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하림
속이 확 풀리는 얼큰한 닭개장
육수 재료
닭 1마리, 대파, 양파, 통마늘
부 재료
숙주 300g, 고사리 200g, 쪽파, 대파 1/2개, 홍고추 1개, 청고추 1개, 양파 1/2개
양념 재료
고춧가루 4큰술, 다진마늘 2큰술, 국간장 4큰술, 고추기름 4큰술, 참기름 1/2큰술, 소금 약간
만드는 법
1. 손질한 닭을 냄비에 넣고 닭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뒤 대파와 양파, 통마늘을 넣고 푹 끓인다.
2, 닭이 익으면 건져서 식힌 후에 살을 먹기 좋게 찢는다.
육수는 면보에 걸러 따로 둔다.
3. 숙주와 고사리는 씻어서 살짝 데친다.
쪽파와 대파, 양파, 청고추, 홍고추는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4. 고추 기름을 살짝 끓인 후 고춧가루와 다진마늘, 국간장, 참기름을 넣고 볶듯이 버무려준다.
5. 냄비에 쪽파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모두 넣고 양념에 버무린다.
6. 닭 삶은 육수를 부어 푹 끓인 후 마지막에 쪽파를 넣고 소금으로 간한다.

우리 시댁은 워낙 식구들이 많아서 음식을 해도 별로 싸올건 없는데
상에 올린 전만 조금 들고와서 제가 좋아하는 모듬전 찌개를 만들어 봤어요~
녹두전, 동그랑땡, 두부전 정도만으로 만든 간단 모듬전이지만
속이 알차게 들어 있어서 신김치 조금 썰어 넣고 칼칼하게 매운 전찌개 만들어 먹으면 완전 맛있어요!^^


*재료*
녹두전,두부전,동그랑땡 등 모듬전 한줌.
송송 썬 김치 한줌, 멸치 다시마 육수 3컵.
들기름 1, 고추장1, 다진마늘 1, 맛술 1.
다진파,고추 조금씩.
(밥숟가락 계량)



전과 김치, 파, 고추 등은 먹기 좋게 송송 썰어 준비해요.

김치 먼저 들기름에 달달 볶다가

김치가 노근노근해지면 고추장, 다진마늘, 맛술을 넣고

멸치 다시마 육수나 생수를 부어서 푹~끓여요.

한소끔 보글보글 끓으면
모듬전을 넣어주고~

다진파와 고추 등을 넣어서 마무리하면 완성이예요~

전은 어차피 다 익은거라서 살짝만 데워주는 느낌으로 끓여주면 되어요~
전을 넣고 너무 오래 끓이면 전이 다 풀어져서 못쓰게 되요 ㅎㅎ

명절에 먹은 기름진 음식의 느끼함을 한방에 날려줄
칼칼하고 매콤한 모듬전찌개예요~
개운한 김치와 고소한 전들을 쏙쏙 골라 먹는 맛도 좋아요 ^^


멸치 콩자반
재 료
검은콩 2컵, 물 4컵, 간장 5T, 올리고당 5T, 물엿 1T, 식용유 1T, 통깨?
(1컵 200ml기준)?

1. 콩은 물에 씻은 후 반나절정도 불려주세요~
(콩을 불리면 두배이상 양이 많아집니다.)

2. 불린콩은 물 4컵과 함께 냄비에 넣고 식용유 한큰술 넣은 후 끓여주세요~

3. 끓으면서 위에 뜨는 거품을 걷어내 주세요~

4. 센불에서 끓이다가 물이 반으로 줄어들면 약불로 끓여주세요~

5. 물이 자작해지면 그때 간장과 올리고당을 넣어주세요~

멸치는 미리 마른 후라이팬에 볶아서 잔가루를 빼고 준비해 주셨다가 사용하세요~

6. 멸치를 넣고 볶아주세요~

7. 마지막으로 물엿 1T와 통깨를 넣고 버무려주면 완성입니다.



첫째, 충분히 콩을 불려주세요~
둘째, 콩이 다 익은 후에 양념을 해주세요~
콩이 익지 않은 상태에서 양념을 하면 이상하게 아무리 익혀도 부드럽지가 않답니다.
위 두가지만 지키면 부드러운 콩자반을 드실수 있을거예요~ ^^


첫댓글 나들이 갑시다 이거들고
마음은 하루에도 몇 번이고 가고 싶지요....
멸치와 콩자반을 함께 먹는 맛이 어떨지 만들어 봐야겠네요^^
먹어보니 의외의 조합에 밥도둑이 따로 없던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