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공급 지표는 계속 나빠져
전용면적 84 제곱미터 (공급면적 기준 34평형) 분양가가 거의 13억원에 달해 '고분양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경기 광명의 아파트가 초기 계약에서 90% 이상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일부 단지에선 미분양이 발생할 정도로 침체됐던 서울 분양 시장에서도 평균 청약 경쟁률이 50대1을 넘어섰다. 주택 수요의 가늠자인 분양 시장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어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광명센트럴아이파크 미계약분 27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이 4일 진행된다. 무순위 청약이란 1,2순위 청약 및 예비당첨자 (전체 물량의 5배수)까지 계약을 마치고도 남은 물량에 대해 주택 보유 여부나 거주지 제한 없이 청약 신청을 받는 절차다.
광명센트럴아이파크는 전용 84제곱미터 분양가 최고 12억 7000만원에 달해 고분양가 논란이 있었던 곳이다. 지난달 1순위 청약에서 경쟁률 18.9대1을 기록했지만 분양가 때문에 초기 계약률은 높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일반 분양 물량 425 가구 중 93%가 초기에 팔린 것이다.
청약 시장 분위기와 달리 주택 공급 관련 지표는 악화 되고 있어 시장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전국 주택 착공 물량은 10만 229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1% 줄었다. 착공 물량이 줄어들면 2~3년 후 입주 물량에 영향을 미친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아파트값에 대한 불안 심리가 커지면서 일부 지역에선 과열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조선경제 23년 9월 4일 월요일 정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