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9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에서 울산시교육청이 전년도 3등급보다 한 단계 더 상승한 2등급으로 평가돼 상위권으로 도약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민권익위는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외부청렴도, 내부청렴도, 정책고객평가 분야에서 부패경험, 부패인식을 측정하는 조사로 국민권익위원회가 매년 실시하고 있다.
청렴도 평가에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연속으로 4등급에 머물러 만년 전국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아오던 울산교육청이 노옥희 교육감 취임 이후 강력한 부정부패 척결 정책으로 1년 반 만에 상위권에 진입했다.
노 교육감은 임기 내 청렴도 최상위권 도약을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원스트라이크아웃제를 도입했고 중징계 요건인 향응 금품수수 기준도 100만원 이상에서 10만원 이상으로 대폭 낮췄다.
또한 누구나 손쉽게 비리를 제보할 수 있는 공익제보센터 구축과 시민과 학부모, 전문가가 참여하는 청렴시민 감사관제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시교육청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올들어 국민권익위가 주관하는 공공기관부패방지 시책평가에서 1등급을 달성했다. 또 감사원의 자체감사활동평가에서도 감사원장 표창을 받는 등 지난 1년 동안 객관적 지표로도 청렴도가 상당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은 부패척결과 청렴도 향상을 위한 정책 선언과 함께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등 내부적 노력은 물론 감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를 위해 시민참여형 제도를 운영한 것이 시민들의 호응을 얻고 교육행정의 신뢰도를 회복한 계기가 되었다고 분석했다.
또 매년 최하위권에 머물던 내부청렴도가 소통과 화합을 통한 조직문화 개선 노력에 힘입어 중위권으로 상승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적극적인 원탁토론 개최와 소통을 통한 공감정책을 꾸준히 펼쳐온 교육감의 노력에 교직원들이 호응하기 시작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청탁주의보 발령 등으로 인사업무의 공정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측정됐다.
이번 성과에 대해 노옥희 교육감은 "교직원 모두가 각고의 노력으로 청렴도 최하위권의 불명예를 완전히 벗었다"며 "짧은 시간에 종합청렴도가 상위권에 진입한 것은 교직원들의 울산교육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바탕이 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청렴실천 생활화를 통해 울산교육청이 최상위 청렴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도교육청별 종합청렴도 1등급은 강원도교육청, 울산교육청 등 5개 교육청이 2등급, 경기도교육청 등 6개 교육청이 3등급, 경북교육청등 5개 교육청이 4등급을 기록했다. 허종학 기자
|