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r-Sinfonieorchester
hr-Sinfonieorchester는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현대음악 연주단체로 헤센 방송국 산하로 창단되어 창단
이후 많은 동시대 작곡가의 작품을 초연하고 클래식 음악계의 현대화에 앞장선다. 독일의 금융 도시 프랑크풀트
Alte oper에서 주로 연주 활동을 하는 이 오케스트라는 창단부터 정체성을 뚜렷하게 세우고 많은 동시대 작곡가 작품의
초연으로 세계에 알리고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통해 현대 오케스트라가 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특히 2007년 시작된 Music Discovery Project를 통해 팝 아티스트와 젊은 세대의 관중과 호흡하고 클래식과 동시대 다양한 장르 음악과의
결합에도 힘을 쏟는다. 그러나 이 오케스트라가 시도하고 있는 동시대에 가장 앞서가는 활동들이 정통 클래식 오케스트라
면모에는 커다란 장애가 되기도 한다. 광범위한 레파투어를 전부 밀도 있는 앙상블로 그려 낼 수 있는 오케스트라를
다양한 음악 세계가 넓게 펼쳐있는 현대에서 찾기가 힘들다. 다면성의 현대에서 연주자들도 분업화? 하여 고전, 낭만,
현대음악, 동시대 작곡가 작품에 나뉘어 깊이를 가지고 연구하는 모습은 어찌 보면 현대 클래식 음악의 넓어진 폭에
적응하기 위한 고육책일 것이다.
독일은 라디오 방송국이 활성화 시기인 1920년대부터 지방으로 나뉘어 있는 방송국들이 오케스트라를 설립하기 시작한다.
가장 먼저 MDR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베를린 방송 교향악단이 1923년 창단되었고 1929년 헤센 지역의 방송국인 라디오
프랑크풀트가 Frankfurter Rundfunk Symphonie Orchester(hr-Sinfonieorchester)를 창단한다. 그리고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각 지역 방송국이 중심이 되어 오케스트라들을 창단시키는데 그중 가장 성공적인 케이스가 1949년 창단된 Symphonie
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독일의 오케스트라 발전의 원동력은 잘 갖추어진 지방
자치제의 산물이다. 독일 전역이 고루 발전을 이룬 독일의 지방자치제는 경제의 활성화, 정치의 선진화뿐만 아니라
지속적 자본력이 있는 지역 방송국을 통해 문화에 투자를 하여 지역 문화발전에 큰 성공적 사례를 만들어 세계에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고 있다. 독일의 주요 방송 교향악단으로는 MDR Sinfonieorchester, Rundfunk-Sinfonieorchester Berlin,
NDR Sinfonieorchester, WDR Sinfonieorchester Köln,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SWR Sinfonieorchester, hr-Sinfonieorchester, 등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경제 이론으로만 볼 때 클래식 전문 오케스트라는
결코 이익 창출할 수 없는, 퇴출해야 할 직종이다. 국가적 지원이 없으면 종속되기 힘든 문제를 안고 있는 분야다.
그런 의미에서 독일이 택한 문화 존속을 위한 방편으로 지방 정부와 각 지방 방송국에 오케스트라 창단과 지원을 맡겨
해결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한다.
2006년 44세의 파보 예르비를 수석 지휘자로 임명하여 7년간 예르비와 함께 획기적 성장을 이룬 hr은 예르비의 폭넓은
활동에 2013년 이후 계약 연장하지 못하고 절치부심 끝에 빈 국립 음대를 나온 콜롬비아 출신 Andrés Orozco-Estrada를
2014년 수석 지휘자로 임명하지만, 예르비 시절 앙상블이나 음악의 견고함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에스트라다와 함께한 7년은 지휘자의 성실성과 따뜻한 인성으로, 차겁게 보인 독일 전통의 이미지를 상쇄시키고 따뜻한
오케스트라의 정체성을 주입시킨 것과 오디션을 통해 양질의 세대교체를 이룬 점은 높이 평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2021년 아르메니아계 프랑스 지휘자 Alain Altinoglu 와 수석 지휘자 3년 계약을 하고 2027/28년까지 계약 연장을 한다.
hr 심포니의 특징은 서론에서 이야기했듯이 현대 오케스트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뚜렷이 인지하고 모범적으로 실행에
옮긴다. 그들은 더 이상 퇴출 위기의 음원 작업으로는 오케스트라를 알리고 앙상블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없음을 미리 간파
하고 유튜브로 옮겨지는 지형에 이미 2011년부터 이 채널을 활용하여 구독자가 43만 9천 명에 171,150,450회 조회수를
기록한 오케스트라로 가장 성공한 사례를 보여주었다. 모든 공연을 모체인 방송국의 이점을 살려 양질의 화질과 음향으로
공연 실황을 중계하여 무료로 볼 수 있게 하여 유료화한, 상업적인 베를린 필의 디지털 콘서트홀 시스템과 차별을 두어
악단을 전 세계에 알리고 오케스트라 앙상블 향상과 단원들의 공연에 대한 응집도를 높이는 데 매우 긍정적 작용을 한다.
예전 음원 작업에서는 실제 연주력에 비하여 녹음 기술을 이용하는 등 많은 마사지 작업으로 인하여 실제 연주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었느나, 유튜브를 통한 실황 작업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나 앙상블 향상에 매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공연마다 단원들의 집중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15, Jänner, 2024. København. franciscopaik.
단원 구성: 1.Vn. 2.Vn. Viola. Cello. K.Bass.
악장 3,포함 17명 12명. 13명. 10명. 8명.
...................................................................................................................
Fl. Ob. Cla. Bn. Hr. Tp. Tb. Tu. Tim. Pe. Hf. 총인원. (2024년 1월 현재)
5명. 5명. 5명. 4명. 7명. 4명. 3명. 1명. 1명. 3명. 1명. - 99명.
"우리나라 출신 단원으로는 제2 바이올린에 이경은과 콘트라 바스에 홍성혁이 있고, 2022년 플륫 부수석으로 이수연 입단하고, 2023년
오보에 뚜띠로 마성예가 입단하여 독일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서 우리의 목관 연주자들이 점차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특히 hr의
목관 파트는 독일 오케스트라에서도 앙상블의 밀도와 단원들의 연주력이 뛰어난 오케스트라로, 풀룻 아수연은 2022년 10월 3일 kromberg
있었던 hr의 드볼작 신세계 교향곡에서 수석 Calle에 못지않게 홀을 지배하며 솔로를 했고 2nd 파트에서도 오케스트라 앙상블에 스며들어
막강한 hr 목관에 적응하는 모습이 좋아 보였다. 독일 오케스트라에서 단원을 뽑을때 솔로를 화려하게 잘해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 사람이
우리 오케스트라 앙상블에 스며들수 있을까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보는데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수연은 음질, 칼라, 음량 등 이상적인
오케스트라 연주자로써의 자질을 가지고 있다. 이 두 명의 성장에 많은 기대하면서 더욱 많은 우리의 음악도들이 전 세계 오케스트라에서
활약하는 모습이 보였으면 한다."
목관 파트
fl.
Clara Andrada de la Calle – Solo (스페인) *2005 Emmanuel Pahud
Sebastian Wittiber – Solo *1999 Orchester Bayreuther Fests. Jugendorch. Europäischen
Suyeon Lee * 2022 (한국) Stellvertretende Solo Hanns Eisler Yonsei Uni. Orch. akademie hr-Sinfonie
Cordula Weil *2023 Piccolo
Bettina Hommen-Elsner
"Thaddeus Watson – Piccolo (미국) *1985 2023년 은퇴
"Christiane Tétard – Stv. Solo (프랑스)
ob.
Nicolas Cock-Vassiliou – Solo (프랑스) *2010 CNSMDP
José Luís García Vegara – Solo (스페인) *2012(?) Karajan Akademie, Jonathan Kelly
Doğa Saçılık *2019 (터키) Stellvertretende Solo Hanns Eisler
Seong ye Ma *2023 (한국) Christian Wetzel an der Hochschule Köln
Michael Höfele *2000 Festspielorchester Bayreuth solo Englischhorn
"Thomas Gimnich – Englischhorn 2020은퇴
"Michael Sieg – Stv. Solo *1987 Heinz Holliger 2022년 은퇴
cla.
Jochen Tschabrun – Solo *1997 Karajan Akademie(1994)
Tomaz Mocilnik – Solo (슬로베니아) *2016 Solo Mahler Jugendorch. Graz h. Gerald Pachinger
Magdalena Faust – Stv. Solo *2017 Orchesterakademie des hr-Sinfonieorchester(2016)
Sven van der Kuip Detmold Prof. Hans D. Klaus
Ulrich Büsing – Bassklarinette *1990 Detmold Prof. Hans D. Klaus Preisträger, Belgrad
bn.
Theo Plath *2019 solo ard 3rd
Daniel Mohrmann – Stv. Solo *2014
Bernhard Straub *1991 Kontrafagott
Marta Álvarez Álvarez * 2020 (스페인) Hochschule für Musik München
"Matthias Roscher – Kontrafagott
"Ralph Sabow – Solo *1987 Karajan Akademie 2022년 은퇴.
"Carsten Wilkening – Solo *1983 Klaus Thunemann 2023년 은퇴
Chefdirigenten
Hans Rosbaud (1929–1937), Otto Frickhoeffer (1937–1945)
Kurt Schröder (1946–1953), Otto Matzerath (1955–1961)
Dean Dixon (1961–1974), Eliahu Inbal (1974–1990)
Dmitri Kitajenko (1990–1997), Hugh Wolff (1997–2006)
Paavo Järvi (2006–2013), Andrés Orozco-Estrada (2014–2021)
Alain Altinoglu (seit 2021)
Ur- und Erstaufführungen (초연 곡)
Paul Hindemith: 3 Anekdoten für Radio, drei Stücke (20. Februar 1926)
Paul Hindemith: Kammermusik Nr. 7 (8. Januar 1928)
Kurt Weill: Berliner Requiem (22. Mai 1929)
Arnold Schönberg: Begleitmusik zu einer Lichtspielszene (28. April 1930)
Richard Strauss: Kampf und Sieg (28. April 1930)
Béla Bartók: 2. Klavierkonzert mit dem Komponisten am Klavier (23. Januar 1933)
Karl Amadeus Hartmann: Sinfonisches Fragment (Versuch eines Requiems) (28. Mai 1948)
Arnold Schönberg: Violinkonzert (Deutsche Erstaufführung; 25. Juni 1949)
Wolfgang Fortner: Der Wald (25. Juni 1953)
Boris Blacher: Abstrakte Oper Nr. 1 (28. Juni 1953)
Hans Werner Henze: Quattro poemi (31. Mai 1955)
Ernst Krenek: Capriccio für Violoncello und Kammerorchester (31. Mai 1955)
Olivier Messiaen: Hymne au Saint Sacrement (Deutsche Erstaufführung; 31. Mai 1955)
Hans Werner Henze: Fünf neapolitanische Lieder (26. Mai 1956)
Luigi Nono: Diario polacco 1958 (2. September 1959)
Karl Amadeus Hartmann: Gesangsszene (13. November 1964)
Edgard Varèse: Ecuatorial (Deutsche Erstaufführung; 1. September 1966)
Johann Sebastian Bach: Kunst der Fuge Hermann Scherchen (Deutsche Erstaufführung; 5. April 1968)
Nicolaus A. Huber: Parusie (1968, Darmstädter Ferienkurse)
Helmut Lachenmann: Air (1. November 1969)
Morton Feldman: First Principles (Deutsche Erstaufführung; 4. September 1970)
Gustav Mahler: Das klagende Lied (3-teilige Fassung) (Deutsche Erstaufführung; 11. März 1972)
Charles Ives: The Celestial Country (Europäische Erstaufführung; 14. Februar 1975)
Anton Bruckner: 4. Sinfonie (Urfassung; Deutsche Erstaufführung; 1. Oktober 1977)
Claude Debussy: Fragment La chute de la maison Usher (1. Dezember 1977)
Rolf Riehm: Tänze aus Frankfurt (20. März 1981)
Walter Zimmermann: Ländler-Topographien (20. März 1981)
Hubert Stuppner: Palinodie Nr. 2 – ein Walzertraum (Deutsche Erstaufführung; 20. März 1981)
Morton Feldman: Violin and Orchestra (12. April 1984)
Giacinto Scelsi: Konx-om-pax und Pfhat (6. Februar 1986)
Mathias Spahlinger: inter-mezzo – concertato non concertabile tra pianoforte e orchestra (11. März 1988)
John Cage: Sixty-eight for Orchestra (6. November 1992)
Karlheinz Stockhausen: Punkte (revidierte Fassung; 5. Februar 1993; unter Stockhausens Leitung)
Michael Mantler: One Symphony (13. November 1998)
Erkki-Sven Tüür: Violinkonzert (16. September 1999)
Elliott Sharp: Calling (5. Juli 2002)
Helmut Lachenmann: Schreiben (revidierte Fassung; 19. August 2004)
Erkki-Sven Tüür: Klavierkonzert (22. November 2006)
Jörg Widmann: Antiphon (27. Februar 2008)
Elliott Carter: Cellokonzert (Europäische Erstaufführung; 4. Juni 2009)
Erkki-Sven Tüür: 7. Sinfonie für Chor und Orchester (18. Juni 2009)
Jens Joneleit: Adagio (29. März 2012)
Peter Ruzicka: Clouds (23. August 2012)
Jukka Tiensuu: Voice verser (31. Oktober 2012)
Erhard Grosskopf: KlangWerk 11 (26. April 2013)
Friedrich Cerha: Tagebuch (5. Februar 2014)
Atsuhiko Gondai: Falling Time to the End (4. November 2015)
Bernhard Gander: bloodbeat (13. August 2016)
Marko Nikodijević: ABSOLUTIO – Postludium für Orchester (30. September 2016)
Michael Jarrell: Aquateinte – Konzert für Oboe und Orchester (13. Oktober 2016)
Vladimir Tarnopolski: Be@thoven – Invocation (10. September 2017)
Zeynep Gedizlioğlu: Blick des Abwesenden – Klavierkonzert * (14. September 2018)
Isabel Mundry: Motions // der doppelte Blick (Gesamtzyklus) (14. September 2018)
Dieter Schnebel: Trauermusik (9. November 2018)
Dieter Schnebel: Variationen über das "Heidenröslein" für Orchester (9. November 2018)
Peter Ruzicka: BENJAMIN SYMPHONIE (29. März 2019)
Albert Schnelzer: Through the Eye of the Pegasus (28. August 2021)
Bryce Dessner: Violinkonzert (1. Oktober 2021)
Páll Ragnar Pálsson: Nadryw (18. Februar 2023)
Camille Pépin: Les Eaux célestes (10. März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