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19회 유교와 불교의 회통 2 – 8
제가 탄허사상을 얘기할 때 탄허스님이 중용에 대해서,
中과, 和!
희로애락이 일어나지 않은 미발의 中과,
한 생각 일어났다가 다시 근본자리로 돌이키는 조화로울 和! ←이 두
가지에 대한 아주 특별한 해석을 하시는 것을 보고, 제가 탄허스님한테
감명을 받고 공부를 시작하게 됐다고 얘기했는데요.
탄허스님이 “중용”이라는 책을 굉장히 중시하셨거든요.
↓여기 한 번 보시겠습니다. 뭐라고 설명했느냐?
[제일 道를 잘 밝힌 것이 유교학으로서는 “중용”이올시다.]
중용이 근본 도를 밝히는 것으로는 가장 잘 되어있답니다.
그래서 논어ㆍ맹자ㆍ대학ㆍ중용가운데 대학을 제일 먼저보고, 논어ㆍ
맹자보고, 마지막에 중용을 보는 것이지요.
도에 대한 담론이 잘 되어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대학은 체계적인 학통. 16년 동안 공부하는 과목을 얘기한
것이고, 중용은 실제로 도 닦는 법을 얘기한 것입니다.]
未發(미발)과 已發(이발)이라고 하는 것. 마음을 선정삼매와 위빠사나를
어떻게 할 것이냐? 유교적인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중화”였다고 말씀드
렸지요?
[왜? 진리를 中으로 대명사를 썼느냐? 그것이 묘한 것이올시다.]
우리도, 불교도 중도가 가장 중요하듯이 유교에서도 가운데 中자가 가장
중요한 말이거든요.
[진리의 대명사를 中이라고 표현한 것은, 和를 겸하지 않으면,
조화를 겸하지 않으면 眞中. 참다운 中이 못되어 희로애락이 발하
기 전의 상태를 중. 희로애락이 발해서 도 로 합하는 것을 和라고
하겠는데,]
中만 가지고는 안 됩니다.
마음을 어떻게 안 일어나게만 하고 살 수 없지 않습니까?
마음이 일어났을 때, 한 생각 일어났을 때의 그 생각. 화도 나고ㆍ슬프
기도 하고ㆍ기쁘기도 하고ㆍ우리의 감정은 늘 일어납니다.
일어난 감정을 어떻게 일어나기 이 전 자리로 잘 돌려놓느냐?
마인드 콘트롤을 어떻게 잘 할거냐? ←이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和가 중
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때의 和라고 하는 것은 體을 겸한 用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것이 탄허스님의 아주 장점이고, 아주 독창적인 멋있는 부분입니
다. 和라고 하는 것이 그냥 和가 아니라,
中이라고 하는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갖추고 있는 和라는 겁니다.
즉 근본의 體를 갖춘 用이라는 것이지요.
한 생각 일어났을 때 그 일어나는 생각을 체와 상관없이 마구잡이로 쓰
는 것이 아니라, 한 생각 일어나지 않았던 그 상태를 가지고서 용으로
쓴다는 것입니다.
[體가 아닌 用은 和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體用이라는 말과 中和라는 말은 서로 좀 다릅니다.
體用이라 할 때는 法格化(법격화)시킨 말이고,]
말하자면 진리로 추상화시킨 것이지요.
구체적인 내용의 담론들을 좀 더 보편화 시켜서 추상화시킨 말이
“體用” 이라는 뜻입니다.
그것을 탄허스님은 “法格化”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中和라고 할 때는 인격화시킨 말입니다.]
“중화”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감정.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누구나 가지
고 있는 정감의 문제까지 다루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인간적인 말이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것을 법격화시킨 말이라고 그럽니다.
體用이라는 말은 인간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 전체가 다 이
體用의 범주에 들어올 수 있겠지요. 그래서
[공부를 해서 마음의 본체를 아는 것이 中和라는 말인데,
유교의 中和라는 말은 매우 중요한 용어지요.
이 中和의 경지를 불교에서는 大機(대기:마음의 본체)ㆍ
大用(대용:본체를 닦아서 씀)이라고 합니다.]
“중화를 대기와 대용이라고 한다. 체와 용이라고 한다.” ←이렇게 설명
하고 계시지 않습니까? 이런 것을 보면 탄허스님은 어떤 사상을 접하더
라도 항상 불교에 근본을 딱 놓고, 불교의 근본에 맞추어서 정확하게 해
석을 하고 계신다는 것을 여러분 느껴지실 겁니다.
그래서 탄허스님의 마음을 우리가 조금 추적을 해본다면,
‘유교라든지ㆍ노장이라든지ㆍ앞으로 나올 기독교라든지 이런 부분들까
지 왜 말씀을 하셨느냐?’
결국은 이 좋은 불교를, ‘불교에 위대한 진리가 있으니까 그것을 이해하
게 해주는 방편으로써 아주 다양하게 제시를 해주셨다.’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다음에 또 중요한 것이 詩經(시경)입니다.
첫댓글 _()()()_
고맙습니다._()()()_
고맙습니다.
나무 대방광 불 화엄경
_()()()_
_()()()_
고맙습니다. _()()()_
中和의 경지를 불교에서는 大機ㆍ大用이라고 합니다...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 _()()()_
유교 : 中和. 未發과 已發. [불교에서는 大機와 大用. 즉 體와 用이다.]
불교 : 中用. 사마타와 위빠사나.
고맙습니다.
_()()()_
文光스님 - 韓國學(呑虛思想) - 19-2-8. 儒敎와 佛敎의 會通.
고맙습니다_()()()_
광범위하게 살펴 주시는 가르침!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