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들은 책을 어떠한 물건보다 소중히 여긴다
단순한 지식보다 지혜를 더 중히 여겨라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지성知性이다.
지성이란 인간이 어떡한 경우에도 가슴에 간직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유대인은 오랜 역사에 걸쳐서 나라 없는 설움과 박해를 받았다.
<중간 생략>
유대인의 어머니들이 아이들에게 반드시 물어보는 수수께끼가 있다.
만일 우리들이 살고 있는 집이 불태워지고 재산은 빼앗겼을 때,
도대체 무엇을 가지고 달아나야 할까요? 하고 묻는다.
그러면 아이들은 ‘돈을 가지고’라든가, ‘다이아몬드를 가지고 달아난다.’라고
대답을 한다. 그럴 때 어머니는,
“그것은 모양도, 빛깔도, 냄새도 없는 거란다.”하고 다시 한번 힌트를 준다.
그리고 마침내 ‘가지고 가는 것은 돈이나 다이아몬드가 아니라
지성’이라고 자식에게 가르쳐 준다.
그 누구도 지성을 빼앗을 수 없으며, 자기가 목숨을 잃지 않은 한,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은 책을 어떠한 물건보다 소중히 여긴다.
그들에게는 책에 관한 많은 격언이 있다.
‘여행을 하는 중에 지금까지 읽어보지 못한 좋은 책을 보게 되면,
반드시 그 책을 사 가지고 고향에 돌아가라,’
‘만일, 가난한 나머지 물건을 팔아야 한다면, 우선 금∙보석∙집∙땅을 팔아라.
마지막까지도 팔아서는 안 되는 것이 책이다.’
‘책은, 비록 적이 빌려달라고 해도 빌려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당신은 지식의 적이 된다.’
‘책은 당신의 벗으로 삼아라.
책장을 당신의 뜰로 삼아라.
그리하여 그 아름다움을 즐기고, 과실을 거두어들이며, 꽃을 따도록 하라.
책은 지식의 상징이다. 1736년에 라트비아의 유대인 거리에서는,
만약 책을 빌려달라고 해서 빌려주지 않는 사람은
벌금을 물게 하는 조례가 정해졌었다.
또 유대인의 가정에서는 책을 침대 발치에 두지 말고,
머리맡에 두라는 말이 전해 오고 있다.
지성이 유대인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시되었던가 하는 증거로,
학자가 왕보다 더 훌륭하다고 여겼으며
커다란 존경을 받아온 사실을 들 수가 있다.
이것은 유대인들의 자랑할 만한 전통이기도 하다.
이에 반해서 대개의 다른 민족들이 황후, 귀족, 혹은 군인이나
돈 많은 사업가를 학자보다 더 높은 자리에 두었던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그만큼 유대인들은 지식을 소중히 여겼다.
하지만 그들이 지식보다 중시한 것은 지혜였다.
지식만 있고 지혜가 없는 사람은
많은 책을 등에 실은 당나귀에 비유되었다.
지식은 아무리 모아두더라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좋은 목적으로 쓰지 않는다면 오히려 해가 되며,
또 단지 지식을 모으는 것뿐이라면 책을 쌓아 두지 말 것을 경고한다.
단지 배워 익힌다고 하는 것은 경멸 되었다.
그것은 모방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배워 익힌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자기 스스로 생각하기 위한 기초일 뿐이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배운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012~
<이하 생략>
출처 >도서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고 내일 죽을 것처럼 살아라]
M. 토케이어 지음 / 주덕명 편역
≪후기≫ 유성 박한곤
우리는 세상에 펼쳐진 천태만상을 접하며 살아간다.
이 삶의 과정 어느 곳이든지 지성知性이 결여缺如된 삶은
결코, 아름다울 수 없다.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 식물을 사랑하는 사람,
오직 사람만 좋아하며 사람을 찾아 강의하며,
연극을 하며, 작사·작곡하며 노래 부르는 사람,
인류의 미래를 위해 밤을 새워 연구에 몰두하는 사람, 등등
인간 삶을 금세 분류 分類해도 보면 참으로 많기도 하다.
많이 배우면 지식인은 되지만
지식인이 자동으로 지성인 知性人이 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지성을 이해하고 지성인이 실행할 덕목을 습관화해야 한다.
지성인을 네 글자로 표현 한다면 '인간다움'이다.
책을 사랑하는 것은 책 속에 지성의 세찬 물줄기가 있기 때문에
유대인들은 책과 연관 짓고 있다.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되,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며
내일 죽을 것처럼 살아가야 하나를 생각하게 하는 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