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장 심하보 목사 “한 번이라도 중독되면 심각 … 교회가 예방운동에 앞장서야” |
청소년까지 마약이 깊숙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에 마약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사)한국청소년마약예방운동본부’(이사장 심하보 목사)가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대한민국도 이제 더 이상 마약 청정국이 아니다. 오히려 청소년까지 마약이 깊숙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에 마약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사)한국청소년마약예방운동본부’(이사장 심하보 목사)가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이와 관련, 동 운동본부는 지난 22일 은평제일교회에서 황교안 전 국무총리, 남경필 전 경기지사, 한기총 정서영 대표회장, 전국기독교총연합회 임영문 대표회장, 한국가족보건협회 김지연 대표, 홍호수 청소년중독예방운동본부 이사장, 부산 나눔과기쁨 이사장 나영수 목사, 소망교도소 전 소장 심동섭 목사, 세종미래전략포럼 김재헌 목사 등 각계각층의 기독교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교회가 청소년 마약 예방에 앞장 설 것을 다짐했다.
심하보 이사장은 “마약 중독은 막아야 하는데 예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마약을 한 번도 안 한 사람이 많겠지만, 한 번만 하는 사람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사장 심하보 목사는 환영사를 통해 “코로나처럼 ‘마약 팬데믹’ 시대가 올 수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청소년들이 마약에 노출되어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고 진단하고 “많은 단체들이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1차 중독은 자신만을 위기에 처하게 한다. 하지만, 2차 중독은 가정을 위기에 처하고, 더 나가면 사회, 결국은 국가가 위기에 처하게 한다”면서 “마약 중독은 막아야 하는데 예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마약을 한 번도 안 한 사람이 많겠지만, 한 번만 하는 사람은 없다”고 지적했다.
심 이사장은 “중독은 별 것 아니다. 자기 자신을 컨트롤하지 못하는 것이다. 백신을 맞아서 중독을 예방하면 좋겠지만, 지금 백신도 없다. 그래서 마약을 하지 않겠다는 ‘언어 백신’이라도 만들어서 예방하고자 한다”며 “사회 모든 곳이 마약에 뚫린 상황이다. 중독에는 결국 신앙이 답이다. 예수밖에는 답이 없다”고 역설했다.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는 “마약은 영적 문제다. 하나님께서 치유하지 않으면 인간의 힘으로 되지 않음을 깨달았다.”면서 “대한민국 100개 교회가 마약치유 운동의 본산이 되길 꿈꾸고 있다"고 피력했다.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는 “마약은 영적 문제다. 하나님께서 치유하지 않으면 인간의 힘으로 되지 않음을 깨달았다. 오늘 이 자리에 온 이유도 교회가 앞장서서 영적 문제인 마약 팬데믹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사명감을 함께 나누기 위해서다”면서 “대한민국 100개 교회가 마약치유 운동의 본산이 되길 꿈꾸고 있다. 처음 가정에서 마약이 발견되면 황당하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 그럴 때 117에 전화하면 가까운 교회에 연결돼서 정신과 의사나 상담사들이 대응하고, 교회에서는 말씀으로 치유하는 등 공동체로서 잘 일어나길 바란다”고 피력했다.
정서영 한기총 대표회장은 "중독자 치료보다는 예방이 훨씬 효과적이다. 처음부터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심하보 목사님께서 이 일을 시작하셔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른다”고 말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정서영 목사는 “저희 교단에서 마약중독 출소자들의 재활을 돕던 목사님이 1년 만에 그만두셨다. 마약은 중독이고, 범죄도 서슴지 않으니 개인이 할 일이 아니라고 본 것이다. 중독에서 벗어나는 일이 그만큼 쉽지 않다“며 “중독자 치료보다는 예방이 훨씬 효과적이다. 처음부터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심하보 목사님께서 이 일을 시작하셔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른다”고 말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마약은 치유가 안 된다. 한 번만 하면 그냥 중독된다. 검찰은 처벌에 치중했지만, 처벌으로는 부족하다. 결국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는 “과거에도 마약 때문에 혼란했지만, 검찰 강력부에서 총력을 기울여 마약 청정국이 됐다. 그러나 지금은 마약 공화국이 돼 버렸다. 굉장히 심각하다”며 “마약은 치유가 안 된다. 한 번만 하면 그냥 중독된다. 검찰은 처벌에 치중했지만, 처벌으로는 부족하다. 결국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청소년마약예방운동본부는 앞으로 △마약예방 캠페인: 마약류 및 약물 오남용 예방 캠페인, 관련 콘텐츠 제작 및 배포 △마약예방교육: 마약류 및 약물 오남용 예방 온오프라인 교육, 전국 관련기관 네트워크 구축 △전문강사 양성: 학교 현장 강사 파견, 전문 상담사 양성, 유혹 극복 상담 및 회복자 사례 발표 등을 진행한다.
#풀가스펠뉴스 #심하보목사 #한국청소년마약예방운동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