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1 - F 장조 |
b2 - Bb장조 |
b3 - Eb 장조 |
b4 - Ab장조 |
b5 - Db장조 |
b6 - Gb 장조 |
b7 - Cb장조 |
#1 - G 장조 |
#2 - D 장조 |
#3 - A 장조 |
#4 - E 장조 |
#5 - B 장조 |
#6 - F#장조 |
#7 - C#장조 |
無 - C 장조 |
(그림 1)
전에는 다장조, 바장조, 사장조, 내림 마장조 등으로 배웠었지만, 지금은 찬송가
반주뿐만 아니라 기타(Guitar) 반주와 이조(移調)를 위해서라도 위의 표처럼 Bb장조, G
장조, A 장조 등으로 필히 암기하길 바란다.
제2장 기본 3 코드 (Triad & 7th Chord)의 이해
이제 조(調, Key)를 쉽게 구별하였으면 기본 3 코드의 형식을 잘 이해하여야만 찬
송가 반주를 잘 할 수 있다. 이 기본 3 코드는 다시 3화음(Triad)과 7화음(7th Chord)로
구분된다. 여기서 『…화음』이란 음의 높이가 다른 3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음들의 구
성을 일컫는 말이다. 이것을 영어로는 Chord(코드)라고 한다. 화음은 그 코드를 이루는
구성의 음정 관계에 따라 장화음(Major Chords), 단화음(Minor Chords), 증화음
(Augmented Chords), 감화음(Diminished Chords) 등이 있으며, 어떤 기본 음을 기초로
해서 그 위에 3도 음정과 또 다시 3도 음정을 쌓아올린 3화음을 비롯하여 7화음과 9화
음, 11화음, 13화음이 있다.
각 장조별 기본 3 코드(Code)의 형식은 『그림 2』와 같다.
조(調, Key)
|
기 본 3 코 드 (Triad & 7th Chord) | ||
I |
IV |
V | |
無 - C 장조 |
C |
F |
G7 |
#7 - C#장조 |
C# |
F# |
G#7 |
b5 - Db장조 |
Db |
Gb |
Ab7 |
#2 - D 장조 |
D |
G |
A7 |
b3 - Eb장조 |
Eb |
Ab |
Bb7 |
#4 - E 장조 |
E |
A |
B7 |
b1 - F 장조 |
F |
Bb |
C7 |
#6 - F#장조 |
F# |
B |
C#7 |
b6 - Gb장조 |
Gb |
Cb |
D#7 |
#1 - G 장조 |
G |
C |
D7 |
b4 - Ab장조 |
Ab |
Db |
Eb7 |
#3 - A 장조 |
A |
D |
E7 |
b2 - Bb 장조 |
Bb |
Eb |
F7 |
#5 - B장조 |
B |
E |
F#7 |
b7 - Cb장조 |
Cb |
Fb |
Gb7 |
(그림 2)
기본 3 코드의 형식을 『그림 3』와 같이 정리해 보자.
조(調, Key) |
기 본 3 코 드 (Triad & 7th Chord) | ||
I |
IV |
V | |
C 장조 |
C (도 미 솔) |
F (파 라 도) |
G7 (솔 시 레 파) |
C#장조 |
C#(도# 미# 솔#) |
F#(파# 라# 도#) |
G#7(솔# 시# 레# 파#) |
Db장조 |
Db (레b 파 라b) |
Gb(솔b 시b 레b) |
Ab7 (라b 도 미b 솔b) |
D 장조 |
D (레 파# 라) |
G (솔 시 레) |
A7 (라 도# 미 솔) |
Eb장조 |
Eb (미b 솔 시b) |
Ab (라b 도 미b) |
Bb7 (시b 레 파 라b) |
E 장조 |
E (미 솔# 시) |
A (라 도# 미) |
B7 (시 레# 파# 라) |
F 장조 |
F (파 라 도) |
Bb (시b 레 파) |
C7 (도 미 솔 시b) |
F#장조 |
F# (파# 라# 도#) |
B (시 레# 파#) |
C#7 (도# 미# 솔# 시) |
Gb장조 |
Gb (솔b 시b 레b) |
Cb (도b 미b 솔b) |
Db7 (레b 파 라b 도b) |
G 장조 |
G (솔 시 레) |
C (도 미 솔) |
D7 (레 파# 라 도) |
Ab장조 |
Ab (라b 도 미b) |
Db (레b 파 라b) |
Eb7 (미b 솔 시b 레b) |
A 장조 |
A (라 도# 미) |
D (레 파# 라) |
E7 (미 솔# 시 레) |
Bb장조 |
Bb (시b 레 파) |
Eb (미b 솔 시b) |
F7 (파 라 도 미b) |
B 장조 |
B (시 레# 파#) |
E (미 솔# 시) |
F#7 (파# 라# 도# 미) |
Cb장조 |
Cb (도b 미b 솔b) |
Fb (파b 라b 도b) |
Gb7 (솔b 시b 레b 파b) |
이제 「박내훈식 찬송가 반주법」을 쉽게 배우는 前 단계로 들어가 보도록 하자.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그림 4』와 같이 기본 3 코드 형식을 배열해 보자
C 장조 |
C |
F |
G7 |
F 장조 |
F |
Bb |
C7 |
Bb장조 |
Bb |
Eb |
F7 |
Eb장조 |
Eb |
Ab |
Bb7 |
Ab장조 |
Ab |
Db |
Eb7 |
Db장조 |
Db |
Gb |
Ab7 |
Gb장조 |
Gb |
Cb |
Db7 |
Cb장조 |
Cb |
Fb |
Gb7 |
C#장조 |
C# |
F# |
G#7 |
F#장조 |
F# |
B |
C#7 |
B 장조 |
B |
E |
F7 |
E 장조 |
E |
A |
B7 |
A 장조 |
A |
D |
E7 |
D 장조 |
D |
G |
A7 |
G 장조 |
G |
C |
D7 |
C 장조 |
C |
F |
G7 |
☞ 위의 표는 좌우로 형제간, 즉 왼쪽을 「야곱』, 오른쪽을 「에서」로 보면 된다.
이 배열은 기존에 볼 수 없었던 획기적인 배열이라고 자신한다. 반드시 이 배열을
따라서 학습해야만 많은 수고를 덜 수 있고, 짧은 기간에 능숙한 찬송가 반주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피아노 반주법이 훌륭하긴 하지만 체계적인 정리가 덜 되어 있었으
나, 본 「박내훈식 찬송가 반주법」은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고 중복되는 부분을 빼버리
되, 꼭 필요한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학
습이 유능한 찬송가 반주자를 배출함은 물론, 이조(移調)와 기타(Guitar)까지도 손쉽게
할 수 있는 그야말로 일석삼조(一石三鳥)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좀더
이해를 돕기 위해 한가지 예(例)를 들어보자.
F장조에서 기본 3 코드(Code)는 F , Bb , C7이요,
Bb 장조의 기본 3 코드(Code)는 Bb, Eb, F7이고,
Eb장조의 기본 3 코드(Code)는 Eb, Ab, Bb7이다.
요컨대 F장조에서 Bb장조로 넘어갈 때 공통되는 코드(Code)는 F ≒ F72), Bb = Bb, Bb장조에서
Eb장조로 넘어갈 때에도 Bb ≒ Bb7, Eb = Eb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첫 주만 기본 코드(Code) 3개를, 다음 주부터는 중복
된 기본 코드 2개를 뺀 나머지 코드(Code) 1개만 새로 배우면 된다는 말이다. 결국 17개
코드(Code)만 익히면 b과 #이 붙은 현재 찬송가의 장조(長調)는 거의 다 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 밖의 단조(短調)나 색다른 코드(Code)들은 피아노 혹은 키보드 반주
법에 대한 책들을 통하여 본인 스스로가 보충하길 바란다.
제4장 기본 3 코드(Code)의 활용
피아노 반주를 할 때에는 대부분 기본 3 코드를 활용하게 되는데, 이 기본 3 코드
에는 3화음(×2개)과 7화음(×1개)으로 세분(細分)된다. 본 「박내훈식 찬송가 반주법」
이론에서는 「기본형」(밑자리)을, 실습에서는 찬송가 화음 구성에 따라 「밑자리」와
「자리바꿈꼴」을 혼합하여 실었다.
『자리바꿈꼴』이란 "겹쳐 쌓은 음의 배열을 그 기능과 성격은 전혀 변하지 않게하
면서도 반주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찬송가 반주를 할 때 기본형만 알
아도 반주법을 배우는데 편리한 점이 없진 않지만, 그것만으로는 완벽하지 못하다. 따라
서 「자리바꿈꼴」을 잘 활용한다면 한층 더 멋진 반주를 할 수 있을 것이다. C코드를
예로 들면 '도미솔'은 「밑자리」, '미솔도'는 「첫째자리바꿈꼴」, '솔도미'는 「둘째
자리바꿈꼴」이다. 이것을 암기 또는 이해하기 쉽도록 「자리바꿈꼴」을 아래의 표와 같
이 본인 나름대로 공식화하여 보았다.
구 분 |
C |
C7 | ||
밑 자 리 |
도 |
미 |
솔 |
시b |
○○자리바꿈꼴 |
0(밑자리) |
1(첫째자리바꿈꼴) |
2(둘째자리바꿈꼴) |
3(셋째자리바꿈꼴) |
위 표의 숫자를 유의하면서 C코드에서 도미솔로 시작하면 도 아래의 숫자 0, 즉 「밑자리」,
미솔도로 시작하면 미 아래의 숫자 ① 즉 「첫째자리바꿈꼴」, 솔도미로 시작하면 솔
아래의 숫자 ② 즉 「둘째자리바꿈꼴」이 된다.
마찬가지로 C7코드에서도 도미솔시b로 시작하면 도 아래의 숫자 0, 즉 「밑자리」, 미솔시b도
로 시작하면 미아래의 숫자 ①, 즉 「첫째자리바꿈꼴」, 솔시b도미로 시작하면 솔아래의 숫자
②, 즉 「둘째자리바꿈꼴」, 시b도미솔로 시작하면 시b아래의 숫자 ③, 즉 「셋째자리바꿈꼴
」 이 된다. 그러나 제5음인 솔음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이 C코드와는 약간 다르다
제5장 일러두기
원칙적으로 각 장조의 표시(#&b)와 박자 표시를 해야 하는 것이 정상이지만 「박내
훈식 찬송가 반주법」에서는 편의상 생략한다. 피아노 그림에 있어서 O◇△□의 숫자는
손가락 번호를, ◎의 숫자는 왼손과 오른손이 중복되는 표시를, 단조(短調)에서 * 표시
는 한 곡(曲) 안에 장조와 단조가 혼합되어 있음을, (L)과 (R)은 각각 왼손과 오른손을
사용한다는 표시이다. 또한 기본 3 코드 중에서 Ⅰ, Ⅳ의 [ ] 표시는 한 옥타브 위의 음
을 나타낸다(아래 피아노 건반 그림 참조). 참고로 제2주 F장조에서 ( ) 안의 (파라도)
는 3도주법 중 밑자리를, ( ) + [ ], 즉 (파라도)[파]는 옥타브주법을 나타낸다. 옥타브
주법 중 (라)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생략된다. 따라서 '옥타브주법'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파도파'가 된다.
F (파 라 도) [파]
|
|
|
|
|
시 |
|
|
|
|
|
|
|
|
|
|
|
시 |
|
|
|
|
|
| ||||||||||
(파) |
솔 |
(라) |
|
(도) |
레 |
미 |
[파] |
솔 |
라 |
|
도 |
레 |
미 |
1 여기에서 『두 가지』 중 하나는 찬송가 악보를 보면서 직접 코드화하는 그림이요, 다른 하나는 즉각 코
드화한 것을 피아노에 맞추어서 찬송가를 반주할 수 있도록 하는 반주법에 대한 그림이다
2 C코드와 C7코드를 비교하여 例를 들어보면, C코드가 주로 나오고 C7코드는 경과음 혹은 양쪽 코드를 부드
럽게 연결해 주는 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출현하는 횟수도 그리 많지 않다. 이 C코드와 C7코드는 찬송
가 반주법이 서로 흡사하기 때문에 본 찬송가 반주법에서는 편의상 3화음과 7화음을 중복된 것으로 처리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