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항에 해군기지 대신 고등어선망 유치
주민숙원 물양장 건립 확정, 고용창출 등 경제효과 막대
지역경제 획기적 발전계기...해변매립 환경파괴 논란도
안덕면 화순항이 제주 해군기지 대신 연간 3600억원의 막대한 경제효과가 기대되는 고등어 대형선망 물양장을 유치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물양장 건립과정에서 해변 모래밭 일대에 대규모 매립작업이 불가피함으로써 환경파괴 논란도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는 10년마다 수립하는 항만관련 최상위 국가계획인 제3차 항만기본계획(2011~2020년)을 7월 25일 확정 고시했다.
이번 항만기본계획에서 연안항인 화순항의 경우 8만2700㎡ 규모의 부지에 642억5500만원을 투입해 해경부두(380m), 물양장(200m) 등 접안시설과 방파호안(340m), 방파제(310m), 이안제(400m) 등 외곽시설을 갖춘 항만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해경부두는 제주연안 및 공해상의 해상사고, 해상범죄 등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신설되는 것으로, 화순항이 국가관리항으로 지정되는 계기가 마련된다.
또한 항내 정온 확보 및 모래유입에 따른 매몰방지를 위해 방파호안과 방파제, 이안제 등이 축조된다.
특히 물양장 건설은 그동안 안덕면 주민들의 숙원사업으로, 고등어 대형선망 어선의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어서 지역경제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끼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당초 화순항 물양장은 150m 규모로 시설 계획이 잡혔으나 주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200m 규모로 확대 시설된다.
고등어 대형선망 어선 유치사업은 지난해 6․2 지방선거 과정에서 당시 안덕면 출신 구성지 도의원 후보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이후 현명관 도지사 후보도 정식 공약으로 채택한 바 있다.
현재 마라도 남방 해역에서 연간 30만 톤 정도의 고등어가 잡히고 있으나, 제주에는 물양장 시설이 없어 1%만 자체에서 가공 처리할 뿐 나머지 대부분은 부산에 적을 둔 고등어 선망에 의해 처리되면서 전국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화순항에 물양장 건설을 위해 노력해 온 구성지 도의원은 항만기본계획이 확정된 직후 “앞으로 고등어 대형선망만 유치하게 되면 지역의 산업구조가 재편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획기적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반색했다.
구성지 의원에 따르면, 화순항에 물양장이 갖춰지면 현재 부산 선적의 고등어 선망이 제주에서 직접 가공 처리하면서 선단 1통(6척)당 연간 10~15억원의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어 제주에 내려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
또한 부산 고등어 선단 25통(150척)이 제주에서 작업한다면, 최소 1500명의 고용창출, 유통․유류․냉동 등 관련사업 유치 등을 포함해 연간 경제효과가 3500억원대에 달해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산업(연간 6000억원대)에 버금가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구 의원은 “화순항에 물양장이 갖춰지면 고등어 수출전진기지로도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조속한 국비확보 노력이 요구된다”면서 “부산선망조합 소속 2000여명의 조합원 가운데 700명 정도가 제주에 내려올 의사를 밝혀, 인구유입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에 확정된 화순항 기본계획에는 각종 사업추진을 위해 금모래 해변(화순해수욕장) 일대 공유수면 11만8827㎡를 매립한다는 방침이어서, 매립 준설작업에 따른 환경파괴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25일 안덕면주민센터에서 열린 화순항 기본계획 사전환경성 검토보고서 주민설명회에서 지역 주민과 관광 전문가들은 물양장, 해경부두 등 건립 시 매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준설토 처리대책을 집중 추궁하면서 환경가치를 살린 개발 필요성을 요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