자 鹿(록; 사슴)이 떼지어 달릴 때 흙먼지가 일어나는 모양을 뜻하고, 바뀌어 먼지의 뜻이 되었다. 그래서 塵(진)은 십진(十進) 급수(級數)의 단위(單位)의 하나. 사(沙)의 만분의 일. 애(埃)의 열 곱절의 뜻으로 ①티끌 ②때, 시간(時間) ③유업 ④소수의 이름 ⑤더럽히다 ⑥묵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티끌 많은 세상을 진세(塵世), 티끌 세계 또는 이 세계를 진계(塵界), 티끌 세상을 진경(塵境), 티끌의 세계를 진환(塵寰), 세상의 속된 것을 진애(塵埃), 티끌과 흙을 진토(塵土), 속된 마음이나 평범한 생각을 진금(塵襟), 속되고 비루함을 진루(塵陋), 자신의 말이나 행동이 상대방을 더럽힌다는 뜻으로 상대방에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을 진혼(塵溷), 속세의 명예와 이익을 생각하는 마음을 진념(塵念), 속세의 어지러운 일이나 세상의 속된 일을 진사(塵事), 지저분한 속된 세상을 진속(塵俗), 티끌을 분진(粉塵), 바람이 불어 햇빛에 벌겋게 일어나는 티끌을 홍진(紅塵), 연기처럼 자욱하게 일어나는 모래 섞인 흙먼지를 사진(沙塵), 바람과 티끌으로 세상에 일어나는 어지러운 일을 풍진(風塵),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막음을 방진(防塵), 속세의 티끌로 세상의 여러 가지 번잡한 사물을 속진(俗塵), 공기 중에 떠도는 먼지를 걷어 없애는 일을 수진(受塵), 썩 작은 티끌이나 먼지 또는 썩 작고 아주 변변하지 못한 물건을 미진(微塵), 차가 달려간 뒤에 일어나는 먼지를 차진(車塵), 세속을 벗어남을 출진(出塵), 더러운 먼지를 오진(汚塵), 티끌 모아 태산으로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모이면 큰 것이 될 수 있다는 뜻의 속담을 진합태산(塵合太山), 먼지를 밥이라 하고 진흙을 국이라 하는 어린아이의 소꿉장난이라는 뜻으로 실제로는 아무 소용없는 일을 이르는 말을 진반도갱(塵飯塗羹), 밥 짓는 시루를 오래 쓰지 아니하여 먼지가 앉았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함을 이르는 말을 증중생진(甑中生塵),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을 이르는 말을 누진취영(鏤塵吹影), 가슴에 먼지가 생긴다는 뜻으로 사람을 잊지 않고 생각은 오래 하면서 만나지 못함을 일컫는 말을 흉중생진(胸中生塵), 늙바탕에 겪는 세상의 어지러움이나 온갖 곤란을 백수풍진(白首風塵), 바람 앞의 티끌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무상함을 이르는 말을 풍전지진(風前之塵) 등에 쓰인다.
▶️ 腸(창자 장)은 형성문자로 膓(장)과 동자(同字), 肠(장)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육달월(月=肉; 살, 몸)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昜(양, 장)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腸(장)은 소화기(消化器) 계통의 한 부분. 음식물의 소화, 흡수, 배설 따위 작용을 함. 사람이나 포유류(哺乳類), 조류(鳥類)는, 위(胃)의 유문(幽門) 아래로부터 꼬불꼬불 돌아 항문(肛門)에 이름 위에서 시작된 소화가 장에서도 진행되며 양분(養分)이 흡수됨. 많은 장액 분비선과 흡수에 필요한 융모(絨毛)가 있음. 대장, 소장(小腸)의 다름이 있음. 하등 동물에서는, 위와 장의 구별이 없으며, 전체를 장관(腸管)이라 통틀어 이르기도 함의 뜻으로 ①창자(큰창자와 작은창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②마음, 충심(衷心: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참된 마음) ③자세(仔細)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속 빌 강(腔)이다. 용례로는 동물이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나 흡수를 행하는 관의 총칭을 장관(腸管), 몹시 슬퍼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을 장단(腸斷), 장의 벽을 장벽(腸壁), 창자의 안을 장내(腸內), 복강 속에 액체 또는 가스가 차서 배가 팽만 하는 병증을 장만(腸滿), 창자의 점막에 생기는 염증을 장염(腸炎), 결핵성의 치질이 원인이 되어 똥을 눌 때에 피가 나오는 병을 장풍(腸風), 위와 창자를 위장(胃腸), 허파와 창자로 마음이나 마음속을 폐장(肺腸), 콩팥과 창자로 뜻이 바뀌어 진심을 이름을 신장(腎腸), 위의 유문에서 대장에 이어 지는 대롱 모양의 가는 소화관을 소장(小腸), 소장의 끝으로부터 항문에 이르는 소화 기관을 대장(大腸), 간과 창자로 몹시 애타는 마음을 간장(肝腸), 큰창자의 위 끝으로 작은창자에 이어진 곳에 자그마하게 내민 부분을 맹장(盲腸), 아무 것도 먹지 아니하여 빈 속을 공장(空腸), 마음이 전보다 막되게 변하여 짐을 환장(換腸), 감정이 우러나는 속자리로 염통을 심장(心腸),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함을 붕장(崩腸), 반역을 꾀하려는 마음을 역장(逆腸), 창자가 끊어진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하게 견딜 수 없는 심한 슬픔이나 괴로움을 단장(斷腸), 굳센 창자의 뜻으로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하는 말을 강장(剛腸), 창자가 끊어지고 가슴이 찢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괴롭거나 고통스러움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을 장단억렬(腸斷臆裂), 노한 쓸개와 뻣뻣한 창자라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상태를 이르는 말을 노담탱장(怒膽撐腸), 배를 가르고 창자를 드러낸다는 뜻으로 숨김이 없이 드러내어 보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결복출장(抉腹出腸), 머리가 깨지고 창자가 갈라짐을 파뇌고장(破腦刳腸),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뜻으로 하는 짓이 몹시 잘거나 인색한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조장출식(蚤腸出食), 쥐의 창자와 뱀의 성품이라는 뜻으로 간사하고 음흉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서장훼성(鼠腸虺性), 아홉 번 구부러진 간과 창자라는 뜻으로 굽이 굽이 사무친 마음속 또는 깊은 마음속을 구곡간장(九曲肝腸)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