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수
-*고운 우리말 널리 알리고 씁시다. 4
46. 오지(奧地, おくち) -> 두메, 산골
47. 육교(陸橋, りっきょう)> 구름다리 (얼마나 아름다운 낱말인가?)
48. 이서(裏書, うらがき) -> 뒷보증, 배서
49. 이조(李朝, りちよう) -> 조선(일본이 한국을 멸시하는 의미로
이씨(李氏)의 조선(朝鮮)이라는 뜻의 '이조'라는 말을 쓰도록 함.
고종의왕비인 "명성황후"를 일본제국이 '민비'로
50. 인상(引上, ひきあげ) -> 올림
51. 입구(入口, いりぐち) -> 들머리("들어가는 구멍"이라는 표현은
우리정서에 맞지 않는다. 오히려 "들어가는 머리"라는 말은 얼마나
정겨운가?)
52. 입장(立場, たちば) -> 처지, 태도, 조건
53. 잔고(殘高, ざんだか) -> 나머지, 잔액
54. 전향적(前向的, まえむきてき) -> 적극적, 발전적, 진취적
55. 절취선(切取線, きりとり線) -> 자르는 선
56. 조견표(早見表, はやみひよう) -> 보기표, 환산표
57. 지분(持分, もちぶん) -> 몫
58. 차출(差出, さしだし) -> 뽑아냄
59. 천정(天井, てんじよう) -> 천장(天障
60. 체념(諦念, ていねん) -> 단념, 포기
61. 촌지(寸志, すんし) -> 돈 봉투, 조그만 성의(
62. 추월(追越, おいこし) -> 앞지르기
63. 축제(祝祭, まつり) -> 잔치, 모꼬지, 축전
64. 출산(出産, しゅつさん) -> 해산
65. 할증료(割增料, わりましりょう) -> 웃돈
66. 회람(回覽, かいらん) -> 돌려보기
일본말이 별것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생활 속에의 작은 것에서부터 일제 찌꺼기를 청산하는 것이야말로 외국의 억압에서 벗어나 진정한 독립을 이루는 길일 것이다.
고운 우리말 두루 널리 알리고, 쓰도록 하십시다.
해정서예펜글씨학원카페 http://cafe.daum.net/jg7787
한국도덕운동협회 인천지회 http://cafe.daum.net/kmmA
해정 박종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