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산 모바일 제품은 요르단 전체 시장에서 약 40% 차지 -
- 모바일페이·모바일광고·스마트폰 액세서리·스마트폰 원격진료 등 시장전망 유망 -
□ 요르단 내 모바일&스마트폰 가입자 현황

자료원: BMI Jordan Telecommunications Report 2017
ㅇ BMI 보고서에 따르면, 요르단 내 모바일 및 스마트폰 시장은 2021년까지 지속성장할 전망임. 모바일폰 가입자들의 스마트폰 신규 가입자로 전환이 증가하면서, 2016년 700만 명을 돌파했음. 2021년까지 스마트폰 가입자는 총 946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연평균 7%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스마트폰 시장동향 및 특징
ㅇ 2015년 최초 시행된 4G 서비스로 요르단에서는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 Pew research center의 조사에 따르면, 요르단 인구의 51%가 스마트폰을 사용함. 이는 국민 1인당 GDP(5680달러) 대비 굉장히 높은 수준임. 또한 스마트폰 보유자의 약 50%는 15~24세로 주로 젊은 층으로 구성돼 있어 향후 시장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아랍 컨설팅 그룹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약 78%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사용자는 주로 SNS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됨.
ㅇ 또한 요르단에서는 중고 스마트폰 시장도 활성화돼 있어 중저가의 제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음.
요르단 내 중고 스마트폰 거래 홈페이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5개국 수입동향(HS Code 8517)
(단위: 백만 달러, %)
순 위 | 국가 | 수입액 | 비중 |
2013 | 2014 | 2015 | 2013 | 2014 | 2015 |
1 | 중국 | 401.65 | 13.98 | 551.55 | 31.02 | 45.29 | 47.79 |
2 | 이탈리아 | 229.78 | 34.17 | 42.63 | 17.74 | 3.74 | 3.69 |
3 | 베트남 | 70.70 | 84.33 | 136.74 | 5.46 | 9.23 | 11.85 |
4 | 한국 | 61.86 | 43.56 | 32.42 | 4.78 | 4.77 | 2.81 |
5 | 독일 | 41.40 | 31.38 | 38.71 | 3.20 | 3.43 | 3.35 |
6 | 미국 | 27.74 | 24.20 | 33.21 | 2.14 | 2.65 | 2.88 |
7 | 이집트 | 18.31 | 35.02 | 31.68 | 1.41 | 3.83 | 2.75 |
8 | 터키 | 24.46 | 23.01 | 32.40 | 1.89 | 2.52 | 2.81 |
9 | 인도 | 37.40 | 13.85 | 22.02 | 2.89 | 1.52 | 1.91 |
10 | 스페인 | 6.41 | 9.28 | 36.49 | 0.50 | 1.01 | 3.16 |
자료원: 요르단 통계청(현재, 2015년 통계가 가장 최신 자료임. 순위는 2013~2015년 누적 수입액)
ㅇ 중국은 대요르단 수출국 중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음. 중국 스마트폰 기업인 레노버에 따르면, 매년 요르단으로 약 250만 대의 휴대폰이 수입되고 있다고 함. 인터넷 통신망 4G 인프라 서비스 구축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ㅇ 한국이 대요르단 수출국 중 4위를 차지하나 최근 3년간 수출액은 계속 줄어듦. 다만, 한국 기업의 주요 해외투자 지역인 베트남에서의 수출액이 2013년 이래 급증해 현재는 대요르단 수출국 중 3위를 차지하고 있음.
- 베트남의 대요르단 수출액 증가는 각각 전년대비 2014년 19.2%, 2015년 62.1%를 기록함.
- 현지 한국 기업 법인에 따르면, 2017년 현재 한국산 스마트폰은 요르단 시장 내 40%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 애플(22.6%), 화웨이(26.8%), 레노버(3.2%), 마이크로소프트(1.1%)의 점유율을 보임.
□ 증가하는 요르단 모바일페이(JoMoPay) 이용 건수에 주목
ㅇ 2017년 5월 기준, 거래 이용건수는 1만3498건으로 총 36만4400달러가 JoMoPay 서비스를 통해 결제됐음. 2016년에는 총 8181건이 이용됐고, 결제된 금액은 총 25만7060달러였음.
ㅇ 요르단 중앙은행(CBJ)은 5개의 기업에 모바일페이 플랫폼을 허가했으며, 현재 4개의 기업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음.
ㅇ JoMoPay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품목과 판매자들의 판매품목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빅데이터 구축자료로서 가치가
높음. 이는 향후 요르단에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수립 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됨.
□ Jordan Mobile Payment platform(JoMoPay)란 ?
ㅇ 2014년부터 MENA 지역에서 시작된 모바일 상호결제(Interoperability) 서비스임. ProgressSoft사의 JoMoPay 서비스를 통해 24개국의 9개 중앙은행(CBJ를 포함)에서 350개 이상의 상업은행들을 통해 실시간 지불 및 계산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음.
□ 전망
ㅇ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로 모바일 결제(JoMoPay)에 주목해야 함. 전년대비 결제 건수와 금액은 증가하고 있음. 다만, 아직까지 전체 소비 중에 JoMoPay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수준임. 향후 서비스 개선 및 홍보를 통해 서비스 이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JoMoPay 이용한 모바일 페이가 증가할 경우 결제 단말기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또한 보안 강화를 위한 모바일결제 보안 프로그램의 수요가 높을 전망임.
ㅇ 요르단에서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으로 카메라, 스캐너, 프린터, 노트북 등의 판매가 감소하고 있음. 이런 대체효과로 인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보완해주는 장비는 더욱 유망할 것으로 예상됨. 샌디스크(Sandisk) 업체의 USB flash 드라이브는 스마트폰 저장용량을 128GB까지 늘려 현지의 좋은 반응을 얻음.
- 스마트폰용 스피커, 헤드폰, 액세서리 등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의료 진단은 요르단에서 유망한 분야임. 현재까지는 구체적인 서비스가 시행되지 않지만 심장박동수, 혈당농도, 혈압 등의 정보를 스마트폰 앱과 보조기기를 통해 스스로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3~4년 내 상업화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BMR report, Jordantimes, 요르단 통계청, KOTRA 암만 무역관 자체보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