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정거장, 국제우주정거장 (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
우주정거장
사람이 우주공간으로 진출하기 위해 지구에서부터 우주정거장까지 사람이나 기자재를 우주왕복선으로 옮긴 뒤 이곳에서 다시 정비하여 본격적인 우주항행을 하게 되므로, 우주정거장은 우주 진출의 전초기지(前哨基地)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우주정거장은 주로 사람이 우주공간에 적응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왔으며
최초의 우주정거장은 러시아의 살류트(Salyut)로서 1971년 4월에 발사되어 궤도에 돌고 있는 소유즈 10호와 결합하여 무게 26t, 길이 23m의 우주정거장을 이루었다. 이곳에는 총 22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1,600회의 각종 실험과 관찰을 하여 인간이 장기적으로 우주공간에 적응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의 최초 우주정거장은 스카이램(Skylab)로서 1973년 5월에 발사되었으며, 초기에 태양전지판에 이상이 생겨 승무원이 우주공간에서 수리작업을 하여 제기능을 회복하였다. 스카이랩은 무중량상태에서 인간활동에 대한 실험과 지구와 우주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한 후 1980년 7월 지구대기권에 돌입되어 분해된 후 인도양으로 가라앉았다.
2세대 우주정거장으로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Mir)가 1986년 2월에 발사되었다. 미르는 모두 6개의 접속장치를 가지고 있고 3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총길이 13m에 지름 4.2m, 총무게 21t의 대형 우주정거장으로 유리 로마넨코가 326일간을 체류하는 기록을 세움으로써 인간이 우주공간에서 영구히 거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제우주정거장 (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
국제우주정거장은(ISS)은 2008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차세대 유인 우주정거장이다.
우주정거장이란 우주상공 일정궤도를 지속적으로 돌며 여러 사람이 장기간 머물 수 있는 우주기지. 국제우주정거장(ISS)은 그 전에 미국이 만든 “스카이랩”이나 옛 소련이 쏘아올린 “미르”와 달리 미국과 유럽우주기구 산하 11개국, 일본, 캐나다, 브라질, 러시아 등 16개국이 참여한 다국적 프로젝트로 총 지휘는 미항공우주국(NASA)이 맡고 있다.
프로젝트명은 "알파" 이며 지난 98년 말 작업에 착수, 200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3개 모듈이 발사었다.
99년 11월20일 우주정거장의 첫 시설인 "자리야"(러시아어로 '해돋이'란 뜻)가 러시아의 프로톤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자리야“는 태양전지판과 통신안테나 등을 실어 우주정거장을 짓는데 쓰일 연료탱크와 지구와의 교신 역할을 맡고 있다.
12월4일에는 두번째 시설물인 "유니티"(협력)가 미국 우주왕복선인 “엔데버호”에 실려 우주로 향했다.
“유니티”는 모두 6개 모듈로 구성돼 앞으로 쏘아 올려질 각종 부품들을 연결하는 데 쓰인다.
2000년 7월25일 우주정거장(ISS) 핵심 모듈인 "즈베즈다"가 발사되어 앞서 발사된 자리야 및 유니티와 성공적으로 도킹했다.
'즈베즈다'는 우주정거장 승무원의 주거공간이면서, 우주정거장의 모든 명령을 내리고, 전자장치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규모와 임무
완성된 ISS는 총 무게 460t, 부피 1200㎥, 길이 108m, 폭 74m, 태양열 전지판 120m에 달해 지구상에서는 달과 금성 다음으로 밝은 별로 보이게 된다.
총 43개 모듈로 구성되는 우주정거장은 거주동, 실험동, 보급동으로 나뉘어 6∼7명의 우주인들이 상주하면서 각종 우주실험과 관측을 수행하게 된다.
우주인이 활동 가능한 실내 공간만 보잉 747기 실내의 2배. 건설후 20년간 사용될 국제우주정거장 안에서는 평균 7명의 우주인이 지상 4백㎞의 우주에 장기체류하면서 장기 우주체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천체탐사 등 무중력 상태를 이용한 다양한 실험 및 관측이 펼쳐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