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가 혹은 독재자… ‘미스터 에브리싱’을 말하다
사우디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
석유 의존 국가 경제 탈바꿈 의지… 한국과도 37조 원 프로젝트 추진
부패 혐의 씌워 사촌형 몰아내고, 반대파 인권운동가 탄압 이면도
◇빈 살만의 두 얼굴/브래들리 호프, 저스틴 셱 지음·박광호 옮김/484쪽·2만5000원·오픈하우스
지난해 11월 방한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가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걸어가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뉴스1
“당장 오십시오.”
2017년 11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족, 장관, 군부대 사령관 등 핵심 인물 200여 명은 왕실의 전화를 받았다. 국왕이 수도 리야드의 리츠칼튼호텔로 집합하라고 명령을 내린 것이다. 호텔에 모인 이들은 즉각 구금됐다. 이들은 거액을 헌납하고 충성 서약을 하고서야 풀려날 수 있었다. 고문, 구타, 협박을 당했다는 이도 있었다. 이 무시무시한 작업을 이끈 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란 뜻의 ‘미스터 에브리싱’으로 불리는 사우디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 2명이 빈 살만을 추적한 논픽션이다. 저자들은 해외에 잠시 나와 감시를 피한 사우디 관계자들을 2017년부터 극비리에 취재했다. 빈 살만은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한국과 26개 사업에 290억 달러(약 37조 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한 인물이다. 38세 젊은 왕세자의 진면목에 한국 독자도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1985년 태어난 빈 살만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걱정거리였다. 지금은 훤칠한 용모를 지녔지만 과거엔 맥도널드 햄버거를 너무 좋아해 살이 많이 쪘다. 게임에 빠져 공부도 등한시했다. 군복을 차려입고 슈퍼마켓에서 난리를 피우기도 했다. 주식투자를 하다 잔액이 0원이 된 적도 있다.
빈 살만이 본격적으로 사우디 정치에 등장한 건 불과 26세 때인 2011년이다. 아버지가 국방부 장관에 취임하면서 그는 특별보좌관이 된다. 아버지가 왕세자가 될 땐 궁정실장에 취임했다. 2015년 당시 국왕이던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아버지가 국왕이 되자 그는 실권을 차지한다.
그는 아버지의 셋째 부인이 낳은 아들이다. 위로 배다른 형제가 여럿이다. 아버지 역시 첫째가 아니라서 할아버지는 원래 왕세자로 사촌 형 빈 나예프를 낙점한 상태였다. 하지만 그는 빈 나예프에게 부패 혐의를 뒤집어씌워 2017년 물러나게 했다. 이후 사우디에서 금지됐던 미혼 남녀의 교제, 영화관 출입을 허용하며 젊은 층의 인기를 얻었다.
왕세자가 된 빈 살만은 거침이 없었다. 회의에서 반대 의견이 나오면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하기 일쑤였다. 위협이 될 만한 인물에겐 돈을 뿌리거나 협박해 아버지 편으로 포섭했다. 롤 모델이 이탈리아 사상가 니콜로 마키아벨리(1469∼1527)라고 말하곤 했다. 아버지는 빈 살만을 총애했다.
서열이 중요한 왕국에서, 적자생존의 권력투쟁에서 빈 살만의 잔혹한 행동은 어쩌면 그 자신에게는 당연했던 건지도 모른다. 그가 권력을 쥐면서 사우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점도 있다. 그는 ‘비전2030’이란 경제 정책을 발표해 오일 달러에 의존한 기존 사우디 경제를 탈바꿈시키려 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에게 반대하는 인권운동가를 탄압한다. 2018년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숨진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의 암살을 사주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최근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군사협력합의서를 체결해 세계의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사우디 국왕 살만 빈 압둘아지즈가 88세로 고령인 만큼 빈 살만의 집권은 코앞으로 다가왔다. 빈 살만은 사우디의 경제 부흥을 이끄는 젊은 지도자가 될까, 아니면 무자비한 독재자가 될까. 두 얼굴 속에 숨겨진 진실을 그가 언제 드러낼지 궁금하다.
이호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