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스플레이 종류 | 텔레비전 브랜드 | 장점 | 단점 |
OLED | LG, 소니, 필립스, 창위이(创维), 캉이지아(康佳), 창홍(长虹) | 고화질, 가시도 범위 큼. 종량이 가벼움. | 사용시간 짧음. 수명 짧음. 가격은 비쌈. |
LASER | 하이신(海信), 아이웨뤄(艾洛维), 칸이상(看尚), 샤오미(小米), 지미(极米) | 사이즈 큼. 화질 좋음. 음성 좋음. | 가격은 비쌈. 시청 환경 까다로움. 화질은 낮은 편 |
QLED | 삼성,하이신(海信), TCL, 러시이(乐视) | 화질 높음. 사용기간 김. | 가시도 제한이 있음. |
자료원: 오원윈망(奥维云网, AVC)
ㅇ 텔레비전 활용분야가 확대
- 기존에는 드라마 시청용으로 TV를 활용했다면, 최근 들어서는 생활, 게임, 교육 등 활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음.
□ 2017년 중국 레이저 텔레비전 폭발적인 성장
ㅇ 레이저 텔레비전이란?
- 수상관을 쓰지 않고, 레이저 광선을 직접 영사막에 비추어 화면을 되살리는 텔레비전임.
ㅇ 기존 TV 생산업체들이 양산을 시작하면서 기업 간 경쟁 확대
- 대표적으로 중국 하이신(海信)은 중국 레이저TV시장에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음. 특히 해당 회사는 4K(3840x2160) 해상도 레이저TV를 2017년 11월 선보였으며 향후 중국 가전유통 대표기업인 궈메이전기(囯美电器)와 협력해 체험숍을 개설하겠다고 밝힘.
- 레이저TV 보급형 시장에서는 샤오미가 1만 위안이 되지 않는 레이저TV를 선보여 중국 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음.
레이저TV 브랜드별 대표제품 현황
브래드 | 사진 | 해상도 및 사이즈 | 가격(위안) |
하이신 | | 4k/80인치 | 39,999 |
견과(坚果) | | 1080P/100인치 | 32,999 |
지미(极米) | | 1080P/100인치 | 17,999 |
창홍(长虹) | | 1080P/100인치 | 16,999 |
샤오미 | | 1080/스크린 없음 | 9,999 |
아이웨뤄(艾洛维 | | 1080/스크린 없음 | 16,999 |
자료원: 징둥(京东)
ㅇ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 레이저TV시장
- 2017년 중국 레이저TV 판매량은 6만7000대에 달하고 판매액은 20억8000만 위안을 기록함.
- 판매량과 판매액의 성장률은 전년대비 각각 116%와 109%를 기록함.
- 2017년 판매량 기준으로 시장규모는 컬러TV의 1%에 불과하지만 최근 추세를 볼 때 시장전망은 밝음.
- 중국 빅데이터 기업인 오윈윈망에 따르면 레이저TV 판매량은 23만2000대에 달하고, 판매액은 43억2000만 위안에 이를 전망. 판매량과 판매액의 성장률은 각각 51%와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ㅇ 큰사이즈, 음질, 화면 등 다양한 장점을 보유한 레이저TV
- 레이저TV는 큰 사이즈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으나, 가격은 동일 사이즈 제품 대비 비싼 편임.
- 하지만 뛰어난 화질과 함께 좋은 음질을 보유하고 있어 동영상과 게임을 좋아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끎.
- 현재 레이저TV가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만, 향후 진출기업이 많아지면 가격은 자연히 떨어질 것으로 예상됨.
ㅇ 중국 정부, 레이저 디스플레이산업 진흥을 지원
- 2016년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13.5 규획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기술 진흥을 지지한다고 밝힘.
□ 시사점
ㅇ 컬러TV는 프리미엄화가 트렌드인 바, 일반 TV보다는 고해상도이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춘 프리미엄 시장을 노려야 함.
- 최근 중국에서는 빅사이즈의 TV를 선호하는 바, 일반 TV보다는 대형 TV시장을 노리는게 바람직함.
ㅇ 레이저TV의 경우 현재 가격이 비싸지만, 여러 기업이 경쟁에 끼어들 경우 가격 인하 가능성이 높고, 화면크기 등 여러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긍정적인 성장이 예상됨.
자료원: 오원윈망(奥维云网, AVC), 징둥, 중국 경제주간(中国经济周刊), 네이버 국어사전, KOTRA 정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