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세기 대한민국 약사(
1900년 - 만국우편연맹 가입. 의사˙약제사˙약품순시 규칙 등 공포. 한성전기회사(한˙미인 공동경영)가
최초로 종로에 가로등 3개 가설. 한강철교 준공, 경인선철도 완전 개통.
태극기 규정발표(흰 바탕에 長2자, 廣1자 8치, 태극은 지름 7치에 청˙홍색).
1901년 - 2월 21일, 신식 화폐조례(貨幣條例) 공포, 금본위제도(金本位制度) 실시. 7월, 최초의 안남미 수입.
9월 17일, 흥선대원군을 왕으로 추봉. 10월 9일, 활빈당원 하원홍(河元泓) 등 참형.
혜민원(惠民院) 설치. 강일순(姜一淳), 증산교 창시.
1902년 - 1월 13일, 갑산(甲山) 동광(銅鑛)의 갱도(坑道) 무너져 광부 600여 명 참사.
5월, 일본제일은행 부산지점, 1원권을 발행, 한국에서 강제유통시킴.
6월 16일, 이상재(李商在) 등 개혁당 사건과 관련, 구속.
황제등극 40주년 칭경식(稱慶式)을 거행. 8월, 국가(國歌)를 처음 제정.
제1차 하와이 이민단 100여 명 출발.
1903년 - 개성~평양간 전화 개통. 6월 14일, 주한 외국공사들, 러시아 공사관에서 비밀회담.
장지연(張志淵)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 등 편찬.
1904년 - 2월 23일,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조인. 25일, 의주(義州)를 개방.
3월 17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특파대사로 내한. 8월 18일, 송병준(宋秉畯) 등,
유신회(維新會) 조직. 20일에 일진회(一進會)로 개칭. 22일, 제1차 한일협약(韓一協約) 체결.
11월 16일, 제중원(濟衆院:세브란스병원)낙성식. 26일, 원직(元稷)˙나유석(羅裕錫), 보부상을 규합,
진명회(進明會) 조직(12월 共進會와 통합). 12월 미국인 천일외교관 스티븐스, 외교고문에 임명.
21일, 대한적십자사발족, 세계적십자사에 가맹.
1905년 - 2월 22일, 일본 독도(獨島)를 강점, ‘다케시마[竹島]’로 명명. 3월 25일, 황제, 러시아 정부에 밀서.
이용익(李容翊), 보성학교(普成學校) 설립(고려대학). 11월 9일, 일본특파대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한. 17일, 박제순과 일본공사 하야시[林權助],
제2차 한일협상조약(乙巳條約) 조인. 12월 1일, 손병희(孫秉熙), 동학(東學)을 천도교(天道敎)로
개칭. 21일, 일본, 한국 통감부(統監府) 및 이사청(理事廳)관제 공포 시행. 초대 통감에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
1906년 - 3월 2일,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입국. 4월 21일, 엄비(嚴妃), 진명(進明)여학교 설립.
6월 4일, 최익현(崔益鉉)˙신돌석(申乭石) 등 의병 일으킴. 7월 2일, 일본 경찰,
경운궁(덕수궁)의 경비권을 강탈. 8월 18일, 최익현˙임병찬 등 9명 대마도에 유배.
31일, 《한성신보》 폐간. 9월 1일, 통감부의 기관지로 《경성일보(京城日報)》 창간.
10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13도 11부 333군으로 개편). 18일, 한국 최초의 기념우표 발행.
19일, 가톨릭교에 주간지로 《경향신문》 창간. 11월 1일, 최초의 소년잡지 《소년한반도》
창간. 최초의 전국적 호구조사 실시.
1907년 - 1월 29일, 서상돈(徐相敦) 등,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5월 22일, 이완용(李完用) 내각 성립,
23일 한글판 《대한매일신보》 창간. 6월 15일, ‘헤이그밀사사건’(李儁 분사).
7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황제에게 양위를 강요. 24일,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丁未七條約) 및
비밀부 각서 조인. 31일 군대해산 조칙(詔勅) 발표. 8월 2일, 연호를 융희(隆熙)로 함.
12월 27일, 경운궁에서 순종, 황제 즉위식. 9월 1일, 서울에서 최초의 박람회 개최(~11.15.).
1908년 - 1월 7일, 청진항(淸津港) 개항. 4월 1일, 관립한성고등여학교(현 京畿女高) 설립. 부산역 개설.
23일 전명운(田明雲)˙장인환(張仁煥),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사살.
안창호(安昌浩) 등 대성학교(大成學校) 설립. 11월 1일, 최남선(崔南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少年)》 창간. 최초의 신극 이인직(李仁稙)의 《은세계》, 원각사에서 공연.
12월 3일, YMCA회관 개관식 거행.
1909년 - 1월, 나철(羅喆), 대종교(大倧敎) 창시. 2월 1일, 미주(美洲) 한국인단체들, 통합해 국민회로 발족,
6월 2일, 《대한민보(大韓民報)》 창간. 10월 24일, 안중근(安重根),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창립.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高羲東), 화가로 데뷔.
1910년 - 3월 26일,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 8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일, 이완용˙데라우치, 한일합병조약에
조인. 10월 1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 12월 27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회원 120여명 기소.
1911년 - 3월, 김좌진(金佐鎭) 등 18명을 강도죄로 구금. 경무총감부, 언론 통제. 3월 29일,
조선은행법 공포. 4월 17일, 도로규칙 및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5월15일,《소년》지 폐간(지령 23호).
이 해, 경주에서 우편국 직원에 의해 석굴암 발견.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구약성서》 완역판 등 출간.
1912년 - 2월 16일, 어업세령(漁業稅令) 공포. 23일, 수산조합˙어업조합 규칙 공포.
1913년 - 5월 13일, 안창호 등, 흥사단(興士團)을 조직. 12월 15일, 한강철교 복선화 완성. 최초의 번안소설
《장한몽(長恨夢)》,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
1914년 - 1월 11일, 대전~목포간 호남선 공사 완성(3월 22일 개통). 3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
부˙군˙면(府郡面) 통폐합 실시. 1915년 1월 15일,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이시영(李始榮) 등
30여명, 경북 달성을 중심으로 조선국권회복단 조직. 9월 11일, 총독부, 경복궁에서 통치 5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개최(~10.31). 15일, 경성우편국청사 준공. 일본제 고무신 등장.
1916년 - 4월 25일, 세브란스의학전문 개교. 6월 25일, 경복궁터에 총독부 청사건물 기공식.
8월 2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妃)로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마사코[梨本宮方子](16)를 선택.
9월 12일, 대종교 교주 나철(羅喆:본명 羅寅永), 자결(1863~). 10월 16일, 일본육군대장
하세카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박중빈(朴重彬), 전북 인산에서 원불교(圓佛敎) 창시.
1917년 - 1월 1일, 이광수(李光洙)의 장편 소설 <무정(無情)>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4월 30일,
이왕가(李王家)에 악생(雅樂生)양성소 설립. 6월 8일, 순종황제, 일본에 감(28일 귀국).
10월 17일, 한강인도교 준공. 29일, 박용만(朴容萬), 뉴욕에서 열린 세계25개국
약소민족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
1918년 - 1월 17일,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18일, 총독부, 《조선어사전》 편찬, 간행(1910~).
11월 15일, 신한청년당원 여운형,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 크레인과 회견.
20일, 미주 교포단체들, 윌슨 미국대통령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진정서 제출.
30일, 여운형, 파리강회회의와 미국대통령에게 보낼 한국독립 요청서를 크레인에게 전달
12월 5일 영친왕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미사코와 혼인을 발표.
1919년 - 1월 21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월 8일,도쿄유학생 600여명,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
조선청년독립단 명의로 <독립선언문>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창조》 발간.
3월 1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만주 류허현[柳河縣]에서 대한독립단 발족. 임시정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개조 발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8월 12일, 사이토[齊藤實]선임총독 부임.
8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 9월 2일, 노인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투척(37명이 중경상). 10월 5일, 김성수(金性洙) 등,
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일,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월 9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압송)
1920년 - 1월 6일,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보(時事新報)》의 발행을
허가. 4월 28일,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와 결혼. 6월 25일,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월 13일,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등 조선체육회 창립.
25일,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월 20일,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년 - 1월 2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월 3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명, 조선어연구회 창립
(대표 任景宰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년 - 1월 7일, 조선불교도총회, 30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일, 모스크바에서 극동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월 31일,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월 1일,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년 -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월 2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창간.
1924년 - 1월 4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
(二重槁사건). 3월 31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월 17일,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월 2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제작. 8월 5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등 문인 30여 명,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년 - 1월 3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월 17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월 27일, 신의주에서 제1차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등 체포.
10월 13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년 - 1월 2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4월1일,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일 순종(純宗) 승하. 27일, 영친왕 은(垠), 왕위계승. 6˙10만세 사건. 9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일, 경성방송국 창립. 12월 28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
1927년 - 4월 7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월 1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일,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분 37초) 수립.
1928년 - 3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6월 5일, 이영행(李永行)˙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1편) 등 간행.
1929년 - 4월 1일,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株),도쿄~울산 간,울산~타이롄[大連]간 항공로 개설.
6월 24일, 총독부 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월 17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13일, 신간회 44명,
근우회 간부 47명 검거됨(민중대회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년 - 1월 24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 수업 마비상태. 8월 7일,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여 명,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월 1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년 - 3월 29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월 18일,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를 건국원칙으로 천명.
6월 17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월 2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등 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한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 1월 8일,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월 29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년 - 2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월 4일,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회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년 - 5월 7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월 11일,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일,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년 - 4월 15일,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여 명 갱부 매몰.
7월 5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월 3일,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1936년 - 8월 26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월 23일,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월 12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공포(12.21. 시행).
1937년 - 3월 10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1차 간도이민단 일행 1만 2000명 출발. 5월 만주 동북(東北)항일
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습격(보천보사건).6월 7일,안창호 등 150여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년 - 2월 9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월 3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 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년 - 2월,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 3월,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월 3일,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 9월 28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일,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
(10.1.~45년까지 45만 명 동원).
1940년 - 2월 11일, 총독부, 창씨(創氏)제도 시행. 8월 10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년 - 3월 15일, 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근로동원 강요. 25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월 1일, 생활필수문자통제령 공포. 8월, 보천보(普天堡)사건 관련자(6명)에 사형선고.
9월 3일, 총독부, 조선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월 8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년 - 2월 27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대회 열림(~3.1.). 3월 1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월 29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월 8일, 총독부,
금속(金屬)회수에 강제권 발동. 30일, 청장년 국민등록 실시. 10월 1일, 최현배(崔鉉培) 등
30여 명,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체포.
1943년 - 3월 1일, 조선인징병제 공포(8.1. 시행). 5월 18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목재로 쓰기 위함).
6월 1일, 백금 회수 강행. 3일, 해군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월 20일, 학도병제 실시.
12월 15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년 - 2월 8일, 국민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일, 여자청년특별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 4월 22일, 기독교도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월 9일, 여자정신대 1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
6월 17일, 미곡강제공출제(할당제) 실시. 7월 24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월 23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
8월, 한국광복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1945년 - 4월 4일,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 체결(독자적 군사행동권 획득). 8월 14일, 여운형(呂運亨),
아베 총독의 정권이양 교섭에 동의. 15일, 일본 무조건항복. 9월, 국민당 결성(위원장 안재홍).
2일, 연합군최고사령부,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국분할점령 방안 공표.
7일, 미국 극동군사령부, 남한 군정(軍政)시행을 선포. 9일, 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11일, 군정장관에 아놀드 소장 취임. 16일, 한국민주당 결성. 10월 10일, 김일성(金日成),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창설(46.7.29.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 49.6.~남로당을 흡수, 조선노동당으로 확대개편).
25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결성(총재 이승만). 11월 3일, 평양에서 조선민주당 결성(당수 조만식).
11일, 조선인민당 결성(당수 여운형). 23일, 김구(金九) 주석 등 임정 요인들 환국. 북한 신의주에서
반공학생들 의거. 12월 20일, 《합동통신(合同通信)》 창립. 28일, 모스크바 3상회의.
29일, 반탁(反托)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결성. 30일, 송진우(宋鎭禹), 괴한에게 피살.
31일, 전국에서 반탁데모˙파업˙철시 단행.
1946년 - 1월 2일, 조선공산당, 신탁통치 지지 선언. 2월 1일, 비상국민회의 결성.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반탁국민총동원중앙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통합(총재 이승만).
평양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14일, 군정청 최고자문기관
‘남조선민주의원’ 구성(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김규식, 의원 25명). 3월 5일, 북조선임시인민위,
토지개혁을 단행. 20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소집. 한국독립당(30.1.25. 창당) 개편. 23일, 북한,
20개 정강 발표. 5월 15일, 미군정, 조선정판사 위폐사건 진상 발표. 6월 22일, 이범석(李範奭) 등
광복군 환국. 7월 17일, 38선 이북으로 통행 금지. 22일, 북조선,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
25일, 좌우합작위원회, 정식회담 개시. 28~30일, 북한에서 공산당과 신민당이 합당, 북조선노동당
결성. 8월 10일, 북한, 주요산업의 국유화 실시. 9월 7일, 공산당 간부 이주하(李舟下) 체포,
박헌영(朴憲英)˙이강국(李康國) 등 도피 10월 1일, 10˙1대구사건 발생. 13일, 조선민족청년당
결성(단장 이범석). 11월 23일, 좌익3당통합 강경파, 남조선노동당(남로당) 결성(위원장 허헌).
12월 2일, 이승만 도미, 남한 昞뗍ㅊ 수립의 필요성 역설. 12일, 남조선과도입법의원 개원
(의장 김규식).
1947년 - 2월 11일, 공민증(公民證)제도 시행. 3월 1일, 좌우 진영, 3˙1절 행사를 따로 거행, 남대문 앞에서
양 세력 충돌. 4월 19일, 서윤복(徐潤福), 보스턴마라톤대회서 우승. 5월 21일,
제2차 미소공동위(미 대표 브라운 소장, 소 대표 스티코프 중장) 개최. 6월 3일, 군정청, 한국
정치기구를 ‘남조선과도정부’로 호칭. 20일, 군정청, 서재필(徐載弼)을 특별의정관으로
초빙(7.1. 착임). 7월 18일, 여운형 피살(8.3. 국민장). 8월 6일, 조선임시정부 약헌(約憲),
입법회의에서 통과. 21일,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결성. 30일, 군정장관에 딘 소장 취임.
12월 2일, 장덕수(張德秀) 피살. 16일, 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8년 - 1월 7일, 초등교육 의무교육 실시. 2월 26일, 유엔 소총회, 유엔한국위원회의 접근가능지역
(남한)에서만의 총선거안 가결. 3월 8일, 김구, 남북협상을 제의. 16일, 북한˙중공, 비밀군사
협정 체결. 4월 3일, 제주도에서 ‘4˙3사태’ 시작. 16일, 최초의 총선거, 입후보자 등록마감
(934명 등록). 19일, 김구˙김규식 방북, 남북대표자 연석회의(제1차) 참석. 5월 10일, 유엔
감시하에 남한총선거 실시(좌익계˙남북협상파 불참). 14일, 북한, 남한 송전(送電) 중단,
남북협상 결렬. 31일, 제헌국회 개원(6.10. 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김동원).
7월 17일, 헌법 및 정부조직법 등 공포. 20일, 국회,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선출
(24일 취임). 8월 1일, 국회 이범석(李範奭) 국무총리 인준. 4일, 국회의장에 신익희(申翼熙),
부의장에 김약수(金若水) 선출. 5일, 국회, 김병로(金炳魯) 대법원장 인준. 15일, 대한민국
수립을 선포(상호 0시 기해). 하지 중장, 미군정 폐지를 선포. 25일, 북한총선거 실시.
9월 1일, 북한, 최고인민위원회 개최.(수상 김일성). 9일,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10월 20일, 여수˙순천사건 발생. 12월 10일,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2일, 유엔총회, 한국정부를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46대 6 가결).
1949년 - 1월 8일,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발족. 5월 20일, 남로당(南勞黨) 국회
프락치사건 적발. 미국 국무부,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월 21일,
정부 농지개혁법 공포. 25일, 북한 남북의 ‘민족전선’을 통합,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29일, 김구 피살(포병소위 안두희가 백주에 경고장에서 저격). 7월 5일, 김구 국민장
거행(최초의 국민장). 8월 6일 장제스[蔣介石] 자유중국 총통 내한, 진해(鎭海)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정상회담.
1950년 - 1월 26일,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2월 16일, 이대통령, 맥아더 초청으로 일본 방문.
3월 13일, 국회, 제1차 개헌안(내각책임제) 부결. 27일, 남로당 총책 김삼룡(金三龍)˙
이주하(李舟河) 검거. 4월 12일, 한국, 보스턴마라톤대회 1~3위 제패. 24일, 제1회 국전(國展) 개최.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6월 1일, 6년제 의무교육 실시. 12일, 한국은행 발족(초대 총재
具鎔書). 16일, 북한, 김삼룡˙이주하와 조만식(曺晩植) 교환 제의. 이대통령, 조건부 수락.
북한 조건 불수락으로 이뤄지지 않음. 19일, 제2대국회 개원(의장 신익희, 부의장 택상˙조봉암).
25일, 북한군 불법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27일,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제 결의. 28일, 서울 함락,
한강 인도교 폭파. 7월 1일, 연합군 지상부대, 부산에 상륙. 9월 1일, 부산 문화극장에서
피난국회로 재개. 15일,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16일, 낙동강전선에서 반격전 개시.
26일, 국군, 서울 진입 성공, 28일 수복. 10월 1일, 국군, 38선 돌파, 19일 평양 탈환. 25일, 중공군,
한국전 개입 시작. 26일, 국군, 압록강(楚山) 탈환. 27일, 정부, 서울 환도. 29일, 이대통령, 평양 시찰.
12월 4일, 평양 철수. 북한주민 약 50만 명, 피난길 등정. 16일, 국민방위군설치령 국회 통과.
24일, 서울시민에 피난령 발함.
1951년 - 1월 1일, 중공군 6개 사단, 압록강 건너 남진 시작. 3일, 정부, 부산으로 이전. 2월 10일, 국군,
서울에 진입. 11일, 거창(居昌)양민학살사건 발생. 3월 5일, 정부, 120만 소작인에 대한
농지분배 발표. 4월 11일, 맥아더, 유엔군총사령관직에서 해임. 후임에 리지웨이 중장 임명.
5월 9일, 이시영(李始榮) 부통령, 이대통령을 성토하고 사직. 15일, 국회, 부통령에 김성수(金性洙)
선출. 6월 23일, 말리크 소련 유엔 대표, 38선 정전회담 제의. 7월 8일, 휴전예비회담 개성(開城)에서
열림. 9월 6일, 여군 창설. 10월 17일,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 양원제 개헌안’ 의결. 20일 한˙일
제1차 회담 도쿄에서 개막. 25일, 남북휴전회담, 장소를 판문점(板門店)으로 옮김. 12월 1일,
부산˙대구를 제외,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2일, 서남지구(지리산 일대) 공비토벌작전 개시
(52.3.12. 종료).
1952년 - 1월 18일, 국회, 제2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정부안) 부결.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선포.
2월 15일, 제1차 한일회담 개최. 18일,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 좌익계 폭동 발생. 4월 17일,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의 제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20일, 장면(張勉), 국무총리직 사임.
동양통신(東洋通信) 창립. 24일, 서민호(徐珉濠) 의원사건 발생. 5월 6일, 장택상, 국무총리에 임명
됨. 7일, 거제도포로수용소의 공산포로들 폭동. 10일, 초대 도의원 선거. 14일, 정부, 제4차 개헌안
(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제출. 19일, 민중자결단˙땃벌떼˙백골단 등, 국회해산 요구 시위. 25일, 부산과
경남˙전남북에 계엄령 선포(~7.28.). 26일, 부산정치파동.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계 격동.
29일, 김성수 부통령, 이대통령 탄핵하고 국회에 사표 제출. 6월 18일, 국회, 임시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조봉암˙김동성 선출. 20일, 부산국제구락부에서˙야당인사들, 반독재호헌구국선언 발표
(국제구락부사건). 21일, 발췌개헌안 국회에 상정. 25일, 이승만 대통령 암살미수사건 발생.
범인 유시태(柳時泰) 체포. 7월 4일, 국회, 경찰 포위 속에 제3˙4차 개헌안 발췌통과(제1차 개헌˙발
欲냘愼. 8월 5일, 직선제 정˙부통령선거 실시(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咸台永) 당선.
13일, 근로기준법 국회 통과(53.5.13. 공포). 9월 30일, 장택상 총리, 고시진(古市進)사건 인책사임.
10월 17일, 국회, 이윤영(李允榮) 총리인준 부결. 29일, 국회, 정부 불신임안 발의.
11월 27일, 부산국제시장 대화재. 12월 2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 내한.
3일, 유엔총회, 한국전쟁포로의 중립지대로 이송안(인도案) 통과.
1953년 - 1월 5일, 이승만 대통령 일본 방문 요시다[吉田] 총리와 회담. 2월 15일, 긴급통화조치령 발표,
제1차 통화개혁(110대 1로 인하. ‘원(圓)’을 ‘환’으로 개칭). 23일, 휴전회담 재개. 6월 8일,
포로교환협정 조인(8.5. 교환 시작, 9.6. 완료). 18일, 반공포로 석방 단행. 7월 27일, 휴정협정 조인.
1954년 - 1월 9일, 국방대학원 창설. 18일, 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21일, 반공포로
인수, 28일, 친공포로 인도 완료. 30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5월 20일, 제3대 민의원 선거
실시(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곽상훈). 6월 15일, 진해에서 제1회 아시아민족대회 개최(~21일).
11월 14일,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받음. 불교의 대처승과 비구승 간 분쟁 격화. 29일, 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30일, 국회에 호헌동지회 결성됨.
12월 7일, 국회, 초대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개헌안(9.8. 정부가 제안) 부결. 10일, 국보 3,400점을
부산 용두산 화재로 소실. 20일, 정부기구를 12부 1설 1원으로 개편.
1955년 - 2월 18일, 김성수(金性洙) 국회부의장(전부통령) 사망(2.24. 국민장). 조경규(趙瓊奎), 부의장이 됨.
8월 8일, 증권시장 개장. 16일,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죽음. 9월 13일, 《대구매일(大邱每日)》,
학생정치도구화 반대 사설을 게재로 필화(筆禍). 18일, 호헌동지회의 자유민주파, 민주당 창당
(대표최고위원 申翼熙). 10월 1일, 광복10주년기념 산업박람회개최. 26일,중공군 6개 사단 철수완료.
1956년 - 1월 2일, 제2여당으로 민정당(民正黨) 발기(최고위원 이범석˙장택상). 3월 30일에 공화당(共和黨)
으로 발족. 30일, 김창룡(金昌龍) 육군특무대장 피살. 2월 27일,김창룡 저격범 허태영(許泰榮)대령등
구속(11.22. 강문봉 중장 등 추가구속). 5월 5일,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유세중 이리(裡里)에서
급서(5.23. 국민장). 12일, 첫 텔레비전방송국(호출부호 HLKI) 개국. 15일, 제3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6월 8일 국회, 의장에
이기붕, 부의장에 조경규˙황성수(黃聖秀) 선출. 9월 28일, 민주당전당대회, 대표최고위원회에
조병옥(趙炳玉) 선출. 대회장에서 퇴장하던 장면 부통령 피습. 현장에서 범인 김상붕(金相鵬) 체포.
10월 1일, 장부통령 저격사건 배후조종자 최훈(崔薰) 구속. 11월 10일, 진보당 창당위원장
조봉암(曺奉岩), 간사장 윤길중(尹吉重) 선출. 29일, 국제시계밀수사건에 황성수 국회부의장,
박영출(朴永出) 외무위원장 관련.
1957년 - 1월 11일, 유엔총회, 유엔 감시하의 통한(統韓)총선거 결의, 14일, 유도회(儒道會) 분규 격화.
5월 5일, ‘어린이헌장’ 선포. 25일, 야당 주최 장충단(奬忠壇) 시국강연회장에서 테러단 난동
(12.5. 주범 유지광 체포됨). 8월 가짜 이강석(李康石)사건으로 사회가 소란.
9월 1일에 주인공 강성병 체포됨. 10월 9일, 《우리말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국회, 동성동본(同姓同本)과 8촌 이내 인척의 결혼금지안 채택.
1958년 - 1월 1일, 민˙참의원 선거법안 국회통과. 13일, 진보당사건 발생. 위원장 조봉암 등, 간부 7명
간첩혐의로 구속(59.2.27. 대법에서 조봉암 사형 확정). 3월 3일, 북한, 김두봉(金枓奉) 숙청,
천리마(千里馬)운동 시작. 5월 2일, 4대민의원 선거 실시(자유당126, 민주당79, 무소속27석 등차지).
1959년 - 1월 5일,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으로 확산. 12월 13일, 정부, 재일교포 북송문제와 관련,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를 일본에 제의(일본은 거부). 14일, 교포북송 제1진 975명,
일본 니가타[新潟]를 출항, 청진(淸津) 도착.
1960년 - 2월 5일, 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장).
28일,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월 15일, 제5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4월 6일, 민주당˙민총˙공명선거위원회 등
3개단체가 합동, 3˙15부정선거 규탄 데모. 11일, 피살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인양 계기로
제2마산 데모 발생. 18일, 고려대학생 데모대, 정치깡패의 기습으로 부상. 19일, 서울시내
2만여 학생 총궐기, 4˙19혁명 발발. 경무대 어귀에서 경찰발포로 42명 희생. 서울 등 5개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 21일, 국무위원 일괄사표. 23일, 장면(張勉) 부통령 사임. 24일,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 26일, 데모군중 증가.
상오 10시경 10만에 달함.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27일, 대통령권한대행에 허정(許政) 외무장관.
28일, 이기붕일가 자살. 조용순(趙容淳) 대법원장 사표. 허정 과도내각 성립(5.1. 3˙15선거 무효확인).
5월 21일,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6.15. 국회 통과˙공포. 제2공화국 성립됨). 29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6월 17일, 곽상훈(郭尙勳) 국회의장, 새 헌법에 의거, 대통령권한을 대행. 7월 29일, 민˙참의원
선거실시 (민주당 대승). 8월 8일, 국회 양원 개원(참의원 의장 白樂濬, 민의원 의장 郭尙勳).
12일, 민˙참 합동회의, 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
1961년 - 2월 3일, 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채택. 5월 16일, 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
(의장 장도영˙부의장 박정희). 5월 18일,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
5월 20일 최고회의 내각 조직(내각수반에 장도영 의장 겸임). 7월 1일, 서울국제방송국(HLCA) 개국.
7월 2일, 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 소장 취임. 7월 3일, 반공법 공포. 7월 22일, 경제재건 5개년계획
발표. 8월 12일, 박정희 최고의장 8˙12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월 22일, 첫 학사자격 국가고시 실시.
1962년 - 1월 1일, 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1월 13일,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안.
3월 16일, 정치활동정화법 공포. 3월 19일,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3월 22일, 윤보선 대통령 사임. 3월 24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 대행.
5월 31일, 증권시장, 약 500억 환의 5월분 수도결제 불이행(증권파동). 6월 10일, 제2차 통화개혁
(10대 1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12월 17일,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가결.
12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절차 발표.
1963년 - 1월 1일, 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월 18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
수습 9개 방안 제시) 발표. 2월 21일, 민주공화당 창당. 3월 16일,박정희 최고회의의장 3˙16성명발표.
5월 14일, 민정당 창당, 대통령후보에 윤보선 지명. 7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일정
발표. 10월 10일, 서울가정법원 개원. 10월 15일,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당선). 11월 26일,
국회의원선거 실시. 12월 17일, 제3공화국 발족(새 헌법 발효). 박정희 제5대 대통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
1964년 - 1월 18일, 제주도 일원 첫 통금해제. 5월 2일, 민주˙자민˙국민당 통합 선언. 6월 3일, 6˙3사태 발생.
서울에 비상계엄령 선포. 8월 2일, 언론윤리위법안 국회 통과. 8월 17일, 한국기자협회 발족.
10월 31일, 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년 - 1월 8일, 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명 월남파병 의결. 3월 1일, 충북지역 야간 통금 해제.
3월 22일,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3월 24일, 비둘기부대 제1진 사이공 도착. 4월 17일,
한˙일협정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5월 3일, 민정˙민주 양당, 민중당 창당.
6월 22일, 한˙일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월 2일, 국무회의, 1개 전투사단 월남파병 의결.
7월 17일, 이승만 하와이서 사망, 23일 유해 환국.
1966년 - 2월 4일, 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월 1일, 국세청˙수산청 발족. 3월 30일, 신민당 창당.
6월 25일, 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월 9일, 한˙미행정협정 조인(67. 2. 9. 발효).
7월 29일, 국무회의,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표. 9월 5일, 백마부대 제1진 월남 상륙.
10월 31일, 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1월 1일, 한˙미정상회담, 2일 공동성명 발표.
1967년 - 1월 1일, 대구 서문시장에 큰불. 2월 7일 민중˙신한당 통합, 신민당 창당.
3월 22일,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서 위장귀순. 3월 30일,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칭. 5월 3일, 제6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 7.1. 취임).
6월 8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8월 9일, 제1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년 - 1월 21일, 1˙21사태,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입. 1월 23일,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월 7일, 경전선 개통. 4월 1일, 향토예비군 창설.
5월 27일, 제1차 한˙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월 15일, 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8월 15일, 정치정화법 시효 완료. 9월 9일,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월 14일, 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 실시 발표. 11월 21일,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11월 29일,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월 11일, 광화문 복원 준공.
1969년 - 3월 1일, 국토통일원 개원. 3월 3일, 정부, 가정의례준칙 발표. 3월 28일,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월 17일, 3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월 21일, 경인고속도로 개통.
9월 7일, 신민당, 대통령 탄핵소추결의안 국회에 제출. 9월 14일, 3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0월 17일,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 12월 24일, 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으로 지정.
1970년 - 4월 8일, 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명. 5월 16일, 서울대교 개통. 5월 18일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6월 2일, 특수층의 부정부패를 풍자한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 필자 김지하, 등 구속. 7월 1일, 우편번호제 실시. 7월 7일, 경부
고속도로 개통. 8월 15일, 서울 남산 제1호터널 개통. 10월 31일, 국토종합개발심의회,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정. 12월 23일, 정부종합청사 준공. 12월 30일, 호남고속도로
(대전~전주 간) 개통.
1971년 - 2월 9일,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3월 19일, 원자력발전소 기공(경남 동래). 3월 31일,
서울~부산 간 자동전화 개통. 4월 27일,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5월 25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7월 8일, 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7월 26일, 제8대 국회 개원. 9월 20일, 남북적, 이산가족찾기 예비회담 판문점서 첫 개최.
10월 15일, 서울시에 위수령 발동. 12월 9일, 파월 국군 첫 철수부대 부산항에 개선.
12월 27일, 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1972년 - 5월 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월 3일, 박정희 대통령,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8월 30일,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특별선언 발표.
10월 17일, 계엄사, 포고 제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월 21일, 개헌 위한
국민투표 실시. 22일, 유신헌법 확정. 12월 15일, 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2월 27일
유신헌법 공포(정치활동 재개).
1973년 - 2월 1일,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2월 27일, 제9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발족. 4월 1일, 주민세 실시. 4월 10일, 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보).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개원. 5월 27일, 소련, 한국인(유덕형)에 첫 입국허가.
중앙선 전철 개통(청량리~제천 간). 8월 8일, 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1974년 - 1월 8일, 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개헌논의 금지)˙2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1월 14일, 국민생활 안정을 위한 긴급조치 3호 선포. 8월 15일, 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8월15일,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개통
9월 6일, 반일데모대, 일본대사관 침입, 일장기 찢고 자동차 등 불태움. 11월 15일, 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11월 22일,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년 - 2월 12일,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월 1일, 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9월 15일, 조총련계 재일교포 700여명 추석성묘차 모국 방문. 9월 22일, 민방위대 발대식.
10월 14일, 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년 - 6월 18일, 경제기획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8월 1일, 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8월 18일,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10월 11일,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량 인양.
1977년 - 5월 24일, 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월 19일, 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호 발전기 점화. 7월 1일, 부가가치세제 실시.
11월 11일, 이리역 화약운송열차 폭발로 참사 발생.
1978년 - 1월 1일, 동력자원부 발족. 4월 14일, 세종문화회관 개관. 4월 21일, 대한항공 B707여객기,
소련 무르만스크 남쪽 200마일 지점에 강제 착륙.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7월 6일,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11월 7일, 한˙미연합사령부 발족. 12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1979년 - 6월 29일,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8월 11일, 경찰,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인 YH무역 여공 200여명 강제 해산. 10월 4일,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10월 18일, 정부, 학생시위로 부산에 비상계엄령 선포. 10월 20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10월 26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10˙26사태). 10월 27일, 전국(제주도 제외)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권한 대행에
최규하 국무총리 취임. 11월 3일, 국장. 11월 6일, 계엄사,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전모 발표.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10대 대통령에 최규하 선출. 12월 12일, 수사당국, 정승화 육참총장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관련혐의로 연행(12˙12사태).
1980년 - 2월 18일, 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월 17일,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5월 18일,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 5월 27일, 계엄군 개입으로 진압. 5월 31일,
정부,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임
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7월 31일, 계엄사 김대중 등 37명을 내란음모혐의로 기소,
9월 17일, 김대중 사형선고. 8월 2일 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8월 16일, 최규하 대통령 하야.
8월 27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월 5일, 문교부, 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학과별 최소 졸업 정원제 채택). 9월 29일, 정부,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 공고. 10월 22일,
제5공화국헌법 확정. 10월 27일, 입법회의, 국가보위입법회의법 의결. 11월 14일, 신문협회˙
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2월 1일, 한국방송공사(KBS), 컬러텔레비전 첫 방영.
1981년 - 1월 15일,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1월 17일, 민주한국당 창당(총재 류치송). 1월 24일,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2월 11일, 대통령선거인단 선거. 2월 25일, 전두환대통령, 제12대 대통령 당선.
3월 25일,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4월 20일, 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월 6일, 공정거래
위원회 발족. 9월 30일, 제84차 IOC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 개최 의결.
1982년 - 1월 1일, 문교부, 중고생 교복(83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월 5일, 정부, 야간통금
전면해제. 9월 24일, 서울국제무역박람회 개막.
1983년 - 1월 1일, 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월 30일,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만 189명 혈육 상봉. 9월 1일, 소련 전투기, 사할린 부근서 KAL기 격추(KAL기 사건). 10월 9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명 순국. 11월 13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일 1차 한˙미정상회담,
13일 2차 한˙미정상회담, 14일 공동성명 발표). 11월 29일,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코트
발표.
1984년 - 1월 10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4월 2일, 안기부, 78년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월 1일, 서울대공원 개원. 5월 3일, 교황 바오로 2세 방한(6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위의 시성식 집전).
1985년 - 2월 12일, 제12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5월 17일, 전국 80개 대학 3만 8000여명, 광주사태 진상규명
요구 시위. 6월 17일,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채택. 7월 19일, 부산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범어사~서면) 개통. 8월 17일, 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월 20일, 남북한 고향방문단 서울과 평양 도착
(남북한 각각 151명씩 3박 4일간 체류). 9월 21일,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9월 27일,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월 19일,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년 - 3월 13일,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3월 26일,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 8월 21일, 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월 20일,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월 5일). 10월 6일, (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1987년 - 1월 14일, 서울대생 '바ㄱ 종철' 군, 경찰고문으로 사망. 2월 4일, 과학기술원 윤한식˙손태항 박사팀,
최강력고분자 알로이섬유 세계 최초로 개발. 3월 6일, 서울시교위, 시위전력의 교육대학 졸업생
12명 교사임용 제외. 6월 10일, 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후보로 선출. 6월 24일,
전두환대통령˙김영삼 민주당총재 회담. 6월 25일, 경찰 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에 대한 연금해제.
7월 4일, 김영삼 민주당총재˙김대중 민추협공동의장, 시국대처방안 위한 6개항을 발표.
8월 5일, 노태우 대표 민정당 총재 취임. 8월 29일, 대전 오대양(주) 여사장 등 32명, 용인공장서
동반자살시체로 발견. 9월 27일,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 발족. 10월 27일,
헌법개정국민투표 실시(찬성 93.1`%). 10월 29일, 개헌안 확정 공포. 10월 30일, 신민주공화당 창당
(총재˙대통령후보 김종필). 11월 9일, 민주당, 임시정당대회에서 김영삼총재를 대통령후보로 추대.
11월 12일, 평화민주당 창당대회(총재˙대통령후보 김대중 선출). 12월 3일, 중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간) 개통. 12월 15일, 정부, 대한항공기 폭파용의자 하치야 마유미와 하치야
신이치(시체)를 바레인에서 서울로 이송. 12월 16일, 제13대 대통령선거 실시.
12월 18일, 중앙선관위 노태우 민정당후보 당선 공포.
1988년 - 1월 16일, 대한상의, 공산권 경제단체와는 처음으로 헝가리 상공회의소 경제협력확대를 위한
업무협조협정 체결. 2월 12일, 교통부, 금호그룹에 제2민간항공인가. 2월 22일, 보사부,
국내 첫 AIDS환자 발생 발표.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13대 대통령 취임.
새 헌법(전문과 본문 130조, 부칙 6조) 발효. 제6공화국 출범.
1988년 -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7월 19일, 정부, 월북작가의 해방전 문학작품에 대한
출판허용조치 발표. 9월 17일, 제24회 서울 올림픽경기대회 개막(10월 2일까지 16일간 160개
IOC회원국에서 1만 3626명의 선수단 참가). 10월 4일, 유고, 서울무역사무소 개설. 10월 15일,
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65개국 4,361명 참가). 11월 2일, 국회 5공비리 특위, 국회에서 일해재단
(현 세종연구소)관련 비리조사를 위한 1차 청문회 시작. 11월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 자신의 재임
중에 일어났던 비리를 시인˙사과하고 재산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기로 발표.
1989년 - 2월 1일, 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월 26일, 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4월 13일, 귀국, 공안합수부에 체포됨. 6월 30일, 북한의 중앙방송,
전대협대표 임수경(林秀卿)이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평양에 도착했다고 보도.
8월 31일, 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억달러). 12월 31일,
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5공특위˙광주특위 연석회의에 출석, 125개 항목에 걸친 서면질문에 관해
증언함.
1990년 - 1월 22일, 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당 통합을 선언.
2월 9일, 3당합당 의결, 당명 민주자유당(민자당). 2월 21일, 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처
개설을 발표. 5월 17일, 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월 5일,
노태우 대통령˙코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상회담. 한˙소간 조속한 수교에
합의하고 상호 교환방문하기로 합의. 6월 28일, 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9월 4일, 강영훈 총리˙연형묵 북한 총리, 서울에서 첫 총리회담 개최(~7일). 10월 31일, 정부,
새 민방텔레비전방송국의 지배주주로 (주)태영(泰榮)을 선정. 12월 13일, 노태우 대통령,
소련 방문(~17일). 14일 양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을 발표.
12월 15일, 국회, 지방자치법˙지방의회선거법˙지방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
1991년 - 1월 15일, 정부, 걸프전의 군의료진지원조사단 26명 사우디에 파병. 1월 22일, 한국의료지원단
현지로 출발. 1월 30일, 군수송단 파견. 3월 26일, 시˙군˙구의회의원선거 실시. 4월 19일
고르바초프 대통령, 소련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제주도) 방문. 6월 20일, 광역의회의원선거
실시. 9월 28일, 유엔총회, 남북한유엔가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12월 9일,
새 민방 서울방송(SBS) 개국.
1992년 - 1월 6일,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대북한 직접협상을 배제하고
한반도핵문제는 당사자끼리 해결해야 하며, 북한은 조기에 핵안전협정에 서명하고 국제사찰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2월 8일, 통일국민당 창당대회(대표최고위원 정주영). 2월 8일,
남북한, 두만강개발회담 실무접촉에서 나진˙선봉지구개발에 공동보조하기로 합의. 2월 18일,
정원식 총리 및 연형묵 북한총리, 남북고위급회담(평양)에서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등 합의서 본문을 교환˙발효. 2월 20일, 정원식 총리, 김일성 주석
예방. 3월 24일, 제14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4월 10일, 정부,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개방한다는
내용의 를 GATT에 제출. 5월 5일, 제7차 남북고위급회담 개최. 북한총리
등 대표단 90명 서울 도착. 6월 12일, 정부, <종합유선방송법시행령> 확정. 8월 9일, 황영조(黃永祚),
바로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8월 11일, 한국 최초의 과학위성 <우리별 1호> 발사 성공.
8월 24일, 한국 외무장관 및 중국 외교부장, 양국 정부의 외교관계 수립 등 6개항의 공동성명 발표.
8월 27일, 한국주재 중국대사관 개관. 9월 29일, 노태우 대통령, 중국방문 중 한˙중정상 회담결과
8개항의 공동언론발표문 발표. 10월 8일, 노태우 대통령, 중립내각개편 단행. 12월 18일, 제14대
대통령선거 실시. 12월 19일, 김영삼후보 당선. 김대중, 대통령선거패배와 관련 정계은퇴선언.
12월 22일, 한국, 베트남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3년 - 2월 9일, 정주영 국민당 대표, 대표최고위원직 사퇴하고 정계은퇴의사를 밝힘. 2월 25일,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취임. 3월 12일,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 3월 14일, 정부, 북한의 NPT
탈퇴해결 때까지 남북대화 중단. 3월 28일,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가 구포역 입구에서 지반붕괴로
전복 (68명 사망, 124명 중경상). 3월 29일, 박준규(朴浚圭) 국회의장, 부동산취득의혹과 관련
민자당 탈당. 4월 27일, 국회, 박준규의장 사퇴안을 가결하고 이만섭(李萬燮)의원을 새의장으로
선출. 4월 7일, 정부, 소말리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약 250명의 건설공병부대를 파견하기로
유엔측에 공시통보. 5월 6일 안기부, 작가 황석영(黃晳暎) 89년 3월 첫 밀입북한 이래 5차례
밀입북하여 김일성과 고려연방제 등을 논의했으며 대남공작지침에 따라 <범민련> 결성을 운영해
온 것으로 발표. 5월 20일, 국회,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 5월 29일, 정부, 종합유선방송(CATV)의
방송구역으로 서울 21구역을 비롯 전국 116개 구역을 고시. 6월 7일, 보사부, 약사관련 규칙개정으로
한˙약사 분쟁. 7월 17일, 대검, 율곡(栗谷)사업비리사건과 관련 이종구(李鍾九)˙이상훈(李相勳)
전국방장관과 한주석(韓周奭) 전공참총장 및 김철우(金鐵宇) 전해참총장 등 4명을 구속.
8월 6일, 대전엑스포 개막, 108개국˙33개 국제기구 참가. 8월 12일, 김영삼 대통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표. 8월 17일, 감사원, <평화의 댐> 및 <율곡사업>
특별감사와 관련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대통령에게 책임소재 규명을 위한 서면조사서 전달.
8월 20일,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로 확정. 8월 31일, 국회 <12˙12사태>
<율곡사업> <평화의 댐> 진상조사 착수. 9월 26일, <우리별 2호> 발사 성공(프랑스령 기아나).
10월 10일, 전북 부안(扶安) 앞바다에서 서해페리호(110`t급) 침목로 268명 이상 사망˙실종.
10월 15일, 전교조(全敎組), 해직교사의 복직문제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어 온 <전교조탈퇴> 조건을
수용 복직하기로 결정. `12월 13일, 한국 및 미국, 쌀시장개방안 타결.
1994년 - 1월 11일, 영남지역 악취수돗물 파동. 1월 24일, 서울지검, 장영자(張玲子)를 107억원을 편취하고
37억원의 당좌수표 중 5억원을 부도낸 혐의로 재구속. 2월22일,감사원,정부서 불우이웃돕기 등으로
모은 성금을 판공비˙시설비 등에 유용한 사실을 밝혀내 17개부처˙시도에 문책 통보. 4.22. 김영삼
대통령과 이희창(李會昌) 국무총리,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의 갈등으로 국무총리 사표 제출.
7월 9일, 평양방송, 김일성 사망(8일)을 보도. 7월 19일, 김일성 장례식. 7월 20일, (주)현대중공업
직장폐쇄, 전노대(全勞大) 개입. 8월 4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을 요구.
9월 5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태권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승인.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10월 24일, 안기부, 6˙25전쟁 때 포로로 잡혀 납북된 조창호(趙昌浩)가
43년 만에 북한을 탈출하여 표류 중 구출되었다고 발표. 12월 3일, 기획원-재무부, 건설부-교통부를
통합하는 등 정부조직개편.
1995년 - 1월 9일, 정부, 부동산실명제를 7월 1일부터 실시하기로 확정발표. 2월 21일, ‘자유민주연합(자민련)’
공식 출범(총재 김종필). 3월 1일, 케이블TV 27개채널 본방송 개시. 4월 28일, 대구지하철 공사장에서
가스폭발사고 발생. 5월 26일, 정부, 북한에 조건없이 곡물을 제공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 남북
대표회담개최 제의. 6월 17일, 남북대표들, 베이징[北京]에서 대북 쌀제공에 관한 첫 회담 개최.
6월 25일, 대북 지원을 위한 대북 지원 쌀 동해항 출발, 청진항 도착. 6월 27일, 지방선거 실시.
서울시장 조순(趙淳) 후보 당선. 6월 29일, 서울 삼풍백화점 2개동 중 북쪽건물 붕괴.
사망˙실종 506명, 부상 940여 명. 7월 18일, 김대중 아˙태재단이사장, 신당 창당 공식 선언.
7월 24일, 8만여 톤 원유를 적재한 유조선 시프린스호, 전남 여천군 해상에서 태풍으로 좌초 최악의
해양오염사고 발생. 8월 2일, 서석재(徐錫宰) 총무처장관, “전직 대통령 중 한 사람이 4,000여억원의
가명계좌를 가지고 있다.”고 밝힘. 전두환˙노태우 전대통령이 해명을 요구. 8월 5일, 무궁화위성,
한국 최초의 위성으로 미국 케이프 커내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 성공.
8월 11일, 교육부,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변경한다고발표.
8월18일,북한 평양방송,북한 대동강 일대 등에 폭우로 홍수가 발생했다고 보도.
9월 20일, 제1회 광주비엔날레 개막(9.20.~11.20). 10월 19일, 민주당
박계동(朴啓東)의원,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신한은행 서소문지점에 (주)우일양행 명의로 된 128억
2700여만원 예금조회표를 공개하며 ‘이는 노태우 전대통령의 퇴임 직전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에
예치됐던 4,000억원의 비자금을 100억원씩 40개 계좌로 분산 예치시킨 것 중 일부’라고 주장.
10월 27일, 노태우 전대통령, 자택 기자자회견에서 재임 중 통치자금을 조성, 대국민사과.
11월 8일,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11월 16일, 검찰, 노태우 전대통령이
재임기간에 30개 재벌기업체 대표들로부터 2,358억 9600만원의 뇌물을 받았다고 밝힘.
노태우 전대통령, 뇌물수수 혐의로 서울구치소에 구속수감. 12월 2일, 전두환 전대통령,
검찰의 ‘12˙12’와 ‘5˙18’재수사와 관련, 검찰의 소환요구 및 여타의 어떠한 조치에도 협조하지
않겠다고 연희동 자택에서 성명을 통해 거부의사를 밝히고 측근들과 합천(陜川)으로 낙향.
1995년 - 12월 3일, 검찰, 검찰소환을 거부한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집행. 안양교도소에 수감.
12월 5일, 민자당, 새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변경. 12월 6일, 불국사˙8만대장경˙종묘 등 3건의
문화재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록. 12월 19일, 국회, ‘12˙12’ 및 ‘5˙18’ 관련자 처벌을 위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안’ 의결. 12월 26일, 5월 30일 북한군에 나포된 우성호
선원 5명과 사망한 3명의 유해, 판문점을 통해 송환.
1996 경제 협력 기구(OECD) 가입
1997 외환 위기 발생
1998 김대중 정부 출범
1999 복제 송아지 '영롱이' 출생
2002 한일공동월드컵
출처 / 다음검색
11월 1일, 최남선(崔南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少年)》 창간.
11월 1일 - 1908, 최남선(아래사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 창간
우리나라 최초의 잡지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다. 1892년 1월 미국 감리교 선교사들이 발행한 월간 '코리안 리포지토리(The Korean Repository)'를 최초로 보기도 한다. 선교사였던 올링거(Ohlinger) 부부가 창간한 이 잡지는 영문으로 선교사들이 알아야만 하는 한국의 언어·역사·문화·시사적인 내용을 담았다. 속지(屬地)주의에 따를 경우 첫 잡지로 평가된다. 1899년 4월 59호로 폐간됐다.
속인(屬人)주의로 보면 첫 잡지는 1896년 2월 일본 도쿄에서 한인 유학생들의 모임인 대조선일본유학생친목회(大朝鮮日本留學生親睦會)가 창간한 '친목회 회보(親睦會 會報)'다. 3개월에 한 번씩 발행된 계간지로 1898년 4월까지 6호를 발행했다.
국내에서 우리나라 사람이 발행한 최초의 잡지는 1896년 11월 30일 창간된 '대죠선독립협회회보(大朝鮮獨立協會會報)'다. 월 2회 발행된 이 잡지는 같은 해 4월 7일 창간된 '독립신문'의 회보(會報) 형식이었다. 국판 20~24쪽으로 값은 10전이었다. 근대 문명과 과학 지식을 조명한 각종 논설을 실었고, 근대적인 과학 지식과 서구사상을 보급하려 했다. 독립협회가 해체됨에 따라 1897년 8월 15일자 18호까지 발행되고 폐간됐다.
기관지나 특정 계층을 상대로 한 잡지를 벗어난 근대 잡지의 효시는 1908년 11월 1일 육당(六堂) 최남선이 창간한 '소년(少年·사진)'이다. 최남선이 직접 인쇄 시설을 장만해 창간한 이 잡지는 60여쪽으로 값이 14전(錢)이었다. 최남선이 지은 '해에게서 소년에게'란 최초의 신체시와 나이아가라 폭포의 대형 사진도 실렸다. 창간호 독자는 6명이었지만 아동과 어른을 모두 대상으로 하는 종합지 성격의 개화기 계몽 잡지였다. 그래서 한국잡지협회는 '소년'의 창간일인 11월 1일을 '잡지의 날'로 제정해 매년 기념하고 있다.
그러나 '가뎡(가정)잡지'라는 여성 월간지가 그보다 2년 앞선 1906년 6월 서울 상동교회 청년학원에서 32쪽으로 발간됐다. 주시경·양기탁 등이 필진이었고 해외 특파원도 있었다. 그래서 이 잡지를 최초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순 한글로 1907년 1월 25일까지 7권을 냈다.
2010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간되고 있는 잡지의 종수는 4909종으로 월간 2861종·격월간 518종·계간 1094종·연 2회간 396종·연간 40종 이다. / - 2010.11.01. 조선일보, 곽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